고양이를 모시게 되었습니다 - 얼떨결에 길냥이에게 간택당한 지리산 농부의 집사 일기
유진국 지음 / 올림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란 고양이 한마리가 평소 고양이를 싫어하는 사람의 마음을 훔쳤다.

지리산으로 귀농해 곶감을 만들어 팔면서 틈틈이 수필집을 내고 sns로 소통하던 지리산 농부 부부의 산책길에 "냥~" 하고 나타나 갑자기 친한척을 해댔다. 딱히 넉살좋게 굴지 않아도 되었을법한 미묘였던 아기 고양이 '수리'는 당시 사흘은 굶은 것처럼 배가 홀쭉한 상태로 나타나 강아지 사료를 챙겨주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묘연의 시작이라고 했다. 마침 사료를 부어주던 박스에 '수리취떡'이라고 적혀 있어 이름 그대로 '수리'로 불리게 된 녀석.


<고양이를 모시게 되었습니다>는 수리 집사와 수리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교차되며 이야기를 이어나간다. 백작보다 높은 단계인 '냥작'이라 스스로를 칭하는 수리만 댕댕이 두 마리가 있는 집에 눌러 앉아 마당냥이로 살다가 어느날부터 수리의 밥을 먹는 '서리'와 그 뒤를 따라온 '꼬리'까지 노란 고양이는 세 마리로 늘어났다. 처음 사진 속 노랑둥이 세 마리를 보곤 어느 녀석이 어떤 애인지 구분이 가지 않다가 얼굴이 클로즈업 된 사진들을 보면서 수리/서리/꼬리 가 누구인지 구별할 수 있었다.


뱀도 나오고 왕지네도 출몰하는 지리산 집. 마당을 오가며 참새도 잡고 쥐도 잡는 고양이들이 산다. 부부가 처음부터 고양이를 좋아했던 것은 아니었지만 수리라는 고양이 한마리로 인해 저자와 아내 모두 고양이에게 흠뻑 빠진 상태다. 고양이의 매력이 이렇게 무섭다. 저자는 말한다. 고양이와 개는 확실히 다르다고. 측은지심에서 밥을 챙기기 시작했지만 이젠 마실갔던 고양이가 조금이라도 늦으면 팔자에도 없던 고양이 걱정에 애가 타는 듯 하다. 그리고 "길고양이는 길에서 태어났지만 더불어 살아야 할 우리의 이웃"(p215)이라고 말한다. '고양이는 냄새가 나서 집에 들일 짐승이 못 된다'는 말을 들어온 부부에게 찾아온 일상의 변화는 놀라울 정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