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판타스틱 과학 책장 - 과학책을 읽고, 쓰고, 번역하는 고수들의
이정모 외 지음 / 북바이북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책에서 소개한 호킹 지수(Hawking Index,HI)란 걸 처음 봤다. 아마존에서 독자들이 밑줄그은 구절의 페이지 번호를 평균내서 전체 페이지로 나눈 거라고 한다. HI가 높을수록 책을 끝까지 읽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스티븐 호킹의 <시간의 역사>는 HI가 6.6이다. 토마 피케티의 <21세기 자본>은 2.4로 꼴찌. 나는 숫자로 이해하는 걸 좋아하고 <판타스틱 과학책장>은 과학책 서평을 모아놓은 책이고해서 만들어본 판과책 지수.
이 책은 과학책을 쓰고, 번역하고, 그리는 저자 네명이 모여 만든 출판편집자를 위한 과학책 가이드라고 밝히고 있다. 겹치는 책들도 일부분 있고, 저자들의 전공의 구별없이 다양한 과학책을 소개하고 있다. 읽어보지 않을 책들에 대해서는 읽어보지 않아도 되겠다 싶어 고마웠고, 궁금한 책들은 천천히 도전해보고 싶어 좋았다. 아쉬운 점은 아무래도 인기있는 분야가 아니다 보니 소개된 책들 중 절판된 책들이 좀 있다.
공저인 책들은 별로 읽어본 게 없는데, 저자들의 특색이 드러난다. 이정모의 책장에는 자연사 파트가 많은 편이다. 단계별로 추천하는 과학사 부분이 좋았다. 이명현의 책장은 전공인 우주파트가 많은 편이고 스티븐 호킹과 빅뱅, 빅히스토리 부분이 좋았다. 이한음의 책장은 과학책 저술과 번역에 대해 이리저리 고민해본 흔적들을 보여줘 좋았다. 조진호의 책장은 생물책이 많은 편이고 익스프레스 시리즈를 탄생시킨 생각의 흐름들을 볼 수 있다.
책의 마지막에 언급된 과학책 목록이 정리되어있다. 나는 어릴적 과학을 좋아하긴 했지만 그 이후로는 거의 과학책을 읽지 않은 독자다. 우주, 뇌과학, 진화심리학과 관련된 책들부터 조금씩 읽어보려 한다. 어쨌거나 개인적으로 저자들의 책소개를 읽고 궁금해진 책들을 골라 소개된 책들로 나누어 만들어본게 나의 판과책 지수다.
이정모 15/77 = 0.1948
이명현 10/48 = 0.2083
이한음 16/52 = 0.3076
조진호 7/33 = 0.2121
아무래도 과학책을 저술하고 번역을 주로 하는 이한음의 파트가 읽기 편했다. 과학책의 구성이나 장단점에 대한 부분과 한계, 분석이 들어있어 과학책을 만들어보려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되겠지만 예비독자에게도 도움이 됐다. 좀더 주제별로 묶어서 정리되고, 난이도 단계별로 제시한 지도는 없을까? 하고 이정모의 <과학책은 처음입니다만>을 주문했는데 <과학자의 책장>이 몇일만에 또 나왔다..
인류 역사의 대부분의 기간은 기술자들의 혁신에 의존하여 발전했으며 기술이 과학을 추동했다. ... ‘나는 어느 정도 지적 능력이 있고 시간도 많지 않으며 한 권으로 끝내고 싶다‘라는 분이라면 답은 아직까지는 <과학과 기술로 본 세계사 강의> 하나뿐이다. - P75
현정준이 옮긴 <시간의 역사>(삼성출판사,1990)는 현재 절판 상태다. 영문판은 여전히 공항서점 판매대에서도 구할 수 있다. 이런 책이 절판 상태여서 독자들이 구할 수 없다는 사실은 정말 부끄러운 일이다. 다행히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가 나오고 있다. 솔직히 처음 호킹의 책을 접하는 사람에게 나는 <시간의 역사>보다는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를 읽으라고 권하고 싶다. - P116
그런데 일상세계와 심오한 전문 세계를 연결하는 책은 여전히 부족한 느낌이다. ... 해당 과학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이들도 그저 자기가 일하는 분야만 알 뿐이다. 칼 세이건이나 스티븐 호킹처럼 어느 한 개인이 과학의 서사시에 해당하는 책을 쓸 수 있는 시대가 저무는 듯도 하다. 하지만 거꾸로 일상세계와 전문 세계를 잇는 책이 나올 여지는 그만큼 늘어나고 있지 않을까. - P203
과학의 결과가 아닌 과정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은 <로지코믹스>가 다른 과학만화책과 구별되는 매혹적인 부분이다. 과정에서 드러나는 불안과 혼돈, 실패와 좌절이 책의 주요 테마가 되며 가끔 환희도 섞여 있다. 이는 다른 과학만화책보다 돋보이는 부분이며, 만화책이 아닌 다른 과학교양서와도 차별화되는 이 책만의 개성이다. 독자들은 등장인물들이 진리를 찾는 길에서 왜 그렇게 힘들어하면서도 집착했는지를 간접적으로 체험해볼 수 있고, 자연스럽게 감정을 이입하며 책을 덮고나서는 아련한 감정의 여운을 간직하게 된다. - P2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