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1. 어제의 토끼를 기다리며
P188 교사불여졸성 巧詐不如拙誠 공교로울 교, 속일 사, 졸할 졸, 정성 성.

한비자를 잘 타내내는 한비자 자신의 글이기도 합니다. 교묘한 거짓은 졸렬한 성실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화려한 언설과 치장으로 꾸민다고 하더라도 어리석고 졸렬하지만 성실하고 진정성 있는 사람을 이기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P191 간디가 열거하는 ‘나를 망치는 7가지 사회악’이 있습니다.
- 원칙없는 정치 Politics without principle
- 노동없는 부 Wealth without work
- 양심없는 쾌락 Pleasure without conscience
- 인격없는 교육 knowledge without character
- 도덕없는 경제 Commerce without morality
- 인간성 없는 과학 Science without humanity
- 희생없는 신앙 Worship without sacrifice

‘대비와 관계의 조직’
P197 양심은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고 생각하는 마음입니다. 양심은 화동담론에서 이야기했듯이 동同이 아니라 화和입니다. 톨레랑스가 아니라 노마디즘이며 화화 和化 입니다. 자신의 존재론적 한계를 자각하고 스스로 바꾸어 가기를 결심하는 변화의 시작입니다. 탈주이고 새로운 ‘관계의 조직’입니다.

P200 고전공부는 인문학의 한 축인 세계 인식이 핵심이었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 자신의 지도 知圖를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함은 물론입니다.
제자백가들은 모두 하나같이 뜻을 이루지 못한 사람들입니다. 상앙, 이사와 같이 천하통일을 이끈 사람들의 삶도 결국 비극으로 끝납니다.

우리의 삶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룬 것이 많을수 없습니다. 꼬리를 적신 여우들입니다. 그 실패때문에 끊임없이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그래서 최선을 다하는 것이 최선이 아닐까 자위합니다. 한비자의 졸성 拙誠이 그럴 것이라 하겠습니다.

졸렬하지만 성실한 삶, 그것은 언젠가 피는 꽃입니다. 빅토르 위고가 레미제라블에서 한말입니다. "땅을 갈고 파헤치면 모든 땅들은 상처받고 아파한다. 그 씨앗이 싹을 틔우고 꽃 피우는 것도 휠씬 뒤의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 이웃을 내 몸 같이
P155 물에(於水) 비추어 보지 마라(無鑑 거울 감)는 뜻 입니다. 무감어수. 물에 비추어보면 얼굴을 비추어보게 (見面之容)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감어인(鑑於人), 사람에게 비추어 보라고 하는 것입니다.

거울에 비추어 보면 외모만 보게 되지만, 자기를 다른 사람에게 비추어 보면 자기의 인간적 품성이 드러납니다.

P156 묵자에서 이 금언은 반전평화론의 교훈입니다. ‘사람에게 비추라’는 것은 오나라 왕 부차, 진나라 지백의 고사에 비추어 보라는 뜻입니다. 부차와 지백처럼 공격 전쟁을 계속하다가 패망한 역사적 교훈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이 사람들에게 비추어보면, 공전 攻戰이 바로 패망의 길임을 잘 알 수 있다는 것이 무감어수입니다.

P160 중요한 것은 자기들이 형벌을 받은 노예 출신이라는 사실을 공공연히 밝힌다는 것입니다. 백성들이 두려워하지 않을 때야말로 진정한 위기라고 합니다.

P163 차별없이 사랑할 때 평화로워진다는 것입니다. (겸상애즉치) 이것이 묵자의 겸애사상입니다. 겸애의 반대는 별애입니다. 내 아이와 남의 아이를 차별하는 것이 별애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9. 양복과 재봉틀

P147 노동하지 않는 생명은 없습니다. 노동은 ‘생명의 존재 형식’입니다. 그것을 기계에 맡겨놓고 그것으로부터 내가 면제된다고 해서 행복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그 기계의 효율을 통하여 더 많은 소비와 더 많은 여가를 즐기게 된다면 그것으로써 사람다움이 완성된다고 할 수 있을까요? 노동 자체를 인간화하고 예술화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P146 장자 사상의 핵심은 탈정입니다. 갇혀있는 우물에서 벗어나는 길입니다. 우리가 갇혀있는 좁고 완고한 사유의 우물을 깨닫는 것입니다.

P154 (세계가) 지금까지의 성장패턴을 지속한다는 것은 불가능할 것입니다. 이미 반복되는 금융위기와 끝이 없는 불황이 그것을 예시하고 있습니다. ‘과학의 발전과 욕망의 해방’ 그리고 대량생산과 대량 소비가 쌍끌이 해온 자본주의 구조와 운동이 거듭해서 위기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피케티는 ‘21세기 자본’에서 20대 기업의 300 년간의 세무자료를 분석하며 자본이윤(return to wealth) 이 소득(growth rate) 을 초과해 왔음을 입증하고 양극화에 경종을 울리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8. 잠들지 않는 강물
P112제자백가 사상은 유가가 대표하고 있듯이 인본, 문화, 성장 패러다임입니다. 인간의 적극적인 실천을 통해 문화를 만들어내고 경제를 발전시키고 사회진보를 지향하는 것입니다.

노장은 이와 반대입니다. 사람 중심이 아니라 자연 중심입니다. 위爲가 아니라 무위를 주장합니다. 문화가 아니라 반문화입니다. 앞으로 나아가는 진이 아니라 근본으로 돌아가는 귀입니다.
진과 귀라는 두 개의 사상이 서로 견제하고 있는 것이 중국 사상의 기본 구조라 할 수 있습니다.

서양 사상의 경우, 이러한 두개의 대립항은 과학과 종교입니다. 과학은 진리를 종교는 선善을 지향합니다. 헬레니즘과 헤브라이즘이라는 두 개의 축이 그렇습니다.

P124 유는 무가 개념화되고 가시화된 것입니다. 큰 것이 다만 작게 나타났을 뿐입니다. 우리 말의 ‘없다’는 업다에서 나온 것이라고 합니다. 아기를 등에 업고 있으면 일단 없습니다.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P126 때로는 약굴若屈, 소신을 굽히는 것 같지만 근본적인 원칙을 지키는 사람은 사소한 것에 구애받지 않습니다.

P127 말을 잘한다는 것은 듣는 사람이 신뢰하게 끔 하는 것이 최고 입니다. 화려한 언어를 동원하거나 청산유수로 이야기 하지 않더라도 자기의 말을 진정성있게 받아들이게 하는 경우가 대변임은 물론입니다.

P131 우리가 사람을 물로 보는 건 심하게 낮춰보는 것입니다. 노자를 물의 철학자, 민초의 사상가라 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P135 연대는 물처럼 낮은 곳과 하는 것입니다. 잘들지 않는 강물이 되어 바닥에 이르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담론 - 신영복의 마지막 강의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6. 군자는 본래 궁한 법이라네.
P93 식 食을 정치의 근본으로 삼았습니다. 창고가 가득차야 예의염치를 안다고 했습니다. 논어는 人과 民이 분명하게 구별됩니다. 人은 士君子를 포함한 귀족층을 일컫고 民은 노예와 생산담당자입니다.

P102 공자는 원래 궁한 법이라네. 소인은 궁하면 흐트러지는 법이지. (소설 ‘공자’ 중)

7. 점은 선이 되지 못하고
P111 利는 벼禾에 칼도 刀입니다. 칼로 벼를 베어 거가나 뺏어간다는 뜻입니다. 의義는 자해 字解가 여러 가지입니다만, 양羊을 칼我로 자르는 것, 양고기를 썰어 고루 나누는 것입니다.

P114 문왕은 사냥터를 개방하고 당신은 개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진정한 즐거움이란 독락이 아니라 여러 사람과 함께 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 맹자의 여민락입니다. 민본사상의 문화적 버전이라 할만합니다.

P117 맹자 曰 "하늘이 내린 재앙은 피할 수 있어도 자기가 불러들인 재앙은 결코 피하지 못하는 법이다." 자기가 먼저 자신을 업신여긴 다음에라야 비로소 남들이 자기를 업신여길 수 있는 법이라고 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