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건, 사랑이었네
한비야 지음 / 푸른숲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마 저자를 모르는 이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바람의 딸’‘월드비전의 여전사’등 저자를 수식하는 단어는 셀 수 없이 많다. 저자는 여성들이 가장 존경하는 여성에 상위 랭크되고, 이른 바 신세대들의 ‘롤 모델’로도 자주 언급되는 스타다. 물론 자신은 인정하지 않겠지만 말이다.


그동안 저자의 책을 몇 권 읽은 경험이 있다. 전부는 아니지만, 저자가 살아온 열정의 시간들이 온전히 느껴지는 책들이었다. 도전과 실패, 또 다른 도전의 연속으로 저자는 자신의 삶을 단련시켜왔고, 더불어 빛내왔다.


저자의 책들을 읽어오며 느꼈던 것은 무엇보다 충만한 자신감이었다. 일단 자신이 해야 할 일, 하고 싶은 일이라면 도전해보는 정신. 물론 실패를 전혀 두려워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그것이 끝내 도전을 가로막지는 못했던 삶이 신선하게 다가왔다. 대부분 사람들이 생각만 하고 섣불리 도전하지 못하며 삶을 살아간다고 한다면 이는 결코 평범한 것이 아니다.


더불어 저자는 적어도 잘 났다고 ‘나대는’스타일이 아니라는 것이 좋았다. 무언가 남들이 이루지 못한 것을 해낸 이들에게 풍기는 오만과 독선이 적어도 저자에게는 느껴지지 않았다. 특유의 낙천성과 유머 감각, 그리고 삶에 대한 애정과 긍정으로 언뜻 조금은 건방져 보인다는 오해를 할 수도 있지만, 글쎄, 미숙한 내가 보기에는 그것은 오만이 아닌 즐거운 삶 그 자체인 것 같다. 때문에 저자의 글이 부담스럽거나 불편하지 않았다.


언제나 힘든 것은 ‘언행일치’다. 얼마나 많은 이들이 ‘주옥’같은 책을 쏟아내는가. 하지만 정작 책에 담긴 내용에 일치하는 삶을 사는 이들은 그리 많지 않아 보인다. 물론, 책에 담긴 내용이 어떤 것이냐에 따른 차이는 있겠지만.


9년이란 시간동안 전 세계의 재난, 분쟁 지역을 누비며 단 하나의 생명이라도 더 구하기 위해 몸을 사리지 않았던 저자. 때문에 글 속에는 자부심과 함께 생명에 대한 가치가 확연히 드러난다. 공명심이나 자기만족이 100% 없다고 한다면 그것 역시 거짓이겠지만, 적어도 속물이나 위선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그는 어느 새 우리 사회가 ‘한비야’ 라는 이름에 부여한 묵직함을 놓지 않기 위해 분투하고 있다.


하지만 걱정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수많은 독자들이, 그리고 우리 사회가 저자에게 바라는 것, 기대는 것이 점점 더 커질수록 그는 지칠 수밖에 없다. 물론 그 기대와 관심이 그에게 경제적 가치를 함께 전해준다고 해도, 사실 그리 중요한 것 같지는 않다. 원래 경제적 이익을 그리 중시 여기는 이도 아니지 않나. 누굴 돕는 데 쓰이는 것이 아니면 말이다.


때문에 월드비전에서 떠나 유학을 결심한 그의 선택에 조금은 안도감을 느낀다. 물론 저자의 성격상 유학 생활 역시 가열차게 이어나갈 것이 분명하지만, 적어도 성찰의 시간과 함께 조금은 자신을 여유 있게 풀어줄 수 있는 여지도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내가 보기에 대한민국은 인물을 만들기도 어려운 환경일뿐더러 인물이 나와도 그 인물을 쉽게 지치게 하는 경향이 있어 보인다. 조금 심하게 말하자면 너무 볶는다. 유명인이기 때문에 스스로 감당해야 할 몫이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그렇게 말하기엔 심한 수준이라고 생각한다.


때문에 한비야의 또 다른 도전에 박수와 응원을 보내면서도, “이번엔 조금 편하게 스스로를 다독거리고 오시길”이라는 말도 하고 싶다. 많은 이들에게 희망을 전해주고 용기를 북돋아 줬지만, 자신에 대한 배려 역시 조금은 하라고 부탁하고 싶다. 뭐 남들 시선에 그리 신경 쓰지 않는 이라는 것은 알지만, 그래도 유명인이라는 부담은 어쩔 수 없다. 그 부담에서 조금은 쉬시라 하고 싶은 것이다.


자신은 결코 글을 잘 쓰는 것이 아니라고 하지만, 그는 정갈하게 글을 쓴다. 솔직함과 믿음이 담긴 글은 허투루 쓰인 글 속에서 항상 빛나는 법이다. 진실이 담긴 글은 생명이 담기게 된다. 그의 글은 꾸밈과 거짓보다는 솔직함과 겸손, 편안함으로 독자들의 눈을 어루만진다. 미덕이다.


개인적으로 저자가 추천한 도서 목록 중 내가 읽은 책들이 몇 보여 반가웠다. 그리고 미약하지만 1년에 100권 읽기 운동에 동참하고 있기에 분발하자는 목소리도 슬며시 내봤다. 사실 저자 덕분에 에티오피아에 귀여운 아들 하나를 얻은 인연도 소중하다.


이제 다시 한비야 라는 인물은 도전을 찾아 떠나갔다. 자신에게 가장 어울리는 삶을 찾아 고민하고 도전하고 쓰러지는 것은 비단 젊음만의 특권은 아니라고 믿는다. 그리고 그것을 찾는 시기는 그야말로 모두 다를 것이다.


응원한다. 그의 삶과 도전을. 그리고 내 꾸물거리는 발걸음도. 항상 유쾌한 주눅과 부끄러움을 주는 그. 그의 메시지처럼 가는 길이 어디든, 그 끝이 어디든. 웃으며 다시 만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