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 없는 살인자 파비안 리스크 시리즈 1
스테판 안헴 지음, 김소정 옮김 / 마시멜로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스티그라르손','요 네스뵈'를 필두로 읽기 시작한 북유럽 추리소설.

이전에 읽었던 일본소설이나 미국소설과는 느낌이 또 달랐다. 사진을 찍을 때 푸른색감이 도는 필터를 끼운 듯한 서늘하면서도 차가운 느낌을 전하는 글들이라 느낌이 참 묘했다. [파비안 리스크] 형사 시리즈로 스웨덴 최고의 범죄 소설상 및 독일 최우수 범죄 스릴러상을 수상한 작가 스테판 안헴의 소설은 처음이었으나 사전두께의 방대한 양에 비해 책장은 술술 넘겨졌다. 살인의 빈도수, 범인의 동선추적 등이 재빠르게 진행되지는 않지만 늘어짐이나 지루함 없이 계속 읽게 되어 가독성도 제법 좋은 편이다.

 

 

이야기는 가족과 함께 스톡홀롬을 떠나 고향으로 돌아온 파비안으로부터 시작된다. 출근하려면 6주나 남아 있지만 9학년때 같은 반이었던 동창 예르겐 폴손이 살해된 채 발견됨으로써 곧바로 수사에 투입된다. 그리고 뒤이은 살인. 시체로 발견된 둘은 학창시절 학교폭력의 가해자들이라 자연스레 그들에게 구타당하고 괴롭힘 당했던 학생이 용의선상에 올랐다. 하지만 쉽게 사건이 마무리되나 싶은 순간 용의자마저 살해된다. 대체 누가? 무슨 이유로? 가해자, 피해자 할 것 없이 닥치는대로 동창들을 죽인 것일까. 그것도 그가 고향으로 돌아온 직후부터.

 

 

 

책을 읽기전 '반전소설'임을 살짝 귀뜸 받았지만 범인에 관한 것인지, 사건에 관한 것인지는 알지 못했는데, 준비된 반전보다 더 놀라운 건 범인의 목표였다. 한 반 사람들을 몽땅 죽이려한 것치고 그 이유는 다소 가벼웠다. 그 누구도 깨지 못할 기록, 한 반 사람들을 모두 죽인 유일한 범죄의 기록이 되어 영원히 존재하길(p617) 바라는 어긋난 욕망을 품을 정신과 실행 능력으로 스스로를 구원할 순 없었을까.

 

 

중간중간에 삽입된 괴롭힘 당하는 소년의 일기는 마치 살인범의 학창시절 일기처럼 읽혀졌지만 사실 파비안 형사의 아들이 쓴 일기였다. 그의 아들 테오도르는 범인에게 납치되어 죽을 뻔 했다. 가족과 동창들을 지키기 위해선 범인을 빨리 검거해야만 한다. 똑딱똑딱똑딱....주인공인 파비안이 다급해질수록 책을 읽고있는 독자인 나의 머릿속에서도 시계초침이 빠르게 흘러가는 것만 같았다. 페이지 2/3를 넘어가면서부터는 함께 호흡하고 함께 긴장하다가 마지막 페이지를 덮으면서 안도의 한숨이 쉬어졌다.

 

 

1982년 낡은 사진 속 21명 중 5명만 살아남았다. 눈 앞에서 자행된 학교 폭력 앞에, 친구를 외면했던 기억이 유쾌할 리 없다. 그 시절의 용기없음을 비단 아이들탓으로만 돌릴 수 있을까.

 

 

마흔 셋의 파비안 형사는 경찰 아저씨(?)로 늙어가고 있었다. 아내와는 약간의 삐걱거림으로, 아들과는 대화에 벽을 친 상태로, 회사 일을 핑계로 가정사에는 속속들이 신경 쓰고 살지 않는 흔한 아저씨로. 그의 동창들도 비슷하게 살아가고 있었다. 훌륭한 어른으로 성장하기 보단 평범한 어른으로 살아가고 있었다. 들여다보면 한 두 가지씩 문제가 있지만 그래도 내일을 살아가는 사람들로. 단 범인을 제외하곤. 그의 시선은 내일이 아닌 과거에 묶여 있었고 오늘이 잘 진행되지 않는 이유를 과거에서 해결하고자 했다. 자신의 변화보단 타인을 탓하는 쪽을 선택한 괴물이 연쇄살인마로 등장한 스테판 안헴의 범죄소설은 다음 시리즈를 기다릴만큼 인상적이었다.

 

p472 349번. 리나의 사물함 바로 옆에 살인마의 사물함이 있었다

p615 한 반에서 고작 여섯 명 죽었다는 사실만 가지고도 이 정도 호들갑을 떨고 있는 거다...

... 사실은 안전한 사람은 아무도 없음을 알게 되면 과연 어떤 반응을 보일까?

p620 그리고 그는 살인범을 결정했다

 

 

 

 

 * 레뷰 도서 이벤트를 통해 책을 제공받았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