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풍경
박범신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쓰리섬
어차피 인류의 사랑 행각이  더이상 종족 보존을 목적으로 하지 않으므로  새로운 가치를 찾을 수 있다면 ㄱ,ㄴ,ㄷ 셋이서 경험하는 쓰리섬이 관습과 윤리와 도덕으로부터 터부시되어야 할 이유가 없다. 혼전섹스가 여성에게만 특별히 범죄가 되었던 시절이 그리 멀지 않았던 것, 아직까지 그런 문화가 존속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변화하는 인간 세상에서 쓰리섬이 프리섹스만큼이나 자유로운 하나의 취향으로 받아들여질 날이 있을 수도 있다. 어쩌면 그것은 이미 매우 개인적인 사건이므로 사회적 합의에 도달했느냐의 여부는 더이상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 개인의 취향과 사생활 보호라는 관점에서 더욱 시사적일 수 있다. 일부 개방적인 나라의 자유로운 부류의 인간들 사이에선 쾌락적 관계맺기에서 쓰리섬이라는 선택이 조금 예외적이기는 하나, 사적 영역으로 크게 윤리적인 지탄을 받지 않고 받아들여지기도 하는 것 같다. 그렇다고 해서 세 사람이 함께하는 성행위가 많은 문화권에서 폭넓게 하나의 문화가 되어있다는 말은 아니다.  관습과 인습에 반하는 것은 때로 범죄처럼 취급받기도, 현행법상 범법 행위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세 사람의 기이한 덩어리지기는 독자들에게 납득을 주었는가. 외롭고 가난한 영혼들이 품은 상처받은 내면의 가시들을 접고, 오로지 서로의 육체에 탐닉한 채로 그 겨울을 나고 있었다는 것이 불편하지는 않았는가. 문제는 그거다. 아무리 마법같은 언어로 독자들을 설득했다 해도, <은교>의 칠십넘은 노파가 어린 고등학생의 몸을 향해 욕망하는 것이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처럼, 우리에게 알게 모르게 주입된 관습과 인습의 뿌리는 쓰리섬을 선뜻 받아들이게 하지 않는다. 그러면 우리는 이 책을 어떻게 읽어야 하나. 은근슬쩍 모른 체 수사적 문학 표현의 한 방법으로 존중하고, 소설의 축인 쓰리섬 문제에 대해서는 함구해도 되는가. 하나보다 둘이, 둘보다 셋이 좋다는 화자의 고백을 따라 몽환적이고 아름다운 박범신 작가의 글을 따라 읽다 보면 그들의 기이한 애정 행각을 환타지를 대하듯 무심히 넘기게 된다.  그래. 그렇구나. 그랬구나. 끄덕끄덕거리며. 

 

그렇다고 해서, 그런 행위를 우리가 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여전히, 우리는 그것을 가능성 있는 현실적 행위로서 나에게 개인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한다. 작가의 귀 속에 살고 있다는 그 간지러운 곰팡이들에게 전달된 불행한 가시 선인장의 얘기로, 꿈처럼 바람처럼 스치고 지나간 환상으로 무심히 상징적으로 혹은 은유적으로 읽는다. 서로가 서로의 이름을 알지 못하는 익명의 세 사람, 그래서, ㄱ, ㄴ, ㄷ으로 불리고 부르는 것으로서 서로를 욕망하지 않았던 세 사람, 과거와 미래를 공유하지 못하고 단지 햇빛이 주는 명암과 온도와 바람이 주는 습도에 따라 변화하는, 서로에게 단지 풍경이었던 세 사람이 무참함의 늪 깊숙히 우물을 파고 그 속에 빠지고 빠뜨리는 삶의 무상함과 상처와 권태에 대해서만 생각한다. 우리는 세 사람의 쓰리섬을 읽으며 스크린 속 동영상에서 나오는 저속하고 값싸고  탐욕스럽게 보이는 클로즈업된 살색 장면을 상상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들의 내면이 치유를 경험하는 경이로운 순간을 환상처럼 다루게 된다. 독자들에게 쓰리섬을 거부감없이 주입시키는 작가의 탁월한 능력이다.

 

그들의  행위는 범죄와 같이 도저히 받아들여질 수도 용납될 수도 납득되지도 않는 패륜 행위였는가. 물론 살인은 그렇다. 세 사람의 강한 정신적 일체감이 에너지가 되어 스스로 판 우물 속에 스스로 빠졌다고 설득하지만, 살인까지 용납할 수는 없다. 그것도, 불멸의 사랑 따위를 위해서라니 너무 나갔다. 그러나 쓰리섬은?  덩어리라는 일관된 표현을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한 채 셋이서 서로를 만지며 탐닉함으로써 각자의 상처와 상실감에서 벗어나 혼연일체가 되고 비로소 온전한 인간임을 느끼는 시간들. 그렇게 서로를 보듬고 안는 그 치유의 시간에 우리는 노골적이고 자극적인 살색 클로즈업을 상상할 수도 그 엄숙한 치유의 장면에 돌을 던질 수도 없다.

 

 

숭고함과 저속함 사이

인간이 결혼 여부를 떠나 성적인 부분에서 남여, 남남, 여여의  일대일 관계를 유지하는 이유는, 그리고 이런 관계가 대다수 문화에서 윤리와 관습을 떠받치는  기둥이 된 이유는, 독점적 애정을 갈구하는 인간의 욕망과 애정 행위가 두 사람만의 은밀함 속에서 비밀스럽게 일치했을 때 가질 수 있는 최상의 만족감이 사랑이라는 언어로 치환되었을 때, 그 속에서 자라난 소유와 안락의 욕망이 다른 인간 본성과 융합되어 하나로 모여진 결과였을 가능성이 높다.  ㄱ ㄴ ㄷ 은 이 룰을 깼다.

 

성행위는 가장 숭고한 언어와, 가장 저속한 언어를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생물학적으로 교접이라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랑, Make love라고 말한다. 유전자 전달이 목적이었던 그 숭고한 행위가 그와 동시에 진화의 경로를 타고 이제, 어느 문화권에서나 가장 저속한 욕으로 쓰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둘이서 하나 되는 가장 고결한 순간 그 일체감이 이루는 행복을 안정되게 소유하고 싶어 우리는 일대일 배타적 관계를 택했다. 몸과 몸이 만나 서로를 핥아주고 만져주고 한 몸이 되는 순간의 황홀함을 찬미하여 동물적 교접 행위를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썼지만, 동시에 은밀해졌다. 소유하고 싶은 정신적 욕망을 육체의 탐닉으로 가장 만족스럽게 달성할 수 있었다.  그래서 순수하고 가장 아름다운 것이라 방금 정의 내린 육체의 탐닉에는 필연적으로 소유의 욕망이 내제되어 있을 수 밗에 없고 가장 추하고 역겨운 것과 자연스럽게 통할 수 밗에 없다. 그래서 성행위는 '사랑'이었다가 가장 저속한 '욕'이었다가 그 둘 사이를 언제든 빠르게 순간이동한다.

 

ㄱ, ㄴ, ㄷ은 서로를 욕망하지 않았을까. ㄴ은 더플백을 메고 사라질 사람이라, 자기가 빠지게 될 깊은 우물을 스스로 파는 사람이라 욕망할 수 없으며. 욕망하지 않기에 셋이서 함께 행복하게 덩어리져 지낼 수 있었다. 둘이라면 어쩌면 서로가 서로에게서 발산하는 충족감이 너무 커서 다시 또 욕망하게 될지도 모를 것이었다. 그들은 셋이 함께 세 개의 꼭지점에서 삼각형 대신 둥근 원을 만들었고 그 안에서 모든 상처를 잊고 한 덩어리가 되었기에 서로를 욕망하지 않았다고 생각했다.그들은 서로의 이름도 과거도 미래도 묻지 않음으로써  서로에게 다만 풍경이  되었다고 믿었다. 그러나 우물이 완성되는 순간 이별의 긴박감이 감돌던 순간. 이제 ㄱ, ㄴ, ㄷ 덩어리들은 더 이상 서로에게 풍경이 아니었다. 그들의 몸은 각자 다른 위치에 있음에도 동시에 한 몸처럼 그들 스스로가 만든 원형 안에서 살의를 느꼈고 불멸의 사랑을 욕망했다. 그들이 서로를 욕망하는 순간 아니 욕망하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 모든 아름다운 환상들은 터부와 범죄 가득한 어두운 먹색으로 마법처럼 세상을 변화시켰다. 숭고함은 저속함으로 순식간에 바뀐다. 그렇게 풍경은 빛과 구름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것이었기에, 그들의 쓰리섬은 애초에 서로를 욕망하는 것 이상으로 위험한 행위였다. 인간이 인간에게 소망을 품고 위로를 구한다면 그것이 아무리 티끌만큼이나 작은 감정일지라도 서로에게 풍경이 될 수 없다.


선인장 가시, 우물, 풍경, 풍경이 된 몸짓

강렬한 프롤로그에 이끌려 책을 읽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ㄴ과 ㄷ의 이야기를 ㄱ이라는 화자에게 듣게 되는 일. 이 때 ㄱ, ㄴ, ㄷ은 이상한가. 작가는 묻는다. 그러면서  풍경1 풍경2 처럼 어떤 풍경에 숫자를 붙이는 것에 대해 언급한다. 풍경과 사람은 다르다. 풍경은 경계가 없는 연속적인 어떤 것이고 가만히 그 상태에 있지만, 인간의 감정과 외부의 환경에 따라 사람을 변화시킨다. 한 인간에게 어떤 풍경은 시시각각 옮기는 발걸음에 따라, 그 사람의 감정에 따라. 빛의 강도와 바람의 세기와 해와 달의 위치와 계절과 환경에 따라 다채로운 색상을 인간에게 부여하지만, 풍경 자체는 어떤 대상이 아닌, 나, 나를 둘러싼 환경, 그냥 뭉뚱그림 그 자체이다. 인간은 풍경이 될 수 없다. 인간의 고유성은 그가 통과했던 역사와 그 속에서 품은 가시와 몸뚱아리는 욕망과 결합되어 그 모든 사람들에게 풍경이었다가도 순식간에 욕망의 대상으로 변한다. 보이지 않는 아픔을 공유했다고 해서, 상처받지 않겠다고 가시로 몸을 감쌌다고 해서 애초 풍경으로 설정한 대상이 영원히 풍경이 되리라는 보장이 없다. 아니 그런 소망울 가졌다면 그것 자체가 욕망이다. 우리는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따지고 보면 상처받지 않은 인간이 어디 있으리, 무엇이든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에서 상실의 슬픔과 결핍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으리. 절망의 끝자락을 가시로 품으며 자신을 감추고 혹독한 겨울을 덩어리지기로 의지했던 서로에게 익명이었던 세 몸짓들처럼 우리 역시 저마다의 사연을 가시에 품고 있는 선인장이다. 부모가 살아계시다고 해서, 형제가 나로 인해 죽지 않았다고 해서, 폭력과 광기의 현대사가 내 가족에게 총구를 들이대 쏘아버리지 않았다고 해서, 사랑하는 사람에게 부당한 취급을 당하지 않았다고 해서, 가시 없을까. 온실 속 화초처럼 곱게 가꾸어졌다 해도, 그 고른 온도 속 변화없음의 망망함, 매일 똑같은 일상의 무료와 권태가 작은 가시로 뻗어나가고 있음을 눈치채지 못할 뿐. ㄷ의 어미가 딸을 겁탈한 남자와 몸을 섞고 살고, 그 남자의 딸을 죽여 자기 딸의 호적을 만들었듯 비루한 삶은 어디에서든 희망 없이 이어진다. 너무 크고 아파서, 꺼낼 수도 슬퍼할 수도 없는 상처들은 깊은 우물 속 비밀스레 연결된 지하의 물길들을 가슴 속에서 흐르게 놔둔 채 소소한 풍경들 속에서 하루를 맞고, 하루를 맺는다. 그리고 다시 상처받고 상처줄 인간에게 건네는 한 마디 말, 한 모금 물을 통해 다시 그를 욕망하며 풍경을 사람으로 바꾸는 기적을 경험한다. 그게 인간이다. 그게 사랑이다. 익명의 서로가 풍경이 되어 한덩어리되는 것은 살색으로 뒤덮인 네모난 스크린과 다를 바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