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보통의 가족 - 고양이 모리, 딸 소은이와 함께 자라는 수의사의 육아육묘 일기
김동건 지음 / 야옹서가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4년 10월 생인 노란 빛깔의 귀여운 고양이는 수의사와 함께 산다. 아플때마다 바로바로 진찰 받을 수 있을테니 금손아빠를 가진 고양이인가? 싶었지만 사실 수의사가 된 뒤엗 고양이는 대하기 어렵다고 생각했던 수의사였다. 그랬던 그가 근무 중인 병원에서 '호박이'라는 넉살 좋은 녀석을 만났고 고양이와 함께 살아보고픈 생각이 들고만 거다. 고양이를 반려하고 있는 집들의 사연을 들어보면 거의 대부분 시작은 고양이 한 마리였다. 슬픈 사연이든, 즐거운 사연이든 간에 고양이 한마리가 사람의 생각을 바꿔 버린다. <가장 보통의 가족> 속 부부도 그랬다. 수의사인 남편과 결혼했지만 동물을 집에서 키우고 싶지 않았던 아내에게도 '호박이'의 힘은 통했다. 그리고 입양하게 된 아기 고양이 '모리'. 사진 속 녀석은 너무 귀여웠다.

 

생후 100일째 되던 날, 모리에겐 평생을 함께 한 '형아'와 '누나'가 생겼다. 책장에도 들어가고 사료도 듬뿍 먹고 발관리, 털관리를 받으면서 점점 자라나 싶더니 곰팡이성 피부염에 걸려 약을 먹을 일도 생기고, 잠복고환이라 개복수술을 받기도 했다. 고양이 인생도 일장일단인가보다. 그 무렵 부부에게 아기가 생겼는데, 수의사라는 직업에도 불구하고 고양이를 다른 곳에 보내라는 소리를 여럿 들었다니.....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에선 이 과정은 통과의례인가보다 싶어진다. 이젠. 주변에서도 정말 여러번 생겼던 일들이라.

 

수의사와 결혼해도 반려동물을 키울 일이 없을거라 생각했던 아내의 변화는 놀라웠다. 모리의 얼굴로 태교를 하고, 왕관/헤어밴드/애착인형 등의 아기용품을 만들어 먼저 모리에게 착용시켜보기도 했다. 특히 친구들에게서 물려받은 바운서는 모리의 최애품이 되었다고 한다. 외동묘였지만 집 안에 아기가 태어나고 나선 고양이 모리는 정말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인다. 멀찍이서 냄새를 맡고 아기의 울음소리를 듣고 있다가 사람 누나에게 "야옹야옹~"알려주기도 했다. 고양이가 아기를 대하는 법을 터득해가듯 아기 집사 '소은이'도 자라면서 고양이를 대하는 법은 부모로부터 배워나간다. 그래서 투샷은 그 어떤 고양이 사진보다 따뜻하게 찍혀 있다. 물론 모든 날이 다 핑크빛은 아니었을 거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가족으로 똘똘 뭉쳐 지내는 모습에 같은 집사로서 감사한 마음이 들고 행복한 표정의 고양이 모리를 계속 응원하고 싶어진다.

 

책장을 넘기면서 모리는 그대로인 것 같은데 소은이는 훌쩍훌쩍 자랐다. 소은이의 키자람에 따라 시간이 흘러갔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세월이 흘러도 아기와 고양이가 함께인 사진은 여전히 사랑스럽지만. 책의 내용 중 가장 뭉클했던 대목은 "아기는 잘 키워서 독립시켜야 하는 존재인 반면, 고양이는 하늘의 별이 되는 날까지 평생을 책임져야 하는 존재다"(p250)라고 쓰여진 문장이었다. 아이를 내 것으로 보지 않고 독립시켜야하는 인격체로 인식한 부분도 감동이고, 평생 책임져야하는 존재로 고양이를 반려하고 있는 점 역시 존경할만 했기 때문이다. 모든 반려가족들의 생각이 이러하다면 세상에 버려지는 동물가족들이 없을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