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 - 2015 제39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구병모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5년 3월
평점 :
모든 신화와 실화와 민담 속에는 환상과 현실이 교차하는 지점이 있다. 몽롱한 이상은 고단한 현실을 대가 없이 위로한다. 그렇지 않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만져볼 수 없는 부는 상상 속 소망과 기적을 동원해 화려한 삶, 영원한 생명, 충족된 사랑에 대한 간접 경험은 시간과 공간과 모든 물리학적 법칙들을 벗어나는 곳에 떠 있기에 인간이 꿈꿀 수 있는 것 아닐까. 문학은 아마도 이야기 속에서 공감을 통해 만질 수 없는 것들을 경험하는 기쁨을 충족시키면서 출발했을 것이다.
거대하게 품은 이상은 차치하더라도, 소박한 현실적 필요마저도 충족되지 못한 삶 속에 끝내 갇혀 버린다면, 벼랑 끝에 아슬아슬 서서 버텨보지만 지탱하고 있는 그루터기 마저 흔들린다면, 힘겹게 이어온 우리의 여정이 향할 곳은 어디일까? 신화의 시대를 지나서 종교의 시대를 지나서, 과학과 물질 문명의 시대를 사는 우리들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들, 기적과 마법 같은 것들로 기댈 수 있는 서사는 무엇일까. 고행과 인내의 페이지를 넘기고 또 넘겨 도달한 현실의 마지막 페이지를 살짝 넘긴 곳 그곳에 작가가 새긴 신기루는 바로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이 끝내 눈물을 뿜으며 거부하는 곳, 내게만은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그 비루한 일탈이 내딛는 환상의 공간이다. 그것은 바람일까. 소망일까. 일장춘몽의 꿈일까. 도피일까. 죽음일까.
우리가 알고 있는 동화에서는 그림 속으로 발을 딛고 들어가면 그곳엔 온갖 기이하고 신기한 모헙들이 흥미롭게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천진하게 우산을 타고 내려온 메리 포핀스도 그림 속에서 멋진 데이트를 한다. 구병모의 소설 속 미연이 들어간 그림은, 거리의 한 구석을 점령한 채 허접하게 걸어놓은 전시회에서 발견한, 루초 폰타니의 공간개념 연작을 모방한 이름 모를 작가의 작품이다. 주워 입은 셔츠를 걷어올려 길바닥에서 젖가슴을 드러내놓고 아기의 젖을 물려야 하는 그녀는 주운 유모차에 아기를 버려둔 채로 그림 속의 칼자국 속으로 들어가 버린다. 어린 아기와 미친 시누이에 대한 '의무'로부터 도피하고자 했던 행동은 아니다. 모작이기는 했지만, 어둠이 몰려오자, ‘그 뚜렷한 칼자국의 명암 사이로 어둠이 만들어 내는 알 수 없는 생명’과 ‘암부 깊은 곳의 소실점’을 느낀다. 사라지는 지점이라니, 그곳이 자신이 가장 원하는 곳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아무렇게나 방치되어 있는 그 그림의 칼자국 속으로 손을 넣어보고, 몸을 넣어보자, 그림 뒤편으로 걸어 들어갈 수 있었고, 그곳은 대단한 마법이 존재하는 곳이 아닌 캔버스 뒤편일 뿐이다.
그림으로 들어간다고 한들, 완전한 소실점은 없다. 만져질 수 없는 환상이 도착한 곳이 그 대단할 것 없는 과거, 어디에서나 평범하고 남루한 세계, ‘보도 블록의 요철 위로 분주한 소음과 무기력이 피어오르는 세계’, '언제고 일상에의 대항과 반란이란 이런 식으로 끝날 수밖에 없음을 확인시켜주는', 지극히도 현실적인 세계인 것이다. 비루함의 그림자가 언제 어떻게 시커먼 날개로 다시 삶을 삼키려고 덤벼들 지 모를, 그 비정하고 매정한 곳, 그러나 그곳에서 그녀는 3분마다 한 번씩 보인다는 3분백을 들고 입어본 적이 없는 까만색 실크 블라우스를 입고 있다. 어디를 가고 있던 중이었는지를 잊고, 아기도 시누이도 잊고, 돈이라고는 집에 굴러다니는 동전까지 모두 합쳐봤자 버스비도 나오지 않는 집구석도 모두 잊는다. 그 소실점 속에서 가고 있던 곳이, 다시 또 그 가능성 없는 희망 고문으로 지나왔던 시간을 채우게 될 변할 것 없이 똑같은 과거의 어느 시점이라는 사실이 끝없는 타임 패러독스를 연상시킨다.
이 소설이 끝끝내 슬픈 건, 아기를 잊고 그림의 칼자국 속으로 들어간 세계가 누추하기는 마찬가지라고 해도, 어느날 전도유망한 신인작가가 되기 위해 작업실을 다른 세 명의 미술가들과 나누어쓰고 있고 그곳으로 향해 있다고 해서, 그곳에서 지금과는 다른 삶을 살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담할 수 없는 사회 구조다. 운명처럼 짐지워진 젊은 청춘들이 맞닥뜨린 오늘의 세계다. 그림 속 다음 번에 찾아올 인연과 우연의 조합들은 그 차고 두꺼운 사회 구조의 벽을 허물어서, 다시 또 연애를 하고 남편을 만나서 아기를 갖고 지울 돈이 없어서 결혼을 하고, 세번의 사업 실패후 가뜩이나 어려운 친정집 재산까지 홀라당 말아먹는 현실이 기다리지 않는다는 철벽같은 보장을 줄까.
구병모의 소설집에 등장하는 사람들은 이런 방식, 즉 소멸점 속으로 사라지는 방식으로 현실을 고발한다. 극복이거나 타협일 수도 있겠다. 그것이 현실적인 눈으로 볼 때 정신이상이거나 도피이거나 혹은 죽음이 본 마지막 환영이더라도 말이다. 아무리 최선을 다해 살았대도, 더는 살아갈 방도가 없는 막다른 길이 나타나는 것이다. '꿈이 없다고 해서 현실이 있냐 하면 눈앞에 있기야 있지만, 없는셈 치고 싶은 현실뿐'인 사람들이 그 현실의 연장선에서 일어나는 환상은 막다른 골목 끝 컴컴하고 섬뜩한 끝을 다룬다.
그것이 나만은 아니기를에 실린 인물들이 사회 구조의 어느 구석진 그물 망 속에 걸려 허우적거린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그들은 또한 대부분 소외되고 핍박받는 최하층의 육체 노동자가 아니다. 쓸모없는 박사학위 긴 가방끈을 교수들의 잔심부름에 착취당하는 <여기말고 저기, 그래 어쩌면 거기>의 화자는 충격스런 엄마의 죽음에 대한 기억을 가진 친구 하이의 건물 기어오르기에 관한 기이한 행동과 그에 따른 사고와 외상을 다룬다. <식우>는 G시에서 일어나는 부식성 비로인해 그 도시의 모든 것이 무너져내리는 디스토피아적인 세계를 비정하게 그려내고, <이장>은 학대 의혹을 지울 수 없는 아이의 죽음을 바라본 어느 '폭력적 오지라퍼' 네티즌의 시각을 다루고, <덩굴손증후군의 내력>은 도시의 건물마다 억세고도 거세게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는 덩굴식물이 소외되고 착취당하는 사람들이 변해서 된 과정과 그 바로 산 사람의 얼굴을 가진 덩굴식물들을 제거해 나가는 비정한 사회의 모습을 담고 있다.
짧은 단편에 개인의 불행을 끝까지 밀어부치는 서사의 힘은 일어날 수 없는 기이한 현상을 만들어내는 환상적 상상력과 결합하여, 그것을 바라보는 타자들의 시각을 차갑게 조명한다. 한 개인으로서 독자로서 소설을 읽을 때, 내가 그들이 아니어서 다행이다 라는 자각이 사실은 내가 아니기를 바란 그들을 옭아 매는, 그들을 소외시키는 사회 속 그물코를 형성하는 구조 자체임을 발견이기도 하다. 어째서, 왜 불행한 누군가가 존재해야 하는가에 대한 대답속에는 사실은 그 이유를 알고 싶지 않은, 그것이 나 만은 아니기를 바라는 비정한 시선도 함께 있음을 인정한다면,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