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94
메리 셸리 지음, 김선형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이 충격적으로 다가오는 이유는

아마도 뚜렷한 선도 악도 존재하지 않는 것. 

서로가 서로에게 죄를 유발하는 그 관계들 때문이 아닐까 싶다.



아마

'과학자가 인간의 모습을 본 딴 생명을 창조해낸다' 

'그 생명으로 인해 사건, 사고가 일어난다' 

-라는 내용만으로 이 소설을 알고 있을 사람도 있을텐데(내가 그랬듯)

 사실 그 내용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여러가지 상황을 떠올려본다.


만약 빅터가 자신이 만든 것을 외면하지 않았다면

아니면 하다 못해 끔찍함을 견디지 못 한 그 즉시 파괴하기라도 했다면

피조물인 그가 스스로 말한 것처럼 

범행의 순간마다 느낀 가책과 괴로움 때문에 

그 악행들을 한 순간이라도 멈췄다면

수많은 순간들 중 단 한 순간이라도 그렇게 작용하지 않았다면

이 비극은 태어나지 않지 않았을까.

하다못해 빅터가 아그리파의 저술만 읽지 않았어도 

이 모든 일은 일어나지 않지 않았을까.


솔직히 말하자면 빅터 보다는 피조물 쪽에 더 공감이 가는 편이다.

어쨌든 만들어 낸 것은 빅터이고 그를 그렇게까지 방치한 것 역시 그이므로.

무엇보다 피조물이 '내 심장은 사랑과 연민을 느낄 수 있게 만들어졌다' 면서

불행이 초래한 이 변화를 내가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겠냐 는 말을 호소할 때

순간 울컥하기도 했다.


물론 그러다 

최근 빈번히 들려오는 가해자들의 '가책' 과 '동정에의 호소' 때문에

바로 마음이 식어버리긴 했지만서도 말이다.


이 책을 뭐라 평해야 할 지 모르겠다.

프랑켄슈타인이라는 캐릭터를 빌려와 

만든 컨텐츠들 처럼 SF, 판타지로 분류해야 할지

아니면 피조물과 창조주의 대립

- 피조물을 악으로 몰고간 창조주의 외면 등으로 볼 때

일종의 종교적 우화라 해도 좋을런지


그저 말할 수 있는 건

종국에는 차마 피조물에 공감할 수도, 창조자에 공감할 수도 없어

이를 어째야 하지 어떻게 해야 하지 하는 마음만 남는다는 것 뿐.


어쩌면 그래서 제 3의 누군가가 등장하지 않았나 싶다.

...사실 당시 이런 식의 형식이 유행이지 않았나 하는 의심이 더 들긴 하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