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망각의 기술
이반 안토니오 이스쿠이에르두 지음, 김영선 옮김 / 심심 / 2017년 6월
평점 :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h/j/hjh8s/20170622_210402.jpg)
삶의 질을 완성하는 기억과 망각의 메커니즘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다!
우리는 모두 기억을 먹고 살아가는 존재들이며, 기억의 산물이다. 끊임없이 발생하는 감각 정보들을 받아들여 이를
저장시키고, 회상이라는 작용을 통해 복기해나가는 일련의 연속된 행위들 속에서 우리의 삶이 유지된다. 알츠하이머나 치매와 같이 기억장애를 지닌
이들이 겪는 곤란함에 비추어보았을 때 기억은 생존과 결부될 만큼 기능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기억은 정서적이기도 하다. 추억이라는
이름으로 행복한 감정을 불러일으키기도 하고, 잊고 싶어 몸부림치게 만드는 아픈 상처들을 상기시키기도 한다. 왜 반드시 잊고 싶은 기억은 유독
끝끝내 잊히지 않는 것인지 모르겠다. 영화 <맨 인 블랙>처럼 기억을 지워주는 아이템이라도 있다면, 불쑥불쑥 떠오르는 괴로운 기억
따윈 모조리 지워버릴 수 있을 텐데.
이렇듯 우리에게 ‘망각의 기술’이란 게 있다면, 이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만 있다면 삶의 만족도가 보다 높아질 수
있지는 않을까. 이러한 이유로 『망각의 기술』이란 흥미로운 제목의 책을 마주하면서, 우리가 쉽게 기억을 통제하지 못하듯 망각 또한 통제하기
어려운 것임에는 분명하지만 나름의 근거를 통해 기술을 체득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호기심으로 접근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 책은 그런
기대와 달리 ‘지우고 싶은 기억을 잊을 수 있는 법에 대해 기술한 책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다. 책은 기억과 망각이란
무엇이며, 신경과학을 기반으로 하여 이것을 일으키게 하는 생화학적 기제들이 무엇인지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다소 전문적인 주제를 다룬다. 즉,
‘우리는 왜 기억을 하고 또 잊는 것인가’,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 생존의 기술로써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는 기억과 망각의 본질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우리는 살기 위해
망각한다
『망각의 기술』의 저자 이반 안토니오 이스쿠이에르두는 브라질의 과학자로 학습과 기억을 연구한 신경생물학 분야의
선구자이다. 그는 생물학적 기제에서 기억 과정을 설명하는 일에 초점을 둔 연구를 통해, 뇌에서 어떤 정보가 기억으로 형성되는 과정과 공포나
스트레스 등 특정 상태일 때만 인출되는 기억 인출 조절에 에피네프린, 도파민, 내인성 오피오이드 펩티드, 그리고 아세틸콜린 등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최초로 밝혀낸 인물이다.
그는 기억이란 우리가 흔히 학습이라고 부르는 습득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고 말한다. 경험이 뇌의 언어로 번역되면 그
결과 생긴 정보는 기억의 흔적이나 기억 파일로 응고화 되어 뇌의 언어로 저장되는 것이다. 그는《심리학》이라는 저서를 출간한 맥고가 “기억의 가장
두드러진 양상은 망각”이라고 한 말을 인용해, 우리가 기억하는 것보다 잊는 것이 더 많다는 사실을 언급한다. 분명히, 매일 우리 기억의 많은
부분이 영원히 사라진다. 망각이란 기억을 형성하고 인출하는 기제가 포화될 수 있기 때문에 쓰이지 않는 기존 기억은 새로운 기억에 자리를 물려주기
위해 정리되고 마는 과정이다. 즉, 우리가 모두 개인으로서 활발히 또는 흡족히 행동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기억 또는 기억의 단편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는 곧 망각 역시 기억만큼이나 살아가는 데 매우 중요한 것이며 우리가 기억하는 것이 우리 자신이듯, 우리가 망각하는 것 또한
우리 자신임을 피력한다.
기억을 떠오르지 않게 하는 데는 습관화, 소거, 차별화, 억압의 네 가지 방식이 있다. 이 네 가지는 근본적으로
기억을 지우는 게 아니라 기억으로의 접근 가능성을 떨어뜨리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습관화란 망각의 기술을 이루는 중요한 기둥으로, 경적소리를
처음 들으면 놀라서 그 소리가 난 쪽으로 고개를 돌리지만, 열아홉 번째로 경적소리를 들으면 그냥 무시해버리는 예를 통해 점진적인 반응의 억제를
바로 습관화라 명명한다. 습관화는 우리가 세상을 좀 더 마음 편하게 돌아다니도록 도와준다. 공항 같은 시끄러운 장소 또는 극장처럼 빛이 많거나
공공시장처럼 여러 목소리가 뒤섞이는 곳에서 일해야 하는 사람들의 경우가 그렇다. 소거는 우리에게 친숙한 ‘파블로프의 개’의 실험으로 설명된다.
신호음은 조건 자극, 먹이는 무조건 자극, 개가 습득한 신호음에 타액을 분비하는 반응은 조건 반사다. 무조건 자극은 조건 행동을 강화하기 때문에
‘강화물’이라고 부른다. 일단 조건화를 확립한 뒤 강화물을 생략하면 동물은 조건 반응을 억제한다. 이것이 바로 소거이다.
차별화는 생물학적으로 의미 있는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과 질적으로 비슷한 자극에 대한 반응을 억제하는 것이다. 어린
아기가 주변 모든 남성을 ‘아빠’라고 부르다가 곧 진짜 아빠를 가리키는 데만 한정해서 이 말을 쓰도록 스스로 학습하듯, 아무 남성을 보고
아빠라고 부르는 일을 억제하는 것을 차별화라고 한다. 앞선 세 가지가 학습의 형태를 통해 이뤄진다면 마지막인 억압은 의식 안으로 어떤 기억을
들여보내지 않기 위해 그 표출을 억제하는 것으로, ‘자발적 억압’이 뇌 체계 작동 결과임을 과학적으로 설명한다. 다시 말해 우리의 뇌는 진짜
망각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이 망각의 네 가지 기술을 통해 우리가 살아가고 생존하는데 유리하도록 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지적한다.
다음으로 저자는 기억과 망각에 관여하는 뇌 영역과 감정이 기억의 형성과 인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대해서도
과학적인 접근을 통해 증명한다. 인간과 다른 동물, 주로 포유류에게 있어 감정적이지 않은 순간은 없다. 이런 점에서 감정적으로 가장 자극적인
기억이 대개 잘 기억되는 것은, 이때 기억의 형성과 인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신경호르몬 때문이라는 그의 주장은 매우 흥미롭다. 정서적 각성이
해마와 편도체의 노르아드레날린성 자극을 발생시켜 더 선명하고 강렬한 기억의 형성과 인출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곧 정서나 감정의 영역이라
여겼던 부분까지도 뇌의 기능과 호르몬의 역할에 의해서 좌우된다고 하니 새삼 놀랍지 않을 수 없다.
신경을 제거한 횡격막 실험이 극적으로 보여주듯 시냅스의 폐기는 그것을 거쳐 이동한
정보를 완전히 소멸시키는 확실한 방법이다. 라몬 이 카할이 1893년에 주장하고 현대 신경과학이 증명한 대로 시냅스가 기억 보관소로 여겨지는
한, 인간과 모든 동물에게 일어나는 진짜 망각의 대부분은 시냅스의 폐기에서 비롯된다. / 121p
기억이 지속되는 것은 부분적으로 그 기억의 감정적 내용이나 개인적인 중요성 때문이다.
앞서 말한 대로 우리는 많은 각성이 따르는 강렬한 감정 상태에서 습득한 기억을 오랫동안 기억한다. 이 과정은 보통 기저외측 편도체로부터의 입력
그리고 노르아드레날린성 및 도파민성 자극으로, 해마에 있는 기억 형성 세포의 유전자가 활성화하고 단백질 합성이 강화된 결과다. /
123p
뇌 속에는 단백질과 뉴런의 많은 교체가 이루어지는데, 하루에도 여러 차례 구성 물질을 바꾼다고 한다. 뇌에 들어오는
많은 정보가 그 안에 그대로 머물지 않으며 다른 정보로 대체되거나 또는 대체되지 않을 수도 있는, 매우 복잡하고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우리는
기억과 망각을 반복하고 또 반복하는 존재들이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가 쓴 자서전 《살아남기》의 첫 구절에서 그는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우리의) 삶은 우리가 산 것이 아니라 우리가 기억하는 것이고, 우리가 그것을 기억해서 이야기하는 방식이 (중요하다).” 라고. 결국 내 삶을
완성해가는 건 무엇을 기억하느냐와 무엇을 망각하느냐 사이에 있음을, 내 삶을 아름답게 만드는 힘 역시 그 지점에 있음을 아는 것만으로도 조금은
삶의 질이 달라질 수 있을 것 같다. 불편하고 귀찮은 기억에 사로잡힐 때마다 나의 뇌에게 ‘소거’하자, ‘억압’하자 하고 명령을 내릴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이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이겨낼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h/j/hjh8s/20170620_205539.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