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신영복 옥중서간, 제3판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55 그 자리에 땅을 파고 묻혀 죽고 싶을 정도의 침통한 슬픔에 함몰되어있더라도, 참으로 신비로운 것은 그처럼 침통한 슬픔이 지극히 사소한 기쁨에 의하여 위로된다는 사실이다.

큰 슬픔이 인내되고 극복되기 위해서 반드시 동일한 크기의 커다란 기쁨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작은 기쁨이 이룩해내는 엄청난 역할이 놀랍다.

슬픔이나 비극을 인내하고 위로해주는 기쁨, 작은 기쁨에 대한 확신을 갖는 까닭도, 진정한 기쁨은 대부분이 사람들과의 관계로부터 오는 것이라 믿기 때문이다. 그것이 만약 물 物에서 오는 것이라면 작은 기쁨에 대한 믿음을 갖기가 어렵겠지만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로부터 오는 것이라면 믿어도 좋다. 수 많은 사람을 만날 것이기 때문이다.

P67 과거가 가장 찬란하게 미화되는 곳이 아마 감옥일 것입니다. 감옥에는 과거가 각박한 사람이 드뭅니다. 감옥을 견디기 위한 자위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만 이 자위는 참혹한 환경에 놓은 생명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생명운동 그 자체라고 생각됩니다.

<염려보다 이해를 – 아버님께, 1972.3.16>
P82 예(例 법식 예) 하면 근간에 읽으신 서 書, 문 文에 관한 소견이라든가 최근에 겪으신 생활 주변의 이야기라든가 하는 그런 구체적인 말씀을 듣고 싶은 것입니다. ‘염려의 편지’가 ‘대화의 편지’로 바뀌어진다면 저는 훨씬 가벼운 마음으로 아버님이 편지를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P86 독서보다는 사색에 더 맘을 두고 지식을 넓히는 공부보다는 생각을 높이는 노력에 더 힘쓰고 있습니다.

P97 지자 知者는 막여부 莫如父 (莫 없을 막): 아들의 됨됨이는 아버지만큼 알 수가 없다

P100 춘래불사춘 春來不似春 호지무화초 胡地無花草 (似 같을 사) 이땅에 꽃과 풀이 없으니 봄이 와도 봄 같지 않다.

저는 전에도 말씀드렸듯이 결코 많은 책을 읽으려 하지 않습니다. 일체의 실천이 배제된 조건하에서는 책을 읽는 시간보다 차라리 책을 덮고 읽은 바를 되새기듯 생각하는 시간을 더 많이 가질 필요가 있다 싶습니다. 지식을 넓히기 보다 생각을 높이려 함은 사침 思沈 (沈 잠길 침)하여야 사무사 思無邪 할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 사무사 思無邪: 생각이 바르므로 사악함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1/3/5 (금)
대학 독법
P486 경은 공자의 말씀을 증자가 기술한 것이고, 전은 증자의 뜻을 그 제자가 기술한 것이라 했습니다.

P489 주자는 ‘치지재격물 致知在格物’의 의미를 우리의 인식 (知)은 사물의 이치를 깨닫는 데서 온다는 뜻으로 풀이합니다. 사람에게는 인식 능력이 있고, 사물에는 이치가 있기 때문에 앎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물에게로 나아가서 그 이치를 궁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사물과의 관계, 즉 실천에 의한 사물과의 접촉을 인식의 제 1 보로 규정하고 격물을 전체체계의 기초로 삼고 있습니다.

P492 대학은 개인과 사회와 국가와 세계가 맺고 있는 관계에 대한 체계적인 논리입니다. 세계평화는 세계를 구성하는 각 국가의 평화이며, 국가의 평화는 국을 구성하는 각 가의 평화에 의하여 이룩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가의 평화를 위해서는 가의 구성원인 개개인의 품성이 높아져야 합니다. 대학의 최고강령은 명덕입니다. 덕은 관계입니다.

개인과 사회, 사회와 국가, 국가와 세계가 맺고 있는 관계성의 자각과 실현이 궁극적으로 세계평화의 기초인 동시에 한 개인의 수양의 기초가 된다는 점을 통일적으로 선언하는 것입니다.

P508 한 사람의 세상에 있어서 가장 중심에 있는 것은 가슴이라 하였습니다. 중심에 있다는 의미는 사상을 결정하는 부분이라는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사람의 생각을 결정하는 것이 머리가 아니라 가슴이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가슴에 두 손을 얹고 조용히 반성하라고 해왔던 것이지요.

P510 서서화의 정신은 무엇보다 상상력을 키우는 것입니다.

상상력은 작은 것은 작은 것으로 보지 않는 것입니다. 작은 것은 큰 것이 단지 작게 나타난 것 뿐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진정한 상상력입니다.

하나의 사물이 맺고 있는 거대한 관계망을 깨닫게 하는 것이 바로 상상력이며 그것이 바로 시서화의 정신입니다.

P511 ‘그림’은 ‘그리워함’입니다. 그리움이 있어야 그릴 수 있다는 것이지요.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달 2022-05-22 23: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탁과 발, 책과 현실>
P451 "어째서 발로 신어 보지 않았소?"
(차치리의 답변은) "탁은 믿을 수 있지만 내 발은 믿을 수 없지요"
*탁: 발의 본을 뜬 것
탁이란 책입니다. 리포트를 작성하기 위해서 여러분은 탁을 가지러 갑니다. 현실을 본뜬 탁을 가지러 도서관으로 가거나 인터넷을 뒤지는 것이지요.

현실을 보기 보다는 현실을 본뜬 책을 더 신뢰하는 것이지요. 학문이나 이론의 비현실성과 관념성에 대한 비판입니다.

P457 "교묘한 속임수는 졸렬한 진실만 못한 법이다. (한비자)"
이 말의 뜻을 나는 세상사람들 중에 자기보다 못한 사람은 없다는 의미로 읽고 있습니다. 거짓으로 꾸미는 사람은 다른 사람이 자기보다 지혜롭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인 것이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한 나라 약한 나라>

P442 주 周 (두루 주) 이래로 규제방식에는 예 (禮)와 형 (刑)이라는 두 가지 방식이 있었습니다.

공경대부와 같은 귀족들은 예로 다스리고, 서민들은 형으로 다스리는 방식이었습니다. 이 것이 법집행의 원칙이었습니다.

법가는 귀족을 내려 똑같이 상벌로써 다스리는 것입니다. 유가는 반대로 서민을 올려 귀족과 마찬가지로 예로써 다스리자는 주장이라 할 수 있습니다.

법가의 법은 군주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의미가 핵심입니다.

P443 현재 우리 사회에는 범죄와 불법 행위라는 두개의 범죄관이 있습니다.

절도,강도 등은 범죄행위로 규정되고, 선거사범, 경제사범, 조세사범 등 상류층의 범죄는 불법행위로 규정됩니다. 전혀 다른 두 개의 범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소위 범죄와 불법행위는 그것을 처리하는 방식이나 그것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각도 전혀 다릅니다. 범죄행위에 대한 우리의 관념은 매우 가혹한 것임에 반하여,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더 없이 관대합니다. 범죄행위에 대해서는 그 인간 전체를 범죄시하여 범죄인으로 단죄하는 데 반하여,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그 사람과 그 행위를 분리하여 불법적인 행위에 대해서만 불법성을 인정하는 정도입니다.

이것은 주나라 이래의 관행이 별로 달라진 것이 없다는 것을 반증하는 역설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P444 법이 지상이 것이 되기 위해서는 공개성, 공정성 그리고 계획성이 갖추어져야 합니다.

P445 법가의 법 法은 오늘의 법학 法學과 같은 의미가 아닙니다. 통치론,지도자론,조직론 등 오늘날 정치학 분야까지도 포괄하고 있는 훨씬 광범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 법가와 천하통일
<어제의 토끼를 기다리는 어리석음>

P432 송나라 농부의 우화인 수주태도 守株待兎 는 어제 일어났던 일이 오늘도 또 일어나리라고 기대하는 어리석음을 풍자하고 있습니다. 다른 제자 백가를 풍자하는 이야기입니다.

유가, 묵가, 도가는 다 같이 농본적 질서를 이상적모델로 상정하고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모두가 복고적 경향을 띠고 있습니다. 경험하지 못한 세계에 대하여 신뢰를 갖기가 쉽지 않은 것이지요. 과거의 이상적인 시대로 돌아갈 것을 주장합니다.

여기에 비해 법가는 시대의 변화를 인정하고 새로운 대응방식을 모색해 갑니다. 법가의 사관을 미래사관 또는 변화사관이라 하는 이유입니다.

<옥중에서 사약을 받은 한비자>

P439 상암은 먼저 성문법을 제정하고 문서로 관청에 보관하여 백성들에게 공포해야 한다는 소위 법의 공개성을 주장했습니다. 법의 공개성이야말로 법가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