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꽃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름은 익히 들어왔던 작가였다. 하지만 작품은 처음 접했다. 소설을 비교적 빠르게 읽는 편인데, 지체됐다. 페이지를 아껴가며 읽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쉽사리 넘어가지도 않았다.

왜 그랬을까.

민족주의, 국가주의 등 상당히 싫어하는 단어들이다. ‘상상의 공동체’를 아직도 온전히 읽지 못했지만, 알레르기처럼 그런 단어에는 반응하곤 한다.

 

한마디로 역겹다.

 

여기에 요즘은 국익이란 단어까지 날 힘 빠지게 한다.
이처럼 무책임한 단어가 또 있을까.

공지영은 김영하를 천재가 아닌가 생각했다고 말한 바 있다. 최근 인터뷰에서 읽은 듯하다. 성석제도 포함되지만 김영하를 조금 더 치켜세워 줬다. 물론 결국은 머리로 글을 쓴다는 왠지 비꼬는 듯한 어조로 끝났지만. 암튼 김영하는 매우 뛰어난 작가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의 말대로 “누군가의 피로 씌어진 단 한 줄의 1차 자료”가 없었다면 그의 소설은 나오지 못했겠지만, 더한 자료를 쌓아다 줘도 이런 소설을 단 한 줄도 못 쓰는 작자들도 많다.

국가라는 것이 사라져갈 무렵 국가라는 것을 떠난 이들은 새로운 세계에서 생존하려 몸부림치다 죽어간다. 다양한 사람들의 그보다는 좀 덜 다양한 죽음이 보여 진다.  

 

슬픈 역사지만 슬프기 보다는 한숨이 나왔다. 이는 고종의 한숨과는 다른 성격일 것이다. 애시 당초 그들에게 국가라는 것은 존재했던 것일까. 한반도에 인간들이 모여 살기 시작한 이래 과연 국가란 존재해 왔을까. 내 한숨의 근원은 힘없는 나라의 백성이 겪어야만 했던 가슴 아픈 비극의 역사 때문이 아니라 국가라는 이름으로 그때도 오늘도 버려지고 있는 수많은 인간들 때문이었다.

고종의 한숨과 이명박의 웃음이 전혀 달라 보이지 않는 나에게 국익이라는 이름으로 이 땅에서 살아가고 있는 이들을 억압하고 결국 죽음으로 내모는 국가라는 신화는 여전히 고민으로 남아있다.

그리고 김영하의 소설은 다시 한 번 나의 고민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자신이 진정한, 불타오르는, 피 끓는 애국자라 생각하는 이들이 있다면 이 책은 그냥 넘기시는 것이 좋으리라. 아니 어쩌면 오히려 더욱 애국심을 고취시킬 수도 있겠다.

그건 전적으로 저자 책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