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수업 천양희 : 첫 물음 작가수업 1
천양희 지음 / 다산책방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버지니아 울프는 자기만의 방에서 여성이 소설이나 시를 쓰려면 1년에 500파운드 의 돈과 자물쇠를 채울 수 있는 방 하나를 가질 필요가 있다고 했다. 천양희  시인은 여기서 방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나는 시인들의 '돈'도 궁금하다. 시인들은 무얼 먹고 사는걸까. 시 만으로는 충분히 밥벌이가 되지 않는다는 것은 굳이 밝히지 않아도 대략 예측하고 있지만, 시인은 말한다. 진정한 시는 고통을 최소 조건으로 삼는다는 말을 기억한다고. 어쩌면 경제적 풍요 역시 시인의 권태에 보탬이 되는 것을 의미하는 건지도, 안락을 추구하지 않는 자세의 삶이 시인을 규정하는 지도 모를 일이다. 


제목이 작가수업이라서, 요즘 유행하고 있는 인문학 강의의 문학 관련 수업의 내용인줄 알았다. 시인 천양희님의 산문집이다. 산문집인데, 이런 저런 잡문으로 구성된 게 아니라 오로지 시를 쓴다는 일에 대해 순수하게 시만을 위해 바쳐진 산문집이다. 


천양희 시인은 1965년 <해야 솟아라>를 쓴 박두진 시인의 추천으로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했는데, 당시 등단 매체로 신춘문예와 <현대문학> 밖에 없는 상황에서 3회 추천이 완료되어야 비로서 시인의 명패를 달고 등단할 수 있었다고 전한다.  초등학교 4학년때 동시를 쓰기 시작해서 첫시 등단작< 정원 한 때> <아침> <화음>을 통해 등단한 이후 오십년을 시인으로 살았지만 지금도 원고지를 대하면 '원고지 사각형의 모서리가 절벽처럼 느껴져서 떨어지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쓸 때가 있(p21)'다고 한다. 시인 말라르메가 시인으로 살아가는 것의 고통을 백지의 공포 라고 했다는데, 이 책의 화두는 이처럼 '시를 쓴다는 것의 고통'이라고 말해도 크게 과장되지 않는다. 소재의 고갈, 표현의 고갈, 리듬의 고갈, 영감의 고갈을 염전의 소금 엉킴 현상에 비유하며 언어로 보석을 만들어 내며 언어에 봉사하는 것이 시인의 일이라고 말한다. 


슈베르트는 악상이 떠오를 때를 대비해서 안경을 끼고 잠을 잤고, 모짜르트는 당구를 치면서, 바흐는 정장을 입고, 로시니는 술에 취해 각각 작곡을 했다고 하는데, 시인은 영감을 불러오고 말을 다듬어 보석을 만들기 위해 어떤 습관을 가지고 있을까. 시인 천양희는 글을 쓸 때 그만의 특별한 환경을 갖추어야 한다고 한다. 특히 시를 쓸 때는 바깥을 차단하기 위해 전화 코드도 뽑고 음악도 틀지 않고 커튼도 내리고 문을 닫는단다.  문 안에 스스로를 가두고 정신을 집중시켜 바깥 세상과 단절 시킨다.  또한 글쓰기 전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 눈을 감은 뒤 잠시 쉬 모음을 한다고도 한다.  글쓰기에 특별한 전수법이 있는 것이 아니라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찢어버리는 기본 방법이 있을 뿐이라는 말은, 너무나도 진부해서 책임없어 보이는 답으로 읽히지만, 시인의 글은 덧붙일 게 없을 때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더이상 제거할 게 없을 때 완성된다는 말이 시라는 것의 본질과 그것을 쓰는 사람의 본질적 마음 가짐을 일깨워준다. 


특히 저자가 좋아하는 조선시대 이건창의 창작법은, 시대를 초월하여 글을 쓰는 것에 대한 어쩐 표준적인 방법으로 리드한다.  


평범한 사실의 나열은 글이 아니다. 특징적인 점을 포착해 집중적으로 묘사해야만 성공한 작품이다. 이목구비를 그릴 게 아니라 그 눈썹과 뺨의 세밀함을 살려 그 사람의 가장 특징적인 면모를 드러내라(p56)


이런 말들은 사실 수십페이지에 달하는 이론적인 글쓰기법보다도 많은 걸 압축적으로 알려준다. 시 뿐만 아니라 소설, 산문, 하다못해 읽었다는 기록으로 남기는 자기만의 도서 리뷰 조차도, 책을 뒤적거리면서 내용을 압축해서 기록하려는 노력으로 쓴 글보다는, 책은 접어두고 인상깊었던 느낌, 특징만을 간결하게 적는 편이 더 많이 스스로에게 남는다는 것을 경험을 떠올리면, 이 한마디만 잘 요리조리 굴려서 써먹어도 글쓰기 수업 몇날 몇일 쫓아다닌 것 못지 않을 것이다. 


현실에 상처를 입었기 때문에 현실을 추구한다 - 파울 첼란(p69)

누구에게나 권태가 찾아오듯, 시인에게도 변화가 없어 답답한 때가 있고, 이럴 때는 계절이 변화하면 옷을 바꾸어 입듯 생각을 바꿔어야 한다고 한다. 한 시인이 고유한 표현 양식을 가지느 것과 표현이 변화하지 않는 것은 다른 것이며 이렇게 세상과 자아의 단단한 껍질을 깨는 것으로부터 시의 길도 자유롭게 열린다는 것이다. 


시란 명로함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모호함에서 시작한다(p76) 따라서 시를 읽을 때는 시구 하나를 따지듯 읽지 말고 스치듯 읽어야 하며 자꾸 읽다보면 무엇인가 느껴질 것이므로 그 때 그냥 느끼면 된다고 시를 읽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무엇이든 자꾸 보면 좋아하게 되듯, 많이 읽고 느끼고 이해하게 되면 시가 좋아지고 시에 대한 안목이 생긴다는 것이다. 최근, 국악이 좋아졌는데, 이유를 살펴보니 가끔 라디에오서 국악 방송을 자주 접할 기회가 있어서였던 것 같다는 생각을 하면 쉽게 납득이 된다.  한편 시가 너무 명료하면 다의성을 잃게 되지만, 모호성과 난해함은 다른 것이라고 말하면서, 작가는 요즘 시들을 너무 비슷비슷해서 마치 성형수술한 얼굴 같다는 견해를 밝힌다. 


명료하고 뚜렷한 걸 선호하는 나로서는 선뜻 시에 다가가기 어렵지만, 시인을 이해하고 시인의 시에 대한 애정을 들여다본 좋은 기회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