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리뷰] 우리 '옛 이야기' 그림책 사진리뷰 올려주세요~ 5분께 적립금 2만원을 드립니다!
-
-
도깨비와 범벅 장수 ㅣ 옛날옛적에 4
한병호 그림, 이상교 글 / 국민서관 / 2005년 5월
평점 :
우리의 옛이야기 중에는 도깨비를 소재로 한 것이 많다. 내가 어려서 충청도 산골에 살때, 달빛도 숨어버린 밤길 묘지 옆을 지나려면 도깨비가 나올까봐 등골이 오싹했었다. 으시시~~그러면서도 할머니께 도깨비 얘기해 달라고 졸랐던 기억이 아슴프레 떠오른다. 요즘 아이들은 이런 정서를 모르고 사는 불쌍한(?) 아이들인지도 모르겠다. 그러니 엄마나 선생님들이 우리 옛이야기를 읽어줘야 하지 않을까? 그런 의무감에 다 큰 아이들에게도 열심히 읽어준다. ㅎㅎ~
이상교님의 글과 한병호님의 그림으로 나온 국민서관의 '도깨비와 범벅장수'는 세로줄 쓰기로 되어 오른쪽부터 읽어야 하는 낯섦이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우리 한글은 본래 세로줄쓰기를 바탕으로 창제된 글자로, 한글 자모의 꿋꿋한 세로 기둥들이 글자의 중심을 이루면서 글줄의 중심을 온전히 잡아준다고 한다. 그림도 민화적인 요소들이 잘 드러나고 한지에 그린 듯한 색감이 한국화 한 편을 보는 듯하다. 본래 우리 도깨비는 뿔이 두 개라고 한다. 뿔이 하나인 도깨비는 일제강점기 변질된 일본식 도깨비라고 한다. 한병호 선생님은 우리 도깨비 그림의 일인자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한 병호 선생님이 그린 도깨비 책을 여러 권 봤더니, 비슷한 색감과 형태의 도깨비들이 친숙하다.
장터에서 호박범벅을 다 팔지 못하고 돌아오던 범벅장수는 도깨비들에게 호박범벅을 주고, 항아리 가득 금돈과 은돈을 범벅 값으로 받았다. 호박범벅의 맛을 본 도깨비들은 다음에도 다 먹어치우고 항아리에 금돈을 가득 채워주었다. 범벅장수는 점점 더 큰 항아리에 호박범벅을 가져와서 도깨비들이 먹게 하고, 금돈을 가득 채워간다.
범벅 장수는 곧 큰 부자가 되었고, 금돈으로 논을 사고 은돈으로 밭을 사서 열심히 농사를 지었다. 그러니까 호박범벅을 팔러 다닐 필요가 없었다. 하지만 호박범벅을 먹지 못한 도깨비들은 농사를 망쳐놓으면 벅벅을 팔러 올 것이라 생각하고 논밭 위로 돌멩이를 가득 쏟아 부었다. 하지만, 영리한 범벅장수는 시치미를 뚝 떼고 말했다.
"개똥이었으면 농사를 망칠 뻔 했는데 돌멩이라 다행이야!"
도깨비들은 개똥을 논밭에 듬뿍 뿌려 놓았고, 그 결과 농사는 풍년이 되었다.^^
도깨비들은 아예 논밭을 떠메어 가면 호박범벅을 팔러 올거라 생각하고 네 귀퉁이에 말뚝을 박아 밤새 끌어 당겼지만 말뚝만 뽑혀 왔을 뿐이다. ㅋㅋ
"언제 먹어 보나 호박범벅! 아이고, 먹고 싶은 호박범벅!"
이 책은 굵은 글씨체로 나온 도깨비들의 말과 노래가 재미있어, 아이들은 흉내를 내며 좋아했다. 초등 저학년들은 그림에도 관심을 보였고 도깨비를 그리고 만드느라 한동안 신이 났다. 유치원이나 저학년 아이들이 보면 좋을 옛이야기지만, 고학년은 그 나름의 눈높이에 따라 소감의 차원이 다르다. 우리 막내가 6학년 때 독서록에 쓴 기록인데 제법 비평을 했다.
은혜 갚는 사람이 되자 - '도깨비와 범벅장수'를 읽고, 6학년 선민경
이 책은 영리한 범벅장수가 도깨비를 속여서 한 재산 모아 떨떵거리고 산다는 전형적인 옛이야기다. 책에서는 범벅장수가 영리하다고 했지만 나는 생각이 다르다. 범벅장수는 도깨비에게 호박범벅을 팔아 큰 돈을 받자 범벅을 팔지 않았다. 게다가 어떻게 하면 범벅을 다시 먹을 수 있을지 궁리하는 도깨비를 속여 농사도 풍년을 맞는다.
범벅장수는 도깨비에게 은혜를 입은 것이다. 그런데 재산이 늘어나자 입을 싹 닦고는 도깨비들에게 호박범벅을 만들어 주지 않았다. 부자가 됐으니 도깨비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호박범벅을 만들어 줄 수도 있었는데, 도깨비들에게 은혜를 갚지 않은 것이다. 범벅장수는 분명 영리했지만 고약한 마음씨를 가졌다. '결초보은'이란 말이 있으니 사람은 꼭 은혜를 갚아야 한다. 어려울 때 도움을 받고 냉큼 입을 씻어버리는 행동은 정말 동물만도 못하다. 사람들이 자기가 입은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을 때, 우리 사회는 더 아름다워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