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간을 가져요
모 로지에 지음, 박소진 옮김 / 펼침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짧은 내 독서 역사상 가장 적은 분량의 책. 본문을 다 옮겨도 A4 절반도 안 될 것이다. 책의 성격이 그림책이라 하더라도 역시나 매우 간결하다.
이런 성격의 책을 읽어본 적이 없어서 약간 어색했다는 점을 시인해야겠다. 그동안 내가 얼마나 틀에 박혀 글을 읽어왔는지도 느낄 수 있었다. 일단 책이라면 어떤 거창한 명분까지는 아니더라도, 무언가 ‘진지함’과 ‘정성’을 기대하며 읽어왔던 것이다.
사실 이러한 편견 아닌 편견이 들게 된 것에는 내 스스로 그런 책을 쓰고 싶다는 욕심이 있었기 때문이다. 정말 근사한, 혹은 내가 스스로 봐도 뿌듯한 그런 책을 꼭 한 권 쓰고 싶다는 욕심. 그 욕심이 눈을 좁게 만들었고, 생각을 짧게 만들어 온 것은 아닌지 반성해본다. 사실 이런 욕심 때문에 아직도 논문을 시작도 못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완전히 핑계다.
물론 그렇다고 《시간을 가져요》가 대충 만든 책이라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다. 이렇게 짧은 분량으로도 깊은 성찰과 고민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은 대단한 내공이자 미덕이다. 책이 다 책은 아니라는 내 믿음에 전혀 위배되지 않은 그런 책이라 할 수 있다.
내용을 소개할 것도 없다. 짧은 글은 읽는 이에 따라 수 천 수만의 의미를 가질 것이다. 너무나 정신없이 돌아가는 세상에서, 그 엄청난 속도를 절반이라도 따라잡겠다고 발버둥치는 속세의 인간들에겐, 그야말로 눈 깜짝할 사이 읽어나갈 수 있는 분량이다. 하지만 정 반대이기도 하다. 두고두고 다시 곱씹으며 읽어나가야 할 책이기도 하다.
도대체 시간이 많다, 혹은 없다의 기준은 무엇일까. 사실 시간은 분량으로 수치로 계산할 수 없는 것이다. 우리가 살아가다 죽어도 시간은 있을 것이고, 우리가 태어나기 전에도 시간은 있었다. 우리는 다만 그 어떤 시기에 잠시 나타나 시간에 따라 흘러가다, 다시 돌아갈 뿐이다. 하지만 우리는 언제나 입버릇처럼 “시간이 없다”고 중얼거린다.
생존을 위해 바쁘게 산다고는 하지만 정작 양심적으로 생각해보면 우린 욕심을 채우기 위해 발버둥 치면서 “시간이 없다”고 한다. 자본주의 시대에서 소비를 위한 생산의 시간. 생산을 위한 소비의 시간은 정당화되지만, 그것이 아닌 것은 무의미한 시간 낭비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 역시 역설이다. 우리는 시간을 낭비할 수 없다. 우리가 낭비한다고 낭비되는 시간이 될 수 없다.
변명이다. 실미도도 아닌데, 구차한 변명이다. 내가 상처받고, 혹은 나와 다른 이들을 상처 주며 살아가는 우리는 늘 바쁘게 산다는 핑계로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한다. 하지만 타인에게 상처를 주는 그 순간에도 결국 시간을 쓴다고 생각할 것 아닌가.
정작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우리가 지금까지 없다고 푸념을 늘어놓던 그 시간이 아니다. 오히려 찰나의, 아니면 아주 잠시 동안의 정적, 멈칫거림, 소소한 빈틈이다. 내 뺨에 스치는 조그만 바람, 침묵의 시간, 어머니의 품에 안겨있던 느린 오후, 어느 새 식어버린 커피.
우린 소용돌이치는 이 삶 속에서도 문득 소소한 시간을 그리워한다. 정작 우리가 외면해 버렸으면서 말이다.
책은 단순하다. 하지만 전혀 단순하지 않다. 시간이 주는 치유, 그리고 작은 것에서 얻어지는 행복. 판에 박힌 멘트이긴 하지만, 우리는 판에 박혔다는 것만 알지, 그 판에 박힌 것조차 행동에 옮기지 못한다.
조용히, 페이지를 넘기고, 찻잔을 내려놓고, 하늘을 바라보며, 미소를 지어보자.
오늘 다른 일은 하지 말고 말이다.
갑자기 얻어진 짧은 휴식 같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