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겸재 정선, 붓으로 조선을 그리다
이석우 지음 / 북촌 / 2016년 2월
평점 :
절판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216/pimg_7121391331364919.jpg)
겸재는 84세의 인생을 살면서 영광도 많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시련도 많았던 사람이다.
오욕칠정을 고루 맛보는 동안,그의 예민한 역사 감각이 형성되었으리라.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216/pimg_7121391331364920.jpg)
의금부 [義禁府]
정선, 1729, 지본담채.
광화문에서 백악을 바라보며
서울 한복판, 대한민국의 중심축인 세종대로에 햇살을 받고 서 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216/pimg_7121391331364921.jpg)
겸재 인생이 무르익었던 인왕곡
다시 서쪽으로 눈을 돌리면, 왕의 품위를 지닌 인왕산이 언제나처럼 반긴다.
겸재는 1751년 76세의 나이에, 일생을 함께해 온 벗이자 후원자였던 사천 이병연1671~1751, 겸재보다 다섯 살 위 을 생각하며 <인왕제색>을 그린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216/pimg_7121391331364922.jpg)
김조순의 시문집 <풍고집> 제16권에는 겸재가 가난하여 먹고 살 길이 막막하자,
"고조부인 김창집에게 먹고 살 수 있는 작은 벼슬이라도 구해 달라고 요청하므로 정선에게 도화서에 들어가도록 권하여 처음으로 벼슬살이를 했다"라는 기록이 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216/pimg_7121391331364923.jpg)
청풍계 인왕곡 시절에 겸재가 남긴 명작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216/pimg_7121391331364924.jpg)
정문입설
정이 선생을 뵈러 간 제자들이 사색하는 스승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눈을 맞으며 기다리는 모습으로 선비의 풍모가 드러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216/pimg_7121391331364925.jpg)
인곡유거(仁谷幽居)
정선, 18세기 중엽, 종이에 수묵담채.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216/pimg_7121391331364927.jpg)
인곡유거 부분
여인의 가슴처럼 부드럽게 올라간 인왕산 산자락은 누워있는 나부裸婦를 방불케 하고, 오른쪽 상단의 바위산은 남성성을 드러내는 듯 보이기까지 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216/pimg_7121391331364928.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216/pimg_7121391331364929.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216/pimg_7121391331364930.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216/pimg_712139133136493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