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만 보는 바보 진경문고 6
안소영 지음 / 보림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무례하게도 감히 필명으로 쓰고 있는 간서치(看書痴)의 제 주인 이덕무와 그의 벗, 스승들이 함께 만들어간 아름다운 이야기. 정말 눈물이 다 나올 정도니 그 어떤 감동적인 소설에도 미치지 못함이 없다. 아마도 최근 읽은 책 중 가장 눈물겹게 아름다운 책이 아니었나싶다. 이덕무에 대한 개인적인 흠모의 정이 상당 부분 들어간 평가이긴 하다.

‘선비’라는 단어가 가져다주는 부정적 느낌은 아마도 일제가 무던히도 노력한 결과가 조금은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무위도식하며, 꿈같은 이야기만 늘어놓고 정작 백성들의 고통은 나 몰라라 했던 무능과 무력함의 상징. 지금도 ‘선비 같은 사람이야’라는 말이 온전히 칭찬만은 아닌 이유다.

물론 무능력한 선비가 왜 없었을까, 또한 백성들의 고초에는 아무 관심 없이 평생 한 번 가보지도 못한 대국(중국)을 향한 일편단심 짝사랑만 하다 사라진 이들이 왜 없었겠나. 지금도 망국의 근원인 사대굴종주의가 사라지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것이 선비의 상징은 결코 아니었다. 당파싸움, 붕당 정치 등의 부정적인 단어들을 제외한다면 선비는 우리의 생각보다 많은 이야기를 해왔고, 또 지금도 많은 이야기를 전해준다. 간서치라는 다소 비꼬는 듯한 별명을 유쾌히 받아들이며 백성들의 따뜻하고 굶주리지 않아도 되는 삶에 온 힘을 기울였던 이덕무. 그리고 그와 함께 아름다운 우정을 나누며 백성들에 대한 사랑도 잊지 않았던 벗들, 스승들.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눈에 박히는 아름다운 그림과 문장들은 순간이나마 지금의 더러운 세상을 잊게 만들어준다. 이들이 선비였구나, 이들이 진정 선비였구나.

달빛 아름다운 밤, 수표교에서 펼쳐진 조그만 음악회. 그 아름다운 선율이 환청처럼 다가온다. 벗들과 함께, 스승과 함께, 자신의 신분적 굴레와 모든 고통, 상처를 잊고 다만 그렇게 음악과 밤에 취해 미소 지었던 밤. 이덕무와 벗들에게 그 밤의 선율과 달빛은 영원히 잊을 수 없는 삶의 빛이었으리라.  


지금 그 옛날 이덕무가 벗들과 함께 음악회를 감상했던 수표교는 현존하는 위대한 대통령께서 한양의 수장이었을 적, 디자인 한양을 만들기 위해 갈아엎으셨다. 더 이상 그 때의 흥취가 묻어나올 수 없다는 이야기. 간서치라 불리던 이덕무가 지금의 한양과 조선을 본다면 무어라 할지 두렵기만 하다. 간전(錢)치가 버글거리는 세상이라 하지 않을까.

 

이덕무는 어린 시절부터 책읽기를 좋아하여 박식하고 시와 문장에도 능했지만, 서자 출신이라는 신분의 제약으로 제 뜻을 펼치지 못하고 청춘을 보냈다. 그러다 정조의 발탁으로 마흔이 다 되어 규장각의 초대 검서관으로 임명된다. 그의 벗들 역시 마찬가지다. 끝내 자신을 알아준 군주를 만난 이덕무와 벗들의 심정은 어떠했을까.

  

옛 시절 옛 사람들의 고리타분한 이야기라 넘겨짚지 말 일이다. 책은 보다 많은 것을 품고 있으며, 보다 많은 시대를 논하고 있다. 이덕무와 벗들은 “꼴 베고 나무하는 사람에게도 묻는다”는 시경의 구절을 늘 가슴에 새기며 살았다. 민초들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는 이는 군주든, 고관대작이든 모두 다 부질없는 허상에 불과함을 잘 알고 있었다.

 

어지러운 이 시대, 부끄러움이 없어지고 염치가 사라진 지금. 진정 그들이 그리운 이유다. 자신의 더러움을 보지 못한 채 오직 탐욕과 증오에 눈이 먼 장님들의 세상. 오로지 ‘책만 보던 바보’가 그리운 이유다. 

시간을 초월해 나누었던 간서치와의 대화. 한없이 소중해 다시 눈을 훔치게 된다. 선비가 죽은 시대, 어리석었으나 참으로 현명했던 한 선비를 그리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