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가 인생 최후에 남긴 유서
프리모 레비 지음, 이소영 옮김 / 돌베개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에서 불운은 그야말로 이유없이, 랜덤하게 다가온다. 하지만 인간이라는 존재는 자신에게 닥친 불운을 본능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며, 고대인들에게 모든 불행의 원인은 신이었다. 하지만 제2차세계대전 중 유대인들이 겪은 불행은, 결코 신에게 그 원인을 돌릴 수 없는, 그야말로 비합리적이고도 압도적인 불행이었고, 다행히 수용소에서 살아남은 극소수의 사람들은 자신이 겪은 일을 이해하고 극복하기 위해 평생을 노력하였고, 그 중 많은 수는 결국에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 중 한 명이 이 책의 저자, 프리모 레비다.

수용소 출신의 많은 생존자들이 그러했듯이, 프리모 레비도 전후 1947년에 자신이 겪은 수용소의 체험기인 '이것이 인간인가'를 출간하였다. 출간 직후에는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지만, 1958년 영어판 출간과 함께 대중의 주목을 받게 되었고, 그 후 프리모 레비는 여러 소설과 수필을 출간하였고, 1986년에 이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를 펴낸 후 1987년에 스스로 그 생을 마감하였다.

나는 이 책에서 프리모 레비가 온 생애를 다하여 왜 그 말도 안되는 비극이 일어나게 되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음을 알게 되었다. 차라리 옛 사람들처럼 신에게서라도 그 이유를 찾지, 그는 인간에게서 그 원인을 찾고, 나치가 왜 그런 참극을 벌이게 되었는지를 날카롭고도 깊이있게 파헤친다. 그는 정말 최선을 다해 그들을 이해하려고 하였고 이 책은 그런 그의 노력의 결과다.

나는 이 책은 이 시대에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로 꼽는다. 현재 세계에 불어닥치는 극우의 열풍 아래에서 우리가 제대로 된 방향을 잡고 세상을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이 책만큼 우리에게 가르침을 주는 책은 없다고 생각한다. 아우슈비츠는 나와 당신을 포함한 보통 사람들에 의해 운영된 기관임을 기억하고, 우리는 반드시 그 어떤 경우에도 전쟁과 폭력이 필요치 않음을 명심해야 함을 이 책은 명징하게 주장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우지 마시오 - 수학자들의 칠판
제시카 윈 지음, 조은영 옮김 / 단추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칠판과 분필은 우리 인간이 교육을 함에 있어 대단히 효율적인 수단이 되어 왔다. 하지만 IT기술의 발전으로 티칭의 도구로 다른 수단들이 등장했지만, 수학 과목에 있어서는 아직까지는 칠판과 분필만큼 효율적인 도구가 존재하지 않는 듯 하다. 여러 사람들이 칠판을 보며 자유롭게 쓰고, 또 지우면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과정이 수학에서는 대단히 강력한 도구인 것이다.

이 책의 저자인 사진작가 제시카 윈은 그런 수학자들의 칠판에 주목하고 이를 사진으로 기록한다. 수학자들이 칠판에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키는 과정과 그 결과물을 남기면 저자는 이를 촬영하고 그 수학자로부터 그 또는 그녀에게 수학이 가지는 의미와 왜 칠판이 수학에서 중요한 도구인지를 인터뷰하고 이를 책으로 엮었다.

즉, 이 책은 수학책이라기보다는 예술사진집으로 분류되어야 한다는 것이 내 생각이고, 예술작업으로서는 충분히 의미가 있고 아름답다라고 할 수도 있다.

다만, 나처럼 수학바보에게는 난해한 추상미술과 전혀 다를바 없는 작품이라는게 비극. 수학의 세계를 아는 사람들에게는 극도로 아름다울지 몰라도 나로서는 난해한 현대미술관을 다녀온 기분이다. 결국 내 결론은, 세상에 이런 세계도 존재하는구나 정도. 나에게 정말 이해가 불가능한 세계가 있으니, 바로 수학이다ㅠ.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