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내
마리 다리외세크 지음, 최정수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가시내, 여자아이를 말하는 것 같다. 사춘기 여자 아이들. 그 아이들의 성을 다룬 소설이다. 소설 속에는 배경 묘사가 없다. 인물에 대한 설명도 없다. 시간과 공간이 목적을 상실한채 우주 바깥쪽에서 유영할 뿐이다. 전통적인  형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형식을 시도하는 난해한  소설이라 하더라도 어느 지점에서 머리속으로 배경이 명료하게 그려지는 시점이 생기는데, 이 소설은 끝내 그 지점을 통과하지 못한다. 이제 초경을 막 시작한 솔랑주와 친구들은 오로지 성(sex)만 보인다. 그들의 대화는 성에서 시작해서 성으로 끝난다. 그들이 하는 행동 역시 성적 호기심으로 시작된 일관되고 탈선적인 행위가 다다. 


온갖 성적인 행위와 성기를 뜻하는 금기어들이 지면 가득 채워져 있지만, 완전히 발가벗은 사람들로 우굴대는 목욕탕에서는 성적인 흥분이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은밀한 19금의 성애 소설과는 달리 외설적이라는 느낌마저 달아난다. 그들이 다루는 성이 너무 미숙하고, 사랑을 매개로 하지 않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우리는 혹은 나는 '사랑'이라는 달콤한 감정을 싣지 않은 섹스는 '성애'가 아닌 동물적 행동으로 이해하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그럴까?)


그렇다. 이 시대, 이 공간에서 막 가슴이 나오고, 초경을 시작한 여자 아이들의 최대 관심사인 성에 접근하고 알아가는 경험하는 과정은 우리가 어릴 적, 억압되고 숨겨졌던 은밀한 유혹과는 다른 정반대쪽 세상 풍경이다.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행동하는 환경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그 나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신체의 변화에 주목하고 집착한다. 그들은 섹스라는, 경계 넘어의 새로운 세계로 맘껏 도약하고 싶다. 그것이 누군가에게는 아픔을 준다는 사실은 훗날에야 깨닫게 된다(깨달았을까? 누군가가 실제로 죽었다면?).  


솔랑주를 부모처럼 돌보는 옆집 아저씨 비오츠의 고뇌는 책을 덮고 시간이 지나서야 서서히 보였다.  앞뒤 정황없이 아무 설명도 없는 솔랑주의 독백으로 진행되는 소설 속에서, 독신남 비오츠는 솔랑주와 부모 이상으로 함께 시간을 보내지만 조연일 뿐이다. 직업도 없이 고작해야 남의 집 아이를 보는 사람이고, 아이의 눈을 통해 드러나는 존재감은 바닥이다. 파티에서 만난 잘생긴 아르노와 항문성교, 구강성교 등의 매우 난잡한 성행위를 했음에도 아직 '물리적'으로  virgin인 그녀는 고통스럽게 유혹을 떨쳐내는 비오츠를 끝내 굴복시킨다. 그토록 궁금했던 경계를 넘어 맘껏 펼쳐진 성의 세계에 도달하지만 그녀가 찾는 건 사랑이 아니었음이, 그 아이의 목적은 행위와 경험과 싫증날때까지 싫컷 해보는 것 그 자체였음을 알게 되는 것으로 인해 돌아온 상처는 온전히 아이와 섹스를 한 그 자신의 몫. 아이는 이제 어른이 되었고(정말? 성행위를 했다고 해서?) 아르노에게 나도 해봤다고 말할 수 있게 당당해졌고, 비오츠가 필요없게 되었다. 


아이에게 버려지고 남겨진 어른 비오츠가 한 행동은 얼마 전 읽은 폴 오스터의 <선셋파크>를 연상시켰다. 그 곳에서도 주인공은 아이에게 버려지지는 않지만 아직 미성년인 아이를 사랑하게 되고, 그 사랑은 스스로의 삶 자체를 변화시킨다.  비오츠. 아이가 어른이 되어 가는 과정을 지켜보고, 부모처럼 따라다니며 잔소리를 해대고, 아이의 성적 일탈을 나무라던 어른이, 그 아이의 끈질긴 유혹에 손을 들고 넘어간 후에 그 불꽃처럼 뜨거운 섹스의 향연이 우리가 알고 있는 남자들의 그저 짐승같은 본성의 충족에만 그 목적과 의의가 있었더라면 어땠을까. 그랬다면 그는 그런 결정을 하지는 않지 않았을까. 아이를 사랑했기 때문에(아마도) 절망했어야 했을 어른은 만일 사랑하지 않는 파렴치한 어른 짐승에 지나지 않았다면 절망하지 않은 것보다 나았을까? 



정제되지 않은 중2 쯤되는 아이들의 그 직접적이고도 적나라한 섹스 놀이는 난해하다. 뭔가를 얘기하고 있지만 뭘 얘기하고 있는지. 뭔가를 기억해내고 있지만 그게 언제이고 무엇과 연결되어 있는지. 누구와 대화하고 있지만 거기가 어디인지. 그저 생각 생각 생각. 마치 윌리엄 포크너의 소설처럼 앞뒤 설명도 없이 뚝뚝 끊어진 의식의 징검다리를 따라 가면, 겨우 겨우 가느다랗게 명맥을 유지하는 어떤 이야기의  흐름이 있다. 그렇게 아슬아슬하고 어렵게 통과한 사춘기의 성에 대한 기억이 있다. 그 미치도록 궁금한 곳,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동경은 허세와 분별없는 온갖 위험한 시도와 멸시와 유혹과 위험한 행위들 사이에서 두서 없이 섟인다. 


* 문체가 난해해서, 번역에 문제가 있을까 싶어 뒤저보니 최정수님의 번역이다.  이분의 번역서를 최근 많이 읽었는데, <클레오파트라의 딸2><딜레마><기 드 모파상> 등 번역의 문제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