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래도, 고양이 - 닿을 듯 말 듯 무심한 듯 다정한 너에게
백수진 지음 / 북라이프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입가에 카레를 잔뜩 묻힌 고양이의 모습이 얼마나 사랑스러운지!

함께 사는 고양이가 없는 것도 아니면서 나는 오늘 또 남의 집 고양이에 잔뜩 홀려 버렸다.

 

얼굴 생김이 다 다른 고양이들(다묘가정)은 책 속 고양이에게 집사를 빼앗길까봐 독서하는내내

책장 넘기기를 방해하고 책을 깔고 앉고 앞과 뒤에서 연신 '야옹야옹~'하며 불러댔지만

백수진 기자가 쓴 <아무래도, 고양이> 속 고양이 '나무'의 매력 속에서 빠져나오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고양이에 대해 1도 몰랐던 그녀를 집사로 간택한 고양이 '나무'.

여느 길고양이들과 달리 과거, 길에서 대놓고 인기 폭발이 고양이였다.

 

나무를 파바박 오르는 녀석에게 환호를 보낸 건 비단 초등학생들뿐만이 아니었다는 얘기다.

입양 후, "우리 누나가 예쁜 길고양이를 입양했다"는 말에 남동생의 친구가 핸드폰에서 "혹시 얘야?"하며 보여준 사진조차 욘석 나무였다니....더 말해 무엇하겠는가.

 

이렇게 사람들의 관심 속에서 보살핌을 받아온 것처럼 보이지만 길고양의 삶은 길고양이의 삶이 안전한 집고양이의 그것과 같을 리 없었다. 돌보던 캣맘에게 "수진씨가 데려가면 좋겠다"는 말을 들을 정도라면.

 

결국 말이 씨(?)가 되어 그녀의 고양이가 된 나무는 집고양이가 된 후에도 매력엔 변함이 없었다.

그녀와 고양이 나무의 일상을 글로 읽으면서 마음 한 구석이 따뜻해졌다면,

페이지 중간중간에서 나무의 사진을 보면서는 미소가 저절로 함박 지어진다.

 

물론 내 고양이가 최고라고 생각한다. 내 눈에 제일 예쁜 녀석들이다.

하지만 내 고양이들을 사랑하게 되면서 타인의 고양이들도, 길고양이들도 모두모두 사랑스런 눈길로 바라보게 되었다. 30년 넘도록 고양이라는 생명체엔 1도 관심없었는데......

 

무심하고 시크한 녀석이 아니라 애정많고 달달한 노랑둥이 치즈 고양이 나무.

책을 보고 나서 더 궁금해졌다. 녀석의 계속되는 일상이.

 

아프지 말고 오래오래 건강하게 집사와 함께 행복하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