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갈매기 생각숲 상상바다 2
김남중 지음, 조승연 그림 / 해와나무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돈이 최고인 세상을 만들기에 혈안이 된 정치인과 재벌들은 자기 주머니로 들어올 돈만 생각하는 것 같다. 세계가 인정한 우리나라 서해안 갯벌, 천혜의 자원을 못쓰게 만들어버린 새만금 방조제를 어찌할꼬? 경제논리로 사람도 귀하게 여기지 않는 자들이 하물며 갯벌에 사는 무수한 생명들을 염두에 두겠는가? 오직 인간만이 주인인양 마음대로 밀고 허물고 채워 바닷물길까지 막아버린 악행을 저지른 것이다. 이 죗값을 어찌 갚으려고 그러는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사람들이 던져주는 과자맛에 길들여진 갈매기들은 애써 먹이를 찾지 않는다. 그저 뱃전에서 날며 던져주는 과자를 먹는 삶에 만족하는 갈매기가 있고, 갈매기스럽지 않은 짓이 부끄러워 그곳을 떠난 갈매기 흰둥이가 있다. 마침내 조용한 갯벌을 찾아낸 갈매기 흰둥이는 사람들과 철새 및 바다생물들과 먹이를 나누며 평화롭게 사는 게 행복했다. 하지만 행복도 잠시 뿐. 인간들은 방조제를 쌓아 바닷물길을 막아버린다. 밀물과 썰물이 드나들면서 날마다 마법같은 식탁을 차려주던 갯벌은 죽음에 이른다. 조개도 게도 더 이상 바닷물을 먹지 못하고 널브러져 죽음을 맞이한다. 또한 갯벌의 생물을 먹고 살던 갈매기나 철새도 먹이를 구할 수 없게 된다.

 

'위험한 갈매기'라는 제목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어찌해서 위험한 갈매기가 됐는지, 갈매기가 위험하다면 다른 것들은 위험하지 않은지도 헤아려볼 일이다. 세계에서 가장 긴 방조제를 쌓아 기네스북에 오른 걸 자랑스러워하는 우리나라, 과연 자랑스런 일일까? 천혜의 갯벌을 파괴한 죗값을 우리 후손들이 감당하면서 두고두고 땅을 치며 통곡할 일이 될 것이다.

 

어두운 바탕에 묵직한 색감으로 표현한 그림이 책 분위기를 잘 전한다. 갯벌의 죽음으로 삶의 터전을 잃어버린 갈매기와 새들과 어민들에게도 미안하고 수천의 갯벌 생명들에게도 미안하다. 눈앞의 이익에만 급급한 어리석은 인간을 절대 용서하지 말거라.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14-07-14 13: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눈앞의 이익에만 급급한 어리석은 인간.
쓰레기를 마구 양산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마구 만드는 그런 나쁜 사람이....
저예요.... 흐흑

순오기 2014-07-15 11:45   좋아요 0 | URL
누구든 쓰레기를 만들어내는지라 어리석은 인간 부류에서 자유롭지는 못하지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