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판의 아이
아마두 함파테 바 지음, 이희정 옮김 / 북스코프(아카넷) / 2008년 2월
평점 :
품절


본문 572쪽의 이 책을 읽는 매일밤 늦은 시간은, 일종의 평화가 찾아드는 시간이었다. 마치 기교 없이 있는 그대로를 보여주는 무성영화를 보는 듯, 귀나 눈의 성가신 자극 없이 편안하게 읽히는 책이었다.

아마두 함파테 바는 1900년에 태어나 1991년에 죽었으니 요즘으로 견주어도 매우 장수한 인물이다. 그가 90년 넘는 세월 동안 지켜본 아프리카의 삶과 생각, 전통이 고스란히 이 책으로 전해질 수 있었던 것은 참 의미롭다. 이 책을 읽기 전과 후의 아프리카에 대한 내 생각은 많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른 독자들도 비슷하지 않을까 싶고.

아마두의 삶은 프랑스 식민지로서의 말리 인들의 삶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백인들은 똥조차도 남다른 별개의 종으로, 어떤 백인도 흑인을 향해 채찍을 휘두를 수 있던 시대이니 더 말할 것도 없다. 아마두 역시 차출되어 프랑스의 식민교육 대상자로서 프랑스어를 배워 흑백인, 즉 백인의 하수인으로서 토착민들에게 프랑스식 문화를 전수하는 중간자 역할을 했고, 그 일이 작가로서의 기반을 닦는 계기가 되기도 했으니까. 그러나 <들판의 아이>에 등장하는 작가를 비롯한 수많은 인물들은 여전히 아프리카의 전통을 목숨처럼 귀하게 여기는 자부심의 상징들이었다. 아무도, 조상과 자신들의 땅과, 이웃을 함부로 대하지 않았고, 밖에서 어떤 일이 벌어져도 자연과 동화되는 정신세계는 놀랄 만큼 고요했다. 그들은 그 흙먼지 요란한 길에서, 저녁마다 마을 사람들이 모여 노래하는 공동체에서 더없이 행복했던 것이다.

그처럼 깊은 강물과도 같이 깊이 흐르는 정신세계를, 다른 문화에서는 어쭙잖은 잣대로 '야만'이라고 몰아부쳤고, 지금도 그러고 있다. 그들이, 총과 대포를 앞세우고 증기선과 기차를 앞세워 한 구석으로 몰아넣은 아프리카인들은 다만 그런 기계에 일시적으로 주눅들었을 뿐이고, 틈만 나면 이 유서 깊은 종족들은 백인을 우습게 여겼다. 이들의 전통과 관습에 대한 이야기, 그 의미를 차근차근 읽고 나면 독자인 나도 백인들이 우스워졌다. 그 하얀 벽돌 집과 은식기가!'아프리카 사람들끼리 있을 때는 식민 당국의 어떤 명령도 통하지 않았다. 특히 조그만 선물이 오갈 땐 말할 것도 없었다.'(567p.)는 문장은 서구식 합리에 길들여진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가 자못 심장하다.

이 책에서는 한 마디도 누구를 비난하는 문장이 없다. 아마두는 아프리카의 지혜에서 비롯된, '누구에게도 한 조각 착한 마음은 남아 있기 때문에, 인간에 대한 기대를 결코 저버려선 안 된다는 사실'(453p.)을 잘 아는 사람이다. 그는 보이는 현상 뒤에 숨은 실낱같은 호의를 찾아내는 눈을 가졌고, 그럼에도 '상관을 받들되 신처럼 여기지는 말라.'(570p.)는 어머니의 충고를 한 시도 잊지 않는다. 그래서 이 책의 많은 등장인물들은 조금씩의 결점을 지녔으나 한결같이 인간적이다. 그들 위로 어떤 역사가 지나가며 피를 부르고, 삶의 터전을 황폐화시켰든지, 그들은 훼손되지 않았다. 적어도 이 책에서는.

아마두의 어머니 카디야의 삶은 마치 자식을 공부시키기 위해 몸뻬 바지 하나로 사철을 나며, 부엌 바닥에 쭈그리고 앉아 식구들이 남은 음식을 맛나게 먹었던 우리네 어머니의 삶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그러면서도 곧은 정신 하나는 누구도 못 건드리게 했던 그 꼬장꼬장한 삶을. 그토록 잘 생겼고, 품위 있고, 강했으며, 동생을 사랑했던, 아마두의 형 함마둔이 허망하게 죽음을 맞이했을 때는 얼마나 마음이 아팠던지. 그 어머니 카디야의 마음 속이 들여다보이는 느낌이었다. 눈물을 보이지 않고 돌아설 줄 아는 강한 어머니의 마음을 나는 이제 안다.

이 책, 마치 어릴 적 내 삶의 일부와도 겹쳐지는 듯한 아마두의 어린 시절은 낯설면서도 친숙한 느낌이다. 한 번쯤, 지나치게 비장하거나, 끔찍하지 않은 그냥 아프리카 이야기를 듣고 싶은 모두에게 권한다. 눈꼽만큼 남은 우월의식 따위 집어던져 버릴 자세가 된 모든 사람들에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