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우리는 서구식 근대화가 전지구적으로 확산된 것이 아니라 세계에는 ‘여러 방식의 근대들‘이 존재했다고 간주한다. - P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미니언 - 기독교는 어떻게 서양의 세계관을 지배하게 되었는가
톰 홀랜드 저자, 이종인 역자 / 책과함께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유럽에서 기독교가 서유럽인의 정신을 형성하는데 끼친 영향에 대해 다룬 책. 타락하고 괴상한 것으로 취급받던 소수의 신앙에서 출발한 기독교가 어떻게 서양정신의 근원이 되었는지 탐구한다. 대단히 혁명적이고 전복적인 기독교의 정신을 알게 해준 책. <기독교의 전 역사는 혁명의 공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스도 안에서는 유대인도 그리스인도 없습니다" 이 말은 가톨릭교회 초창기부터 기독교를 유대교와 구분하는데 활용되던 구절이다. - P6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하여 루터는 이렇게 믿게 되었다. 새로운 ‘개혁‘조치를 통해서만 기독교 신자들은 교황청의 점점 어두워지는 그림자로부터 구원을 받을 수 있다. - P4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