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편지
류지용 지음 / 동아일보사 / 2010년 2월 

P.107-109 : “아버지, 저는 이름을 가질 거예요!”
허엽이 어린 딸을 빤히 쳐다보았다.
“시호를 갖고 싶다는 말이겠구나. 조선의 여인 중에는 아직 없다. 알고 있느냐?”
“아버지, 여자가 이름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이 부당합니다. 사람으로서 이름을 가지지 못한다는 것과 글을 짓는 사람으로서 시호를 가지지 못한다는 것이 모두 부당합니다.”
“글자를 알면 생각을 가지게 되고 생각을 가지게 되면 상대방에게 따지게 되어 있다. 여자는 시시비비를 따지면 안 되느니라. 그게 세상 사람들의 생각이다.”
“남자들의 생각이겠지요. 그건 옳지 않아요.”
“그래? 옳지 않다면 바꾸어야지.”
“아버지. 지어주세요.”
“이름을 짓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나 오직 집안사람들만이 네 이름을 부를 것이다.”
“나중에는 세상 사람들이 부르게 될 거예요.”
“하하하. 먹을 가는 것보다 네 말을 듣는 것이 더 후련하다. 시름이 없어졌어.”
…허엽은 오동나무에 난설헌(蘭雪軒)이라는 당호를 써서 처마 밑에 달았다. 태양이 높이 떠서 그 빛이 맹렬한 속도로 부서지는 날이었다. 초희는 녹의홍상을 입었다.
“난혜지질(蘭惠之質)에서 난蘭을 땄다. 여자의 빼어난 문재를 유서재라 한다. 하늘하늘 땅으로 늘어진 버들개지다. 푸른 버들개지를 흰 눈에 비유하여 서설이라고 한다. 허니 그 두가지를 합한 난설은 고결하고 뛰어난 문재를 가진 여자를 의미한다. 난설헌. 마음에 드느냐?
“마음에 드옵니다.”
초희가 녹의홍상 허리를 굽히고 까만 머리를 숙였다.
“초희는 아름답고 재주가 뛰어난 여자라는 뜻이다. 아비는 너에게 두 개의 이름을 주었다. 본명 초희와 시호인 난설헌이다. 내가 너를 높이 보았다. 이름값을 해야 할 것이야. 자는 네가 지어라.”
“벌써 지었어요. 아버지. 중국 여류시인 번부인의 이름을 딴 것이옵니다. 경번이라 합니다.”
“좋구나. 오늘을 기억하여라. 네가 시인으로 태어난 날이다.” - 알라딘


댓글(5)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후애(厚愛) 2010-04-07 05: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관심가는 책이다. 전에부터 <허난설헌>에 관한 책을 찾아서 읽을려고 했었는데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나중에 이 책은 꼭 구매해서 보고싶다.

꿈꾸는섬 2010-04-06 10: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허난설헌이 아니고 헌난설헌인가요?

후애(厚愛) 2010-04-06 10:21   좋아요 0 | URL
앗 실수~ 수정했습니다.^^

순오기 2010-04-06 2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호~ 흥미롭네요.
나도 찜해둬야지!^^

후애(厚愛) 2010-04-07 06:00   좋아요 0 | URL
이 책은 꼭 봐야겠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