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좋은 이별 - 김형경 애도 심리 에세이
김형경 지음 / 푸른숲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별을 잘 하는 법. 떠나간 이를 온전히 그리워하고, 또 온전히 보내주는 법. 생각해보면 우린 그런 일들에 너무 서툰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만나고 헤어지는 그 수많은 이들을 과연 정성을 다해 해내고 있는 것일까요?
최근까지 심리학에 대한 많은 책들이 나왔습니다. 어떤 유행처럼 사람들은 자신의 심리에 대해, 또한 타인의 심리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지요. 왜 사람들이 갑자기 심리학이란 다소 어려운 주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을까요.
저는 그것이 혹시 너무 외로워서가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내 자신이 타인처럼 느끼고, 타인은 그야말로 벽처럼 느끼며 살아가는 세상. 어쩌면 그렇게 살아가기를 강요하는 세상 속에서, 온전히 우리가 정신을 차리고 살아간다는 것은 정말 쉬운 일이 아닙니다.
책은 이별에 대한 작은 배려처럼 보입니다. 커다란 상실을 간직한 채 마냥 헤어 나올 줄 모르는 이들을 위한, 그리곤 그 이별에 영영 빠져버린 이들을 위한 작은 안내서. 저자 역시 많은 이별을 겪고, 그 이별 속에서 아파하고 좌절한 경험이 있었기에 이러한 친절을 베풀 수 있었겠죠.
살다보면 누구나 이별을 합니다. 연인이건 가족이건 친구건, 아니면 애완동물이던. 우리는 끊임없이 누구를 만나고, 또 보내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사회라는 거대한 공장에서 어쩜 그런 무수한 만남과 헤어짐을 제대로 돌아볼 새 없이 해치우는 것은 아닐까요.
때문에 우리는 서툽니다. 이별을 겪고도 그것이 이별인 줄 모르고, 소중한 사랑이 떠난 후에야 소중함을 알죠. 어쩌면 그것이 인간의 한계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모든 것은 그 순간순간 깨우치며 살아간다는 것은 그야말로 신적인 존재가 아니라면 힘든 일 같습니다.
애도라는 단어가 주는 의미가 새롭습니다. 짜여진, 정해진 절차가 아닌 마음에서 진정 우러나오는 마음. 진심을 다해 그리워하고 보내는 마음. 그것이 애도라는 생각을 합니다. 진정한 애도. 과연 그것을 제가 한 적이 있었는지 생각해봅니다.
전 울보입니다. 대책 없는 녀석이죠. 영화를 보다가, 드라마나 책을 보다가, 아니면 음악을 듣다가도 눈물을 흘리곤 합니다. 하지만 저 역시 이 사회를 살아가는 별수 없는 구성원입니다. 될 수 있다면 몰래, 혼자 그렇게 울곤 했습니다. 창피하다고 느꼈으니까요.
하지만 책을 통해 제가 울보라는 사실이 조금은 안심이 됩니다. 만약 눈물 한 방울 없이 이 세상을 살아갈 수 있다면, 아니 살아가야 한다면…. 전 솔직히 자신이 없거든요. 그렇게 억세게, 강한 척 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책을 읽으며 우리는 어쩜 끝없이 애도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 봤습니다. 그 과정을 온전히 소중히 진행할 수 있다면, 보다 더 큰 시련이나 아픔 앞에서도 주눅 들지 않을 수 있겠지요. 하지만 누구에게나 그렇게 모든 것이 쉬우리라는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히틀러의 독수리 요새 이야기는 조금은 다른 느낌을 주었습니다. 히틀러라는 인물은 주로 전쟁과 이데올로기적인 측면에서만 생각해왔거든요. 히틀러 개인을 찬찬히 생각해 본 적은 많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자기만의 안전한 공간. 산속으로 수평으로 굴을 뚫고 들어가, 산 한가운데서 수직으로 백 미터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야 도달할 수 있는, 단단한 돌산 꼭대기에 자리 잡은 독수리 요새. 그는 그토록 견고한 요새를 짓고 그 안에서 평온함과 안정을 느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는 무엇으로부터의 안정을 원했던 것일까요.
소중했던 그 무엇과 이별한다는 것. 결코 쉽지도, 단 칼에 이뤄질 수도 없는 일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것을 막거나 피할 수 없습니다. 그 예정되어 있는 아픔을 이젠 보다 담담히, 아름답게 맞아야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제 자신이 무너지지 않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저자 자신의 이야기와 다양한 문학작품을 통해 폭넓은 공감의 이해를 넓히려 한 저자의 생각은 어느 정도 성실한 결과를 주는 것 같습니다. 보다 많은 이별을 향한 무섭지만, 피할 수 없는 길에, 위안이 됩니다.
그동안 저를 떠나간 모든 것들에 대해 그리움을 전합니다. 그리고 다시 만날 모든 것들에 미리 인사를 전합니다. 더불어 그 사이 떠나간 내 청춘에게도 안부를….
함께 하게 되어 기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