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변방을 찾아서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2년 5월
평점 :
자신의 삶 그 자체로 누군가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이들은 극히 드물다. 특히 도저히 어찌해 볼 수 없다고 느낄 정도로 천박해진 지금 이 시대에서야 더 말할 것도 없다.
국민의 귀한 세금을 낭비해가며 화려하게 치장하고 온갖 호들갑을 다 떨며 그럴 듯하게 팡파르를 울려도, 진실보다는 돈과 권력에 더 민감하게 촉수를 내밀며 달려드는 언론 장사치들의 용비어천가에 둘러싸여 저 혼자 천둥벌거숭이마냥 뽐내도, 철저히 썩어버린 군상들의 더러움을 감출 수 없듯, 아무런 허세나 속임수 없이도, 다만 살아가는 그 모습 자체로 그윽한 향기를 타인에게 전하는 사람.
신영복 선생은 나에겐 그런 더 할 나위 없이 큰 스승이자, 삶의 기준을 보여주시는 분이다. 멘토라는 단어로는 제대로 설명할 수 없는 이라고 해야 할까. 때로 지치고 주저앉아 꺼이꺼이 울어버리고 싶을 때마다, 선생의 삶과 글은 나에게 큰 용기가 되어주곤 했으니, 정작 직접 뵌 것은 단 한 번뿐이라 해도, 어찌 내게 스승이 아닐 수 있겠는가.
그런 선생이 이 땅의 변방들을 찾아 그곳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 시대의 문장가일뿐 아니라 서예가로써도 이미 일가를 이룬 선생은 쇠귀체라고도 알려진 글씨로도 유명하다. 서민들의 벗이라 할 수 있는 소주에도 담겨있는 선생의 글씨는 이미 우리들에게도 친근하지 않은가.
그런 선생의 글씨가 전국 방방곡곡에 가지가지 사연을 담아 자리 잡고 있는데, 우연일까, 운명일까, 선생의 글씨가 자리 잡은 곳들은 대체적으로 중심이 아닌 변방이었다. 굳이 예외를 두자면 서울시청 시장실에 있는 ‘서울’ 글씨를 꼽을 수 있을까. 하지마 변방은 장소적 특성을 뜻하는 것만이 아님을, 책은 조용히 이야기하고 있다.
땅끝마을 해남 송지초등학교 서정분교, 강릉 허균․허난설헌 기념관, 박달재, 벽초 홍명희 문학비와 생가, 오대산 상원사, 전주 이세종 열사 추모비와 김개남 장군 추모비, 서울시청 시장실 그리고 봉하마을 고 노무현 대통령 묘석까지….
변방은 무엇일까. 이 시대 변방은 어디일까, 누구일까 그리고 어떤 것일까.
‘변방을 공간적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은 변방에 대한 오해이다. 누구도 변방이 아닌 사람이 없고, 어떤 곳도 변방이 아닌 곳이 없고, 어떤 문명도 변방에서 시작되지 않은 문명이 없다. 어쩌면 인간의 삶 그 자체가 변방의 존재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변방은 다름 아닌 자기 성찰이다.’
책을 통해 선생과 함께 변방들을 돌아보며, 동시에 이 시대 변방성, 변방의식을 생각하게 된다. 우리가 느끼고 있는 중심성은 무엇인가. 우리는 과연 누구를, 어디를 중심에 두고 있는가.
선생은 변방의식이 세계와 주체에 대한 통찰이며, 때문에 변방의식은 우리가 갇혀있는 틀을 깨뜨리는 탈문맥이며, 새로운 영토를 찾아가는 탈주 그 자체라 말한다. 그리고 변방성이 없이는 성찰이 불가능하다고 강조한다. 이는 개인, 집단, 지역, 국가, 문명 모두 다르지 않다.
‘스스로를 조감하고 성찰하는 동안에만, 스스로 새로워지고 있는 동안에만 생명을 잃지 않는다. 변화와 소통이 곧 생명의 모습.’
내 안의 오만함, 그리고 콤플렉스를 생각한다. 중심부에 대한 열등의식, 허망한 환상과 콤플렉스는 청산하지 못하는 한, 변방은 중심부보다 더욱 완고하고 교조적인 틀에 갇히게 된다는 선생의 호통이 죽비가 되어 어깨를 후려친다.
그동안 난 무엇을 내 안에 중심으로 두고, 중심이라 생각하고 살아왔는가. 타인에게 나는 변방이길 바랐는가. 내가 타인을 변방으로 내몰았는가. 난 지금껏 도대체 어디로 가려고 발버둥 쳤는가.
선생의 글은 항상 읽는 이에게 창조적 독서를 요구하곤 한다. 이 두껍지 않은 책 역시 다르지 않다. 모두 다르고 동시에 모두 틀리지 않은 ‘독자의 탄생’. 책은 어떤 이에겐 묵직한 느낌을 전해주는 기행문이 될 수도 있고, 어떤 이에겐 역사이야기, 정치이야기, 살아가는 이들의 이야기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에겐 아름답고 서러운 이야기이자, 새로운 성찰과 시작을 위한 격려였다.
이제 5월이다. 올 5월의 봉하마을은 또 얼마나 아름답고 서러울지. 선생의 자취를 따라 걸어야겠다.
스스로 노예가 되지 못해 안달하는 이들. 편을 가르고 증오하고 살육하지 못해 미치는 이들. 오직 제 것만 보이고 남의 것은 보이지 않는 외눈박이들. 지금도 성조기를 흔들고 일장기에 눈치 보며 북을 악마로 만들기에 혈안이 된 이들이 한 번쯤 읽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허망한 바람이겠지만…. 그들은 스스로를 변방이라 느끼고 있을까. 얼마나 많은 환상과 콤플렉스에 시달리고 있을까.
노예는 되지 말아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