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자리의 4 6

1 : 술잔을 돌릴 때 가급적이면 주량이 센 사람에게 권하지 말고 술을 잘 못하는 사람한테 권하라 
주량이 센 사람한테 권하면 자신한테 술잔이 돌아올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2 : 술잔의 3분지 1의 양은 늘 남겨놓고 다른 사람이 권할 때나 비로소 비우고 돌려라.

3 : 가급적 술잔은 2~3개 갖고 있는 사람한테 집중 공략하라.
그러면 그 사람으로부터 자신에게 돌아올 확률은 그만큼 늦어지거나 적어진다.
따라서 잔이 없는 사람이 많아져 술잔의 공백을 분산시키는 계기가 된다


4 : 가능한 한 자신의 술잔을 비워두지 않는다.
술잔이 비면 자꾸만 돌려야 하고 잔이 없는 자신에게 돌아올 확률이 높다.
다만 입에 술잔을 대지 않으면 강요를 받으므로 늘 3분지 1 은 남겨야 한다

1 : 대화중 옆 사람하고만 심취하지 말라.
그것은 좋은 매너가 될 수 없으며 전체적인 분위기를 해친다.


2 : 상호간 의견 대립이 민감한 화제는 가능한 피하고 공감대 형성이 쉬운 화제를 나누라.

3 : 전체적인 화제를 주도하게 될 때 자신만 잘 아는 화제로 이끌면 사람들이 피곤해 한다.

4 : 사정상 부득이 먼저 좌석을 떠나려면 화장실을 가는척하고 자연스럽게 벗어난다.
한창 분위기가 무르익는데 간다고 하면 분위기가 어색해지고 벗어나기가 힘들어진다.


5 : 지나치게 점잔을 빼면 곤란하고 적당히 취한 척해서 분위기에 어울린다.

6 : 다음날 직장엔 꼭 출근하고 전날 술좌석의 해프닝은 가급적 화제로 삼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술자리의 4훈 6계
    from 내가 사귀는 이들, 翰林山房에서 2011-05-12 13:42 
    * 술자리의 4훈 6계- 후애님의 술자리의 4훈 6계 글을 읽고4훈은 모두 어떻게 하면 술을 적게 마실 수 있는가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이와 같은 4훈이 발생하게 된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과음이 많고 술을 많이 마실 수 있는 것이 능력으로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술 마신 능력이 사회적으로 능력으로 여기게 된 바탕에는 인맥 중심의 문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맥 중심의 문화는 장점도 있지만 현재는 사회적으로 단점이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1훈: 술잔을 돌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