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붓다의 십자가 2
김종록 지음 / 김영사 / 2014년 1월
평점 :
시대가 변하면 시대를 주도하던 사상도 변화가 요구된다. 시대가 사상을 주도하면서 사상은 욕망에 오염되고 권력과 물질에 물든다. 그 때, 불교가 배척받기 시작된 원인은 오염된 불교 사상이 권력을 휘둘렀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오늘날 특정 종교가 대형화 대기업화되고, 성전을 상속하며, 더 큰 파이 조각을 갖기 위해 새벽에 기도를 하는 사람들이 물적 욕망을 갈구하는 마음이 모여지는 것이 드러나면서, 더욱 크게 성장하고 있지만 동시에 조소당하고 배척받고 외면받는 까닭이기도 하다.
책 제목에서 예상했던 것은 불교 경전 혹은 성경을 해석하는 방법에서 붓다의 가르침과 예수의 말씀을 하나로 연결하는 단서가 있을 지도 모를 거라는 거였다. 소설은 지밀이라는 스님이 당시 타락한 불교와 무신 정권 전란 중에 붓다와 예수가 공통적으로 추구했던 이상향을 만들어가며 살고 있는 작은 마을에서 경교라는 기독교의 사상에 동화되어 가는 과정을 묘사했다.
사상에 동화되는 과정은 그 사상 자체 설득당하는 과정이 아니라 마을의 색다른 삶의 모습에 동화되어 가는 과정이다. 신분 차별 없는 세상을 꿈꾸는 마을 지도자 김승은 경교승이다. 전쟁 속 살상과 폭압과 핍박 속에서 흙과 똥과 인육을 먹으며 살고 죽는 고려 땅 한 쪽 귀퉁이에 헐벗고 굶주리는 사람 없이 경교라는 하나의 사상 아래 모두가 정직하게 일하고 동등한 공동체를 일구고 살아가는 광경을 지밀에게 보여준다. 지밀에게 이 마을은 이상형이었다. 그리고 김승이 추구하는 것은 종교 자체가 아니라 종교적 사상을 이용한 혁명이었다.
오직 한 분 예수처럼 생경하고, 참신해야 사람들이 안심하고 기대고 영혼을 맡깁니다.
지밀은 이렇게 종교를 자신의 이상을 실현할 목적에 이용하는 마을 지도자 김승을 비난하고 저항하나 도움의 요청을 뿌리치지 못한다. '주옥같은 성경'이 대장경 목록에 들어가도록 힘써달라는 부탁과 무신정권을 치고 혁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교 역할을 해달라는 것이었다. 그들은 이미 삼별초라는 점조직으로 몽고군을 기습했고, 무신정권의 반란군 소탕 군인 야별초 기마대에 대항하고, 민중에 기생하는 썩은 불교 세력에 맞서며 선진화된 화약과 조직력으로 무신정권을 칠 준비를 하고 있었다. 그들에게 경교는 타락한 불교의 대안이었고, 민초들의 영혼을 한 곳으로 모을 힘이었다.
이야기의 배경은 최이 무신정권의 집정시기에 몽고군에게 백성과 수도를 내어주고 강화도로 천도한 후 흩어진 백성의 힘을 하나로 모은다는 명분으로 대장경판을 조성하는 과정이다. 이 때 서방의 종교 기독교의 한 종파인 경교를 믿는 흔적을 발견하고 조사를 나선 지밀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5C 경 콘스탄티노플 대주교 네스토리우스가 창시한 기독교의 한 교파인 경교는 페르시아를 거쳐 인도와 중국까지 퍼졌다. 동방 기독교로 통하는 경교는 로마교황청에 의해 이단시되었다. 이 책에서는 고려중기 경교의 전파 과정을 몽고 침략을 계기로 잡혀간 한 여인(여옥)이 몽골군 총사령관의 총애를 받아 아이를 출산하게 되고 당시 실질적 황후였던 베키가 아이의 대모가 되어 자연스럽게 예배당과 기독교 문화를 접하고, 후에 여옥이 다시 고려로 돌아가 이를 전파하는 것으로 풀었다. 베키는 징기스칸 연합 서방투르크의 영향으로 지배층이 모두 네스토리우스교인 외몽골 케레이트의 왕족이었다. 지밀이 조사 과정에서 만난 신비한 아이 가온은 여옥의 딸이었고, 가온은 신비한 힘으로 사람들을 모았다. 바람따라 물따라 선교를 위해 고국으로 돌아온 여옥은 여사제가 되었다. 가온만 알고 있다는 복음서는 유년기에 알고 있던 성서와, 석가모니, 노자, 공자의 말씀을 섞은 것이다.
전쟁은 교역을 불러왔고, 교육은 서로 다른 문물을 뒤섞었죠. 중략. 동방박사가 예루살렘에 갔듯 예수도 지금 내 나이 무렵, 동방을 순례하며 수행하죠. 그러다 자연스럽게 동방의 종교들을 접했겠죠
역사소설 특유의 남성적인 문체와 생경한 용어들 때문에 책 읽기에 집중이 필요하고, 술술 넘어가지 않지만, 두 권의 긴 역사 소설에는 단 몇 장의 아름다운 로맨스가 있다. 최이의 첩이 되어 암살을 모의하는 심경의 태생과정을 그린 부분이다. 고려 최고의 각수장이 김승의 딸 심경의 태생은 마치 설화같다. 비오는 오느 밤 사모하던 비구니와의 하룻밤이 씨앗이 되어 태어난 심경은 젖동냥으로 키운 아버지를 화재로 잃었다. 부인사 장경판전 경판 수리를 위해 그곳에 있던 아비는 몽골군의 공격으로 알려진 화재에 숨졌으나, 장경판전 화재의 원인은 몽골군이 아니라 최이 무신 세력이었다. 그녀는 원수를 갚기 위해 계획적으로 차기 집권자이자 최이의 아들 최항에게 접근하여, 첩이 된다.
내 일찍이 저녁 달빛에 서린 삶의 비의에 사무처 슬픔을 양식으로 먹고 자랐으니, 그리하여 죽음으로 가는 길목에서의 서성거림이 인생임을 진작 알았으니, 슬픔은 내가 세상 살아가는 근원적인 힘이다 p64
탐욕을 제도화한 인간들의 교활함이 만드는 부당한 세상에서 불공평한 제도가 없어지고 부패의 고리가 끊기면 이상향이 실현될까. 절대권력이 사라지고, 다른 사람의 노동력에 빌붙어 놀고 먹는 지배 계층 무리가 없어지면 이상향이 실현될까. 실패한 혁명 뒤에 죽어간 무수한 사람들의 흔적은 역사에 남아 있지만 실패하기도 전에 혁명을 꿈꾼 사람들이 목숨과 맞바꾼 이상향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세계기록유산에 등록된 팔만대장경판에 아주 작은 단초들을 남겼다. 상상력을 통해서만 그려질 수 있는 작은 단초는 이렇게 당시의 삶을 재현하고 이야기가 되었다. 꿈꾸지 말아야 할 것을 꿈꾸었던 사람들이 세상을 변화시키지 못했기에 소설이 된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