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중한 사람
이승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승우 작가가 등장인물의 내면을 묘사하는 방법은 때로 독자를 기만하는 듯 말장난을 하고 있는게 아닌가 싶게 동어 반복적이다. 그 반복적인 문장을 계속 읽다보면 그것이 기만이 아니며, 기만인 것처럼 보이기 위해 쓴 것은 아니지만 기만인 것처럼 보임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기만인가 기만이 아닌가를 확인하기 위해 꼼꼼하게 읽도록 유도한다. 때로는 기만인지 아닌지가 오리무중으로, 그 문장과 그 문장을 다른 문장으로 반복할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고집스레 기만하는 듯한 문체를 유지함으로써 독자들이 그것을 기만으로 받아들여도 상관없다는 듯한 인상을 풍기기도 한다. 좋다. 기만이든 아니든. 그런데 중요한 건 기만이냐 아니냐가 아니라 보다 은밀한 내면, 감추어진 욕망, 비뚤어진 마음을 오히려 명징하게 해부해 내는 도구로 이 동어반복적 문장을 적절하게 쓰고 있다는 점이다. 기만인 듯하지만 위대한 작가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이 만드는 문체. 그것이 이승우 문학의 특징이다. 작가의 문장은 생각이 미치지 닿지 못했던 맨 바닥에 있는 본성의 욕망을 아주 아주 작고 날카로운 칼로 일일히 도려내어 최소의 단위의 세계로 해부하고는 적확한 언어의 유희적 문장에 유려하게 담아내는 그의 소설의 본질을 발견할 수 있다. 


문체만이 전부일까? 이야기는 없을까? 명쾌하고 또렷하기만 하다면 그게 무슨 문학일까마는 언제부터인가 지나친 상징성과 모호성은 문학이라는 것이 떄로 문학을 읽는 나를 문학으로부터 소외시켜왔다. <리모컨이 필요해>에서는 여관방에서 매일 새벽 다섯시 반마다 알람처럼 켜지는 TV와 다섯시 반에 일어나야 한다는 윤락녀와의 관계가 그렇다. <신중한 사람>에서는 귀에 이상이 생겼는데 알 수 없는 이유로 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과 정말로 미칠것 같은 순간 그 증상이 한 번 나타나는 일이 그렇다. 이미를 떠나 어디로 가려고 여관방을 잡고 물가를 산책하는 <이미, 어디>의 사람들이 안개속으로 사라져간 곳은 어디일까.<딥오리진>의 망상속의 그녀는 자기 자신일까, 다행히도 <신중한 사람>에 실린 단편들 중 대개는 어떤 사람들, 특히 그가 '신중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내면을 형성하는 그 배경과 사건들에 집중한다. 속터지고 억울하고 재수없는 일의 연속이다. 이승우 단편에서 발견되는 진실이란 어떤 개인, 어떤 타자를 통해 투영되는 나 혹은 나의 일부, 혹은 나의 가능성의 일부다. 결국 문체의 이야기로 되돌아온다. 진실을 끝까지 탐구하는 그의 해부적인 문체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그 속의 나를 발견하게 된다. 


작품집에서 주목할 점이 또 있다. 표절과 망상에 대한 주제 의식이 그것이다. 크게 이슈되지는 않았던 어떤 표절 시비에 대해 작가는 큰 마음 고생을 한 듯, 이 소설집에 그 일과 관련된 내면과 인간의 본성을 주제로 한 작품이 무려 서너편이나 되었다. <오래된 편지>는 한 때 망상적 자신이 동료가 다른 동료의 대학 습작을 표절했음을 주장하는 잊고 있던 자신의 오래된 편지를 지도교수의 유고집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내용이다. <딥오리진>은 자기 때문에 커피숍에 매일 오는 걸로 착각하는 어떤 여자가 화자의 내면 깊숙이에서 질투하고 있던 어떤 작가의 소설을 자신이 다 썼다고 하는 얘기를 듣고 그 소문이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는 과정을 그린다. <하지 않은 일>은 표절에 휘말린 이승우 작가 자신이 겪은 정신적 고통을 고스란히 그려낸 작품으로 보인다.


난해하지도 몽환적이지도 않고, 개인과 개인 사이에 놓인 참담한 관계와 그것을 극복하는 도구로서 칼을 품는 사내에 대한 이야기 <칼>이 전체를 통틀어 가장 공감되었다. 상징적 의미의 칼. 살짝만 갖다 대도 스윽 하고 베어질 것 같이 날카롭고 잘 갈아진 칼. 불안과 절망으로 점철되었지만 끊을 수는 없는 어떤 관계의 지속을 위해서 우리는 값비싼 명품 칼을 하나씩 마음에 품자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