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명자본 - 게놈 이후 생명의 구성 프리즘 총서 8
카우시크 순데르 라잔 지음, 안수진 옮김 / 그린비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선 저자는 인류학자이다. 그런 그녀가 이 책을 통해 생명공학과 자본주의에 대해 인류학적 관점에서 이야기한다고 서두에 말한다(책을 완독한 결과 나로서는 이 문제가 인류학과 무슨 관계인지 모르겠다)

저자가 다루는 것은 유전자연구의 발달로 인하여 생명과학이 기업화되며 자본주의와 깊이 관련되는 것에 대해 상당히 세세하게 이야기한다. 즉 2000년대 초반의 바이오 산업 투자 열풍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바이오 산업에 관련되어 여러 철학적인 논제도 이야기하고, 특히 게놈학의 산업화에 대한 여러 담론을 소개한다. 아마도 이 부분은 요즘 AI의 열풍과 관련 기업들의 높은 주가의 분석에도 쓰일 수 있는 분석일 듯 싶다.

하지만 점점 나아갈수록 저자는 왜 인도에 미국과 같은 혁신벤처사업이 자리잡을 수 없는가에 대한 원인분석에 이르른다. 즉 저자는 '생명자본'과 인류학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게 아니라 미국의 기업가 정신을 인도로 도입할 때의 문제점을 민족지학적으로 연구한다.

결론은 용두사미. 뭔가 음식은 많이 차려놨는데 결론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