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꽃 지다 - 강요배가 그린 제주 4.3
강요배 지음, 김종민 증언 정리 / 보리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1998년 학고재에서 나왔던 책이 새롭게 보리에서 선보였다. 부제는 <강요배가 그린 제주 4.3>.  

언제부턴가 4.3을 제주와 함께 떠올려 보지 않았다. 요즘처럼 봄꽃이 만개한 철, 제주는 그야말로 이국적인 풍광에 밝은 햇살이 마음을 간질이는 계절 속에 있겠다, 그런 이미지로만 제주를 생각했다. 그러나 이 책으로 정통으로 뒤통수를 얻어맞고 말았다. 핏빛 제주. 

국민학교 때던가, 중학교 때던가. 4.3이란 단어가 수업시간에 스쳐 지나갔던 기억이 떠올랐다. 교실마다 대통령의 사진이 걸려 있고, 아이들이 흡사 도깨비처럼 생긴 빨갱이를 그려대던 그 시절. 그때 이해하기로는 북으로 넘어가지 않은 빨갱이 잔당들이 제주도에서 난을 일으켜, 많은 사람들이 감옥에 갇혔고, 그 중 아직도 전향하지 않은 죄수들이 있다는 것 정도였다. 그리고 4.3은 별로 언급되지 않았다. 어디에서도. 그래서 기억 속에서 희미해져갔던 것이다. 

대학 시절 기숙사 같은 방에 고 씨 성을 가진 제주도 후배가 살았다. "고와요~"라는 말을 자주 썼던 그 후배가 내가 만난 첫 제주도 사람이고, 다시금 4.3을 떠올렸다. 그러나 우리는 4.3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았다. 지금 간혹 만나는 오 씨 성의 어떤 청년도 제주도 사람이다. 그러나 그와도 4.3에 대해 말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들은 4.3을 이야기하고 싶어 했다. 아니 그랬을 것 같다. 다만 선뜻 꺼내지 못했으리라 지금에야 속을 짐작해 본다. 겪어보지 못한 젊은 그들에게조차 4.3은 눈 감으면 선연히 떠오르는 풍경이 아닐까 싶기 때문이다.  

그 오랜 고난의 역사, 마치 거대한 감옥처럼도 느껴지는 섬이 당해온 수탈의 역사, 그리고 지난한 항쟁의 역사. 제주도.  

남로당이 주동 역할을 하기는 했으나, 항쟁에 참여한 사람들 대다수는 그저 '살기 좋은 세상'을, '평화롭게 지낼 수 있는 제주도'를 원했던 것 뿐이었을 것이다. 그 수많은 남과 여, 노와 소가 달리 무엇을 바랐을까! 찢기고 베이고 밟히며 그처럼 간절히 바랐던 것이 뭐 다른 것이었을까! 그 고립된 곳에서 민초들이 겪었을 공포와 아픔이 강요배의 그림 속으로 녹아들었다. 

강요배는 소위 뭔지 모르게 아름답지만 솔직히는 난해한 '예술'을 하는 사람이 아니다. 그의 그림은 아플 정도로 직설적이다. <始原>에서 할머니와 어린아이는 뒤쪽에 선 나무와 구별되지 않게 닮았지만, 말하고자 하는 바가 뚜렷하다. 태어남과 죽음의 슬픔, 그러나 그 끈의 간단없음에 대한 경외감 등이 한눈에 들어온다. 죽 넘기면 검은 그림 속으로 핏빛이 스며있음이 절절히 다가온다. 하나하나를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들이 얼마나 숨죽여 살아왔는가가 아우성으로 흔들린다.

모든 집단학살은 철저히 정치적이다. 이데올로기라는 것, 지식인으로 자처하는 이들의 빛좋은 개살구이고, 민초들은 그저 아이들 크는 것 바라보며 평화로이 살고자 할 뿐이다. 세상 돌아가는 걸 보면 울컥거릴 때 많은 나이가 되고 보니, 그 숱한 원통한 넋들과 살아남은 제주도 사람들의 깊은 아픔을 그저 녹진녹진 어루만져주고 싶은 마음 뿐이다. 4.3. 우리 모두에게서 잊히지 말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