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겸재 정선, 붓으로 조선을 그리다
이석우 지음 / 북촌 / 2016년 2월
평점 :
절판
겸재는 84세의 인생을 살면서 영광도 많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시련도 많았던 사람이다.
오욕칠정을 고루 맛보는 동안,그의 예민한 역사 감각이 형성되었으리라.
의금부 [義禁府]
정선, 1729, 지본담채.
광화문에서 백악을 바라보며
서울 한복판, 대한민국의 중심축인 세종대로에 햇살을 받고 서 있다.
겸재 인생이 무르익었던 인왕곡
다시 서쪽으로 눈을 돌리면, 왕의 품위를 지닌 인왕산이 언제나처럼 반긴다.
겸재는 1751년 76세의 나이에, 일생을 함께해 온 벗이자 후원자였던 사천 이병연1671~1751, 겸재보다 다섯 살 위 을 생각하며 <인왕제색>을 그린다.
김조순의 시문집 <풍고집> 제16권에는 겸재가 가난하여 먹고 살 길이 막막하자,
"고조부인 김창집에게 먹고 살 수 있는 작은 벼슬이라도 구해 달라고 요청하므로 정선에게 도화서에 들어가도록 권하여 처음으로 벼슬살이를 했다"라는 기록이 있다.
청풍계 인왕곡 시절에 겸재가 남긴 명작
정문입설
정이 선생을 뵈러 간 제자들이 사색하는 스승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눈을 맞으며 기다리는 모습으로 선비의 풍모가 드러난다.
인곡유거(仁谷幽居)
정선, 18세기 중엽, 종이에 수묵담채.
인곡유거 부분
여인의 가슴처럼 부드럽게 올라간 인왕산 산자락은 누워있는 나부裸婦를 방불케 하고, 오른쪽 상단의 바위산은 남성성을 드러내는 듯 보이기까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