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또 읽고
브레멘 음악대와 그림 형제 동화 그림책 보물창고 23
도리스 오겔 지음, 버트 키친 그림, 황윤영 옮김, 그림 형제 원작 / 보물창고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그림 형제가 쓴 동화책 - 브레멘 음악대와 다섯 편의 이야기

나는 어릴 때 <그림 동화>가 사람 이름이 아니고, 그림이 그려진 동화인 줄 알았다. 우리 막내도 그렇게 생각했다기에, 모녀의 이런 경험으로 아이들에게 소개할 땐, 형 야콥 그림(Jacob Grimm)과 동생 빌헬름 그림(Wilhelm Grimm)의 이름을 가르쳐 주었다. 영화 <그림형제;마르바덴 숲의 전설>에선 사기꾼 퇴마사 형제로 그려졌지만, 영화는 영화일 뿐이다. 그들은 신화와 전설, 민담 구전 자료들을 모아 <그림동화>를 펴내어 우리가 읽게 됐으니 참 고마운 형제다. 보물창고에서 새 책을 내면서 <브레멘 음악대와 그림 형제 동화>라고 제목을 붙여, 형제가 쓴 동화라는 걸 알려준 것으로도 충분히 가치 있는 일이다.


순전히 동물들의 이야기만 모아 놓은 여섯 편의 동화가 너무나 재미있고 지혜가 담겨 있어, 여러 번을 읽어도 그 재미가 더했다. 이야기마다 실사와 같이 섬세한 그림이 있어 정말 '그림동화'(?)가 맞구나! 낄낄 웃으며 즐길 수 있었다. 이야기 끝에 세 개의 별(***)을 붙여 적어 둔 짧은 해설은 어른과 아이 모두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아이들은 책이 제시하는 주제나 교훈 뿐 아니라, 참신한 발상으로 자기만의 생각을 펼치는 경이로움을 보였다. 그리고 단순히 동물세계의 일로 생각지 않고, 자기 교실에서 벌어지는 일이나 친구들에게 닮은 모습을 찾아내었다. 사람과 동물세계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공감을 표시하면서, 우화의 의미도 나름대로 받아들였다.


*'브레멘 음악대'를 읽어 주었더니, "동물이 늙어도 버리지 말자. 실컷 부려먹고 ?아내는 사람들이 나쁘다. 힘을 합쳐 도둑을 ?아내서 재미있다. 브레멘에 간다더니 왜 그 집에서 계속 살았을까? 동물이 늙어도 칭찬하고 사랑해주겠다" 는 등 솔직한 생각을 마구 쏟아내었다. 그리고 당나귀, 사냥개, 고양이, 수탉의 울음소리를 내며 시끄러웠다.


*'산토끼와 고슴도치 부부' 이야기는 아는 아이들이 거의 없었다. 아이들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고슴도치 부부의 꾀에 감탄하면서 "제가 먼저 도착 했네요" 라는 말을 따라 했다. "산토끼가 고슴도치를 놀리더니 벌을 받아서 고소해요. 산토끼가 고슴도치 부인에게 지혜를 배워야 해요. 뭐 하나 잘났다고 남을 흉보면 안돼요. 달리기 시합에서 고슴도치가 속인 것은 나빠요. 너무 웃겨서 죽을 것 같아요. 고슴도치는 머리가 엄청 빨리 돌아가요." 등 생각을 말했다. 비겁하게 신체적 약점을 비웃던 산토끼가 74번째 달리기를 하다 밭에 쓰러져서, 같이 집으로 가는 고슴도치 부부를 보지 못했다는 것에 아주 신나했다. 책상을 마구 두드리며 자기들의 꾀로 산토끼를 물리친 듯 즐거워했다.


*'새들의 왕'에선 상모솔새 정수리의 왕관에 신기하고 놀라워했다. 또 독수리가 잘난 체 뻐기다가 상모솔새에게 왕 자리를 뺏겼다는 아이들과, 독수리를 속이고 비겁하게 왕좌를 빼앗았다는 아이들로 패가 갈려 토론했다.


*'새들과 짐승들의 전쟁'에선 이솝우화의 박쥐 이야기인줄 알았다가, 새둥지를 우습게 알고 솜털뭉치라고 비웃은 곰에게 사과를 받아 낸 아기 새들이 대단하다고 칭찬했다. 아기 새들이 진짜 공주병 왕자 병이라는 아이들도 있었고, 진짜 솜털뭉치는 털이 많은 곰이라는 아이도 있었다. ㅎㅎㅎ


* 여우와 거위 떼'에선 여우가 바보같이 속았다는 아이들과, 거위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 준 여우가 착하다는 아이들로 나뉘었으니, 아이들은 착함과 악함으로 구별하는 것이 한 특징인 듯 하다.


*'늑대와 일곱 마리 아기염소'는 너무나 잘 알고 있음에도, 늑대를 물리치는 장면에 아주 즐거워했다.

엄마 말을 잘 들으면 자다가도 떡을 얻어 먹는다는 말로 마무리를 했다~


이 정도의 반응이면, 아이들도 충분히 작가의도와 주제를 이해하고, 책이 주는 교훈 뿐 아니라 재해석 단계까지 충실한 독자라 할 수 있겠죠? 너무나 잘 아는 이야기지만 볼 때마다 새로운 해석이 가능한 책으로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