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수아비의 여름 휴가
시게마츠 기요시 지음, 오유리 옮김 / 양철북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졸업>을 읽으며 매우 공감했던 작가 시게마츠 기요시의 작품을 두 번째로 접한다. 이 작가의 작중 화자는 대체로 선생님이다. 그리고 선생님으로 교단에 서면서 느끼는 매우 섬세한 감정의 변화를 정확히 묘사해 낸다. 아마 선생님을 했었거나, 선생님을 가족으로 두었거나 했을 터,라고 생각한다.  

  이 책에 등장하는 고등학교 고문선생님인 유스케나 초등 선생님인 고타니는 모두 소위 말하는 좋은 선생님이다. 아이들 편에서 바라보고, 아이들을 이해하고, 강압보다는 말로 이해시키려는 선생님. 더러 옆자리의 선생님으로부터 비아냥을 듣기도 하지만 그것이 자신의 방식이다. 

  요즘 아이들 앞에 선생님이라는 이름으로 선다는 것, 많은 감정이 오가는 일임에 틀림없다. 좋은 선생님 소리 들으려면 '참아야 해.'라는 소리를 연이어 속으로 뇌까려야 하고, 때로 비겁하다 싶은 생각 들게 웃거나 동감임을 꾸며 보여야 하고, 그렇지만 그것이 거짓은 아니다. 아이들 편에 서려 노력하는 것이 압제적인 선생님보다는 낫다는 신념 또한 정직한 마음이다. 그러나 그러다보면 어느새 허수아비가 되어 있기도 한다. 

  허수아비. 이 말이 책 속에 등장하는 순간 가슴이 지긋이 저려왔다. 소위 좋은 사람들은 어느 집단에서나 허수아비가 되어버리기 십상이다. 새들이 두려워하지 않는 허수아비, 아무도 무서워하지 않는 선생님, 자식에게 비웃음의 대상이 되어 버리는 부모, 친구들에게 바보로 낙인찍혀 버리는 아이. 그런 사람들은 대개 착하다. 악독한 이는 적어도, 허수아비는 되지 않으므로.

  저마다 치열하게 살다가, 어느 순간 허수아비가 되어 버리는 사람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이 가득한 책이다. 책 뒤표지에 '삶의 중요한 전환점에 서 있는 이들에게 바치는 따스한 위로와 휴식 같은 소설'이라고 되어 있는데, 읽고 나니 공감되는 말이다. 

  이 작가의 다른 책도 읽어야지 하고 생각한다. 내게는 공감의 울림이 크다. 같은 시대를 살아와서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