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는 왜 사람과 함께 살게 되었나 그림책 보물창고 27
잰 브렛 글.그림, 이순미 옮김 / 보물창고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초등 3학년 1학기 읽기에서 개의 특성을 다룬 글이 나온다. 글 내용에 따라 문단을 구분하고 중심문장과 보충문장을 이해하는 단원이다. 글의 중심내용을 파악하고 핵심문장을 찾는 연습을 하며 설명문이 어떤 건지 배운다. 아이들과 친숙한 개의 특성을 설명하는 글을 통해 글쓰기의 기본을 배운다고 이해하면 될 듯하다. 개는 사람과 가장 가까운 동물로 생김새는 여러가지나 소리를 잘 듣고, 냄새를 잘 맡으며 영리하고 충성스럽다는 걸 알려준다.

교과서 읽기에선 사람들이 옛날부터 개를 길렀고 원래 이리처럼 사나운 짐승이었는데 사람들과 가까이 살면서 온순하게 길들여졌다고 설명한다. 그렇다면 언제부터, 어떤 이유로 사람과 가까이 살게 되었는지 궁금증이 생긴다. 그 궁금증을 해결할만한 그림책이 있다. 바로 '개는 왜 사람과 함께 살게 되었나'라는 책이다. 신생대 홍적세에 있었던 일이라고 설명하지만, 나도 이런 시대 개념은 없어서 잘 모르겠다. 그저 공룡이 살았던 쥐라기 이후로만 짐작할 뿐이다.^^

코뿔소 갈비를 가진 '킵'이란 소년을 따라 가는 늑대, 바로 갈비 냄새에 한조각 얻어 먹어 볼까 따라 붙는 설정이다. 하지만 킵은 욕심쟁이라서 전부 내거라며 한 조각도 던져 주지 않는다. 짜아식~^^ 그래도 단념하지 않고 따라붙던 늑대는 갑자기 도망치기 시작한다. 커다란 매머드와 곰과 호랑이를 먼저 발견했기 때문이다. 늑대를 따라 도망치고 몸을 숨겼던 킵은 위기를 넘기고 비로소 늑대의 고마움을 알게 된다. 늑대의 예민한 코와 밝은 귀와 날카로운 눈으로 위험에서 지켜준다면 불에 구운 코뿔소 갈비랑 매머드 고기를 나누어 주겠다고 약속한다. 늑대는 좋다는 뜻으로 꼬리를 흔들었고, 킵은 꼬리를 흔든다는 뜻으로 '개'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다고 한다.

이 책은 왜 늑대가 사람과 같이 살게 되었는지에 촛점을 맞췄다. 물론 언제부터 같이 살게 되었는지도 배경 설명으로 자연스레 알려준다. 그런데 이 책은 설득력이 좀 약하다. 신생대 홍적세라면서 주인공 소년은 마치 현대의 어린이처럼 그려졌다. 털옷을 입었다고 원시 소년이 되는 건 아니다. 잘 다듬어진 머리 모양이며 멋진 디자인의 털옷이 결코 원시 소년같지 않다는 것, 나만 그렇게 느끼는진 모르겠다. 하여간 정글북의 모글리나 늑대소년으로 불렸던 '와일드보이'보다도 현대적이다. 거기다 불에 구운 갈비라니! 또한 야생의 늑대가 처음부터 너무 온순하게 나온다. 소년의 갈비가 탐이 났다면 어떻게 해서든 빼앗으려는 시도를 해야 당연하지 않을까?

내가 어린이 눈높이로 내려가지 않고 까칠하게 반응하는지 모르지만 왜 같이 살게 되었는가에 대한 설득력이 약하다는 걸 말하는 거다. 동굴 벽화와 유물에서 힌트를 얻어 그렸다는 액자 형태가 오히려 그림의 집중력을 떨어 뜨린다. 액자 틀에 그려진 벽화와 액자 틀 밖에 그려진 그림이 산만하게 보여지기 때문이다. 원시를 잘 살려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산만함과 현대화된 주인공 때문에 높은 점수를 주기 어려웠다. 하지만 초등 어린이들의 반응은 나와 달랐으니 그들의 눈높이에는 잘 맞는 듯하다. 특히 3학년들은 읽기에서 배웠던 개에 대한 이야기라 훨씬 흥미로워 했으며, 자기들도 개를 키우고 싶다는 소망까지 피력하는 즐거운 책읽기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설 2008-10-29 09: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갖고 있는 잰 브렛의 그림책도 모두 한 페이지에 액자같은 틀이 있어서 메인 내용외에 다른 부가적인 내용을 그림을 소개하고 있는 것 같아요. 아마도 이 스타일이 잰 브랫만의 독특한 스타일이 아닌가 싶어요. 물론 그 때문에 다소 산만스런 느낌이 들기도 하네요. 그래도 늘 이 사람 그림 보면서 즐거워해요^^

순오기 2008-10-29 20:28   좋아요 0 | URL
아하 이분의 스타일이군요. 잰 브렛 책은 처음이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