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 사진에 박히다 - 사진으로 읽는 한국 근대 문화사
이경민 지음 / 산책자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진실을 보여주는 가장 진솔한 도구가 무엇인가고 물으면 뭐라고 대답할까...눈, 마음, 사진... 그러나 사실 눈은 내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마음은 더 그렇고, 사진도 어느 각도에서 어떤 순간에 찍느냐에 따라 보여주는 상황이 백팔십도 바뀌기가 십상이다. 또, 일기가 진실하냐, 그렇지 않기가 매우 쉬움을 우리는 알고 있다. 사람은 때로 자신에게도 자신을 꾸며 보이려 하므로. 그래서 더러 죽음으로 진실을 밝히고자 하나, 죽음 앞에서 꼭 진실하기만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확신은 없다. 죽는 이의 진실이 꼭 진실이 아닐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때 사진을 쳐다보는 것에 매달린 적이 있다. 나름대로 사진이 진실에 가깝고, 진정한 의미의 증언이란 걸 할 수 있다고 믿어서다. 지금처럼 사진을 바꾸고 꾸미는 일이 쉬워지기 전, 젊은 시절에. 카메라 하나 둘러메고 전장을 누비는 종군사진기자의 사진 한 장이 얼마나 많은 이야기를 담아내는지 감탄하고는 했다. 적어도, 진실 혹은 사실에 가까운 매체가 사진이라 여겼다. 

이 책은 그런 의미로 경성이라 우리가 부르는 서울의 지난 시간의 진실(매우 불완전, 불확실하기는 하지만)의 기록이다. 주로 일제 식민치하의 기록으로 점철되었으나 분명히 거기, 그 시간에 존재했던 경성. 슬프게, 혹은 역동적으로 살아 숨쉬었던 근대의 기록. 당시 '사진 찍다'라는 말은 없었던 듯, 모든 신문기사나 광고가 '박다' '백히다'로 적혀 있어 사실이나 진실을 있는 그래도 '박아' 기록하는 사진 매체의 속성이 더 실감있게 다가온다. 

우리가 기억하는 일제강점기는 잿빛이거나 핏빛이다. 죽어 있거나, 투쟁으로 불타올랐거나 둘 중 하나이다. 항일이거나 친일이거나 둘 중 하나이다. 그게 나는 내내 슬펐다. 그 시절을 어떤 기회로 돌이켜 보게 될 때면. 그러나 이 책에 실린 그 시절은 온갖 천연색으로 꿈틀거렸다. 나는 사진기를 훔치기 위해 벌어진 소소한 사기극을 들여다보며, 그때도 횡행했던 범죄에 분노한 것이 아니라 정말 사람들이 살아 있었구나,라는 느낌에 킥킥 웃었다. 사람이 살자면 좋고 나쁜, 심각하고 조금은 덜 심각한 일들이 와글와글 섞여 있어야 정상일 텐데, 일제강점기라는 말 한 마디에 그 모든 삶들이 사라져 버린 듯한 느낌을 받아왔었다. 그러나 이 책에서 사진으로 혹은 신문기사로 들여다보는 그 시절은 그야말로 사람 사는, 그러나 세상이 변화로 급물결치는 그런 모습이었다. 

한용운, 유관순의 사진은 그 비분강개, 우국충정이 그야말로 고요히 가라앉아, 보이는 듯 감춰진 듯 묘한 느낌으로 다가왔고, 사랑을 이루지 못해 혹은 이루기 위해 목숨을 버린 숱한 정사(情死)의 주인공들이 무슨 말인지를 내게 걸어오는 듯 했고, 그 시절에도 자신의 얼굴과 몸을 내놓고 사람을 모으던 기생들의 삶이 가깝게 느껴졌다.  

사진이 그 모든 걸 하게 했다. 근대라는 시공간이 사진이라는 촉매에 의해 더 심히 물결치며 흘러왔구나 하는 새삼스러운 느낌을 가졌다. 참 독특한 책이고, (문학 지향적인 내게도) 나름대로 의미롭다. 그러고 보니, 책 표지도 예사롭지 않다. 무광과 유광 코팅을 적절히 섞어 사진의 느낌을 잘 살렸다. 공이 많이 든 책이다. 표지에 박힌 저 아름다운 여성이 낯설지 않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