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정리 편지 창비아동문고 229
배유안 지음, 홍선주 그림 / 창비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배유안 선생님의 '초정리 편지'는 2006년 제10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원고 공모에서 대상을 받은 작품이다. 2006년 겨울 책따세 추천도서였고, 2007년 우수문학도서로도 선정되어 독자들의 사랑을 듬뿍 받은 작품이다. 초등고학년이면 재미있게 읽고 이해할 수 있다.

한글날인 10월 9일이 공휴일이라면 놀러가느라 오히려 한글날의 의미를 새기거나 기념하는데 소홀할지 모른다. 다행히 학교가는 날이라 훈민정음을 만드신 세종대왕의 뜻을 새기며 고마움을 표현하는 날이 되는 거 같다.

우리 한글은 탄생 기록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문자고, 발음기관을 본떠서 만든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문자다. 또한 한글은 배우고 쉽고 활용성이 높은 소리글자다. 24개의 모음과 자음으로 무려 11,172자를 만들 수 있는 최고의 발명품이다. 가로, 세로의 직선과 네모, 동그라미 가지고 못 만드는 글자가 없는 자랑스러운 문자다. 과학적이며 우수하다고 세계가 인정한 우리글이 정작 우리나라에서는 홀대를 받는다. 글로벌시대라며 우리글도 미처 깨우치지 못한 꼬마들이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를 배우느라, 우리글이 뒷전으로 밀려난 현실이 안타깝다. 아무리 외국어를 잘해도 우리말과 글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 외국어로 표현해내는데 한계가 있다는 걸, 알 사람은 다 안다!

<초정리 편지>는 세종대왕이 초정리로 눈병을 치료하러 갔었다는 역사적 사실에, 훈민정음을 만든 후 실험했을거라는 작가적 상상을 더하여 그려낸 이야기로 상당히 흡인력이 있다. 토끼 눈 할아버지가 된 세종대왕은 초정리에서 만난 장운에게 글을 가르쳐주었고, 장운은 누이 덕이와 오복에게도 알려준다. 그 후, 드난살이를 떠난 누이와 편지로 소식을 전하는 대목은 참 감동적이다. 또 아버지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석수장이로 대궐 공사장에 간 장운이가 사람들에게 글을 가르치느라 바닥에 쓴 글자를 보고 토끼눈 할아버지인 세종대왕과 만나는 장면은 또 얼마나 감동적이던지... 실제 있었던 일처럼 착각이 들 정도였다.

사람 사는 세상은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 부자와 가난한 사람이 있고, 착한 사람과 악한 사람이 공존하는 세상이다. 자기 일에 열심인 사람이 있고, 어영부영 묻어가면서 남 잘되는 꼴은 못보는 시기쟁이도 분명 있는데, 이런 이들이 초정리편지에도 등장한다. 장인정신으로 돌확을 만드는 장운이는 훈민정음을 만드신 세종대왕의 정신과도 겹쳐졌다. 등장하는 사람들의 고운 마음씀씀이도 우리네 소박한 정이 묻어 나와 좋았다.

어린 백성을 미쁘게 여기사 훈민정음을 만드신 세종대왕의 뜻을 잘 담아낸 작품으로, 이 책은 이야기 단락을 ㄱ,ㄴ,ㄷ으로 표시하였다. 간간이 나오는 편지에선 지금과 다른 훈민정음 창제 때의 표기를 볼 수 있는데, 그때의 표기에 풀이를 덧붙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이 책은 이야기만으로도 재미를 주고 감동을 주지만, 한 면에 그려진 그림이 어찌나 고운지 우리 산수화를 보듯 그림에도 후한 점수를 줄 만하고, 책을 읽고 나서 그림만 주욱 살펴보아도 좋다.

  

  

 

집현전 학자들의 반대를 물리치고 우리글을 만드신 세종대왕은 민족의 위대한 스승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이 세종대왕이고, 그래서 세종대왕의 탄신일인 5월 15일은 스승의 날이 되었다. 훈민정음을 만드신 세종대왕을 기리고 우리글을 사랑한다면 <초정리 편지>를 꼭 읽어보길 권한다.

유네스코에서는 1997년에 한글의 문화적 가치를 인정해서 세계 기록 유산 70호로 지정하였, 또한 1990년부터 매년 9월 8일에 세계에서 까막눈(문맹) 퇴치에 크게 이바지한 개인이나 단체에 '세종대왕상'을 수여한다. 이것은 한글의 가치와 공적을 국제적으로 인정한 상징으로 우리의 큰 자랑거리라 할 수 있다.  한글을 창제하신 세종대왕의 뜻을 기리고 고마운 마음을 담아, 세계가 우수하다고 인정한 한글을 바르고 곱게 쓰고 사랑하자!^^

 

*문답으로 알아보는 한글, 한글날

1. 2012년은 훈민정음 반포 몇 돌이 되는 해인가?
2. 한글날은 언제, 누가 정했을까?
3. 왜 음력 9월 29일이었을까?
4. 기념일이 양력 10월 9일로 바뀐 이유는 무엇일까?
5. '한글'이란 글자 이름의 뜻은 무엇일까?
6. 한글로 씌어진 최초의 책은 무엇일까?
7. 최초의 한글 전용 신문은 무엇인가?

정답은 접힌 부분에~ ^^

접힌 부분 펼치기 ▼

 

1. 훈민정음이 만들어진 때는 세종(1392-1450) 28년인 1443년 12월이지만, 이를 세상에 내놓은 것은 3년 뒤인 1446년 9월이다. 올해는 한글 반포 566돌이다.

 

2. 지금의 한글날은 세종대왕 훈민정음 반포 480돌을 기리기 위해 1926년 조선어 연구회(한글학회)가 음력 9월 29일(양력 11월 4일)을 '가갸날'로 정한데서부터 시작되었다.

 

3. 세종실록에 '세종 28년 9월에 훈민정음이 이루어지다'는 기록을 좆아 이 달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29일을 반포일로 삼았다. 그러다가 1928년에는 '가갸날'을 '한글날'로 고쳐 불렀고, 여기서부터 한글이란 이름이 널리 쓰이게 되었다.

 

4. 한글날이 10월 9일로 바뀐 것은 1945년인데, 1940년 7월에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에 '정통 9월 상한'이란 기록이 있어 이를 근거로 9월 상순의 끝날인 9월 10일을 양력으로 환산해서 10월 9일을 한글날로 정한 것이다. 1946년에는 정부에서 공휴일로 정해서 기념해 도가 1991년부터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

 

5. '한글'은 <한(韓)나라의 글, 큰 글, 세상에서 첫째 가는 글>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창제 당시에는 '훈민정음'이라 불렀는데, 이밖에도 '언문, 언서, 반절, 암클, 가갸글, 국서, 국문, 조선글' 등으로 불렸다. 특히 '언문'이란 이름은 세종 당시부터 널리 쓰이다가 근대화 되면서 '국문'이라 부르다가 1910년대 들면서 '한글'이란 이름이 쓰이기 시작했다. 한글이란 이름은 한글학자 주시경 선생님이 붙였다.

 

6.1447년 5월에 나온 <용비어천가>로 모두 125장의 노래로 엮어졌다.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선전하기 위하여 만들었다고 한다.

 

7. 1896년 4월 7일, 서재필 선생님이 중심이 되어 만든 <독립신문>이다. 현재 발간되고 있는 한글 전용 신문으로는 '한겨레 신문'이 있다.

펼친 부분 접기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퍼남매맘 2012-04-15 11: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 딸이 요즘 이 책 읽고 있어요. 제가 읽으라고 강권(?)하였죠. 이 책 때문에 배유안 작가님을 좋아하게 되었죠.

순오기 2012-04-18 01:29   좋아요 0 | URL
답글이 늦었네요~
책을 좋아하는 따님은 충분히 재밌게 읽고 작가님도 좋아하게 될 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