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의 끝 여자친구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9월
평점 :
“우린 노력하지 않는 한, 서로를 이해하지 못한다. 이런 세상에 사랑이라는 게 존재한다. 따라서 누군가를 사랑하는 한, 우리는 노력해야만 한다. 그리고 다른 사람을 위해 노력하는 이 행위 자체가 우리 인생을 살아볼 만한 값어치가 있는 것으로 만든다. 그러므로 쉽게 위로하지 않는 대신에 쉽게 절망하지 않는 것, 그게 핵심이다.”
작가의 소설을 처음 읽었다. 작품은 처음이지만, 익히 명성은 알고 있었다. 깐깐하게 남을 잘 칭찬하지 않는 비평가들도 유독 이 작가에 대해서만은 후한 평을 했던 기억이 난다. 도대체 어떤 작가일까 궁금했다.
우리는 모두 외롭다. 그 외로움을 이겨낼 수는 없지만, 저마다 다양한 방법으로 비껴가거나 혹은 아닌 척 한다. 하지만 결국 모두 외롭고 애처롭다. 그게 사람인 것 같다. 중요한 것은 외로움을 겪는 이가 자신의 고통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느냐 이다. 또한 그의 외로움을 덜어주기 위해 다른 이들이 어떤 노력과 접근을 하느냐 이다.
인생에 있어 어떤 커다란 변화, 혹은 충격을 겪은 이들은 그 이전과는 전혀 다른 삶을 살아갈 가능성이 높다. 그게 어떤 일이든, 어떤 강도이든. 사람들은 영향을 받게 되고, 그 영향에서 살아가게 된다. 책 속에 등장하는 주인공, 그리고 주변의 인물들은 그러한 변화와 충격에 나름대로의 방법으로 눈물겹게 대처한다.
이해한다는 말. 정말 많이 자주 쓰지만, 정작 이해하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무엇을 이해했다고 하는 것일까. 책을 읽으며 내내 느낀 감정이다. “네 맘 이해해”하지만 정작 자신은 타인의 무엇을 이해했다고 하는지 모를 경우가 많다. 우리는 무엇을 바라보며 생각하며 살아가고 있을까.
씁쓸한 외로움을 주는 이야기들이 있다. 〈케이케이의 이름을 불러봤어〉,〈기억할 만한 지나침〉,〈모두에게 복된 새해〉,〈내겐 휴가가 필요해〉그리고 〈달로 간 코미디언〉등. 읽는 내내 외로움을 느끼며, 함께 감정의 산을 오르내렸다. 하지만 정작 난 이들의 삶을 이해한 것일까. 이들의 외로움과 아픔을 온전히 받아들인 것일까. 알 수 없다.
〈세계의 끝 여자친구〉,〈당신들 모두 서른 살이 됐을 때〉,〈웃는 듯 우는 듯, 알렉스, 알렉스〉,〈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은 아련한 아름다움을 전해준다. 누군가를 잊어버려야만 기억할 수 있는 시대, 우린 얼마나 간절하게 기억하고 또 기억되려 애쓰며 살까. 사랑받는 다는 기만적인 생각 속에 혼자 얼마나 안도하며 살고 있을까. 사실 자신조차 불안한 그 확신 속에 말이다.
젊은 시절의 추억, 순수했던 사랑 혹은 증오. 이 모든 것들이 아련해지는 시간. 갑자기 수업이 끝난 교실에서 홀로 있음을 알아차렸을 때의 당혹감과 이해할 수 없는 안도감. 그리고 불안함. 어쩌면 삶은 끝나지 않는 종소리를 기다리거나, 혹은 그 반대일지 모른다.
어떤 중압감을 느끼며 소설을 읽을 때가 많다. 작가가 말하고 싶은 것을 나름대로 열심히 찾고 느끼기 위해 애쓰는 편이다. 때문에 때론 좋을 때도 혹은 나쁠 때도 있는 듯하다.
때론 혼자 마치 큰 보물이라도 찾은 듯 의기양양해지고, 때론 한없이 절망하고 우울해한다. 하지만 작가의 소설을 읽으며 그런 생각들조차 기실 불확실성 속에서 뜬금없음을 알게 된다. 그렇게 별 의미 없는 일에 정성을 기울인 것은 아닌지.
책 전체에서 느껴지는 외로움과 긍정의 마음. 비껴가지 않고 맞서겠다는 생각 뒤로 전해지는 묵직한 불안감. 혹은 불신. 그것마저 없으면 사실 사람은, 삶은 너무나 재미없는 꼴이 될 것이다. 때문에 유쾌했고, 씁쓸했으며, 눈물겨웠다.
작가의 다른 작품들을 찾아봐야 겠다는 생각을 했으니, 작가로서는 어리석은 독자를 하나 더 만든 셈이다. 하지만 끝끝내 어리석지만은 아닐 것이니, 조금은 더 나은 글들을 기대해본다. 뭐 감히 건방지게 주문하는 건 아니다. 다만 더 외롭고 더 힘들더라도 힘을 놓지 않기 위함이다. 끈을 쥐고 끝내 울고 싶기 때문이다.
“모든 슬픔은, 그것을 이야기로 만들거나 그것들에 관해 이야기를 할 수 있다면, 견뎌질 수 있다”는 이자크 디네센의 말이 절실히 다가오는 작품이다. 만족하며, 조심스럽게 읽어나간 책이다.
“우리는 모두 헛똑똑이들이다. 많은 것을 안다고 생각하지만 우리는 대부분의 사실들을 알지 못한 채 살아간다. 우리가 안다고 생각하는 것들 대부분은 ‘우리 쪽에서’아는 것들이다. 다른 사람들이 아는 것들을 우리는 알지 못한다. 그런 처지인데도 우리가 오래도록 살아 노인이 되어 죽을 수 있다는 건 정말 행운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어리석다는 이유만으로도 당장 죽을 수 있었다. 그 사실만으로도 우리는 이 삶에 감사해야만 한다. 그건 전적으로 우리가 사랑했던 나날들이 이 세상 어딘가에서 이해되기만을 기다리며 어리석은 우리들을 견디고 오랜 세월을 버티기 때문일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