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금 - 박범신 장편소설
박범신 지음 / 한겨레출판 / 201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세 아버지가 등장한다. 가족들이 행사에 있었는지 없었는지조차 완전 존재감 없던 실종된 아버지이자, 가족을 버리고 전혀 다른 사람이 인생을 살아가는 이 책의 주인공인 아버지, 자식의 교육을 위해 조금의 흔들림도 없이 고집스레 염전을 일구다가 땡볕에 스러져버린 그 아버지의 아버지, 작은 땅콩밭을 일구며 욕심 없이 살아가는 것 마저 너무나 사치여서 결국은 몰락해 가는 항구 도시로 내몰려 나약한 몸으로 온갖 수모를 참으며 부두 하역 작업 일을 하다 끝내 비명횡사한 화자 [나]의 아버지. 마지막 두 아버지들은 척박한 시대에 태어나 온 몸 마지막 뼛속 뼈 마디마디가 모두 고갈될 때까지 후대의 광명을 자식에게 걸고 소처럼 일하다 스러져갔다.
아버지의 아버지 세대의 희생은 노동이고 아버지의 희생은 소외이다. 죽을때까지 일해야 했던 아버지의 아버지들은 그 대신 가장으로서의 권력을 가졌다. 염전과 가족이 걱정되어 100리길을 걸어온 중학생 어린 아들을 매질하여 돌려 보냈고, 적응하기 힘든 부두 하역 작업의 스트레스는 술에 쩔어 던지고 부수고 아내를 때리는 행동도 보상받았다. 염전에서 스러져간 자신의 아버지의 염원대로 일상의 아버지로서, 가장으로서의 삶을 살기 위해 자신의 꿈을 포기한 아버지는 시대의 역군이 되어 사막에서 일하고 회사에서 희생하여 예쁜 세 딸과 화려한 아내 최상류층적 물질적 행복을 누리지만, 그의 목소리는 결코 자신의 벽을 넘어가지 않는다.
꿋꿋하게 버티어 과실을 나누어 주는 배롱나무처럼 아버지의 존재란 그런 것인지도 모르겠다. 이 책은 생계 라는 어깨 가득 무거운 짐을 짊어진,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들로부터 소외되고 노쇠한 한국의 아버지들에 대한 소설이다. 은교가 노인과 늙어감에 대한 성찰을 주는 소재를 다루었다면 이 책은 조금은 불편하리만큼 가족 내에서의 아버지들의 위치와 의무를 희생물로 삼는다. 실종된 아버지에 대한 묘사가 내게는 조금은 억지스럽게 비쳐지지만 시류에 떠밀리다보니 어쩌다가 권위와 존경은 사라지고 강요받은 가장으로서의 의무감만 남게 되었으니 자신의 꿈은 희미하지만 달콤했던 옛 사랑의 기억처럼 휘발되어 버린 채, 존재감도 없이 살아가는 개인으로서 읽는 것이 무난하다고 보여진다. 한국 남자들이 다 그렇게 불행하다면 한국 여자들이 다 그렇게 이기적이고 물질적이라면 전혀 희망이 없을 것이므로.
배롱나무가 잔잔하게 흐르는 배경 음악처럼 흐르고 산처럼 쌓인 염전과 새하얀 소금이, 달칙하게 발효된 젓갈이 지면 곳곳에서 효과를 낸다. 누군가는 아버지 버전의 [엄마를 부탁해] 라고도 했다. 실종된 아버지를 찾아 나서는데 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하는 점, 사라진 아버지는 가족을 위한 희생과 가족으로부터의 소외를 버텨 왔다는 점, 가슴 깊은 곳 쓸쓸함 어딘가에 이룰 수 없었던 꿈과 연인을 간직해 왔던 점 등을 볼때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와 많이 닮았다. 어쩌면 이제는 한류의 한 현상이기까지 했던 [엄마를 부탁해]의 오마주일지도 모르겠다.
아버지의 존재는 아버지의 부재로부터 그 존재감을 드러낸다. 아버지가 함께 있었는지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딸들과 아버지를 무시하는 어머니는 아버지의 부재와 동시에 아버지의 존재를 인식한다. 반면 어머니는 거대 자본의 상징처럼 가족을 압도하고 소비를 주도한다. 어머니의 지론은 세상은 무너지는 사람을 붙잡아 주지 않는다 것이었다.
무너지는 사람을 보면 더 밀어 버리고 싶어 하는 것이 세상 인심이라는 것이었다. 그러니 설령 죽을만큼 배가 고파도 뱃속 허기가 내는 비명 소리를 헛기침으로나마 단호히 감출 것이며, 외로워도 눈물 나도 사람들과 눈 마주치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처럼 웃어 단속해야 할 것이고, 화가 머리 꼭대기를 뚫고 솟아도 오늘과 내일을 고려한 business 전략을 버려서는 안된다고 어머니는 가르쳤다. 그런 어머니가 아버지의 부재 1시간만에 이성을 잃기 시작한다. 시우와 그녀의 언니들이 제일 제일 큰 충격을 받은 것은 기실 분식 회계에 따른 파산이 아니었다. 아버지의 실종 이후 어머니가 보여주는 급격한 자기 몰락이었다. 이제까지 그녀들이 보고 들은 바에 따르자면 아버지 실종은 어머니를 더욱 옹골차게 만들었어야 옳았다. 설령 아버지가 없어진다 해도 어머니에게는 아무런 상관이 없을 것 같았던 어머니가 아버지의 실종 이후 마치 폭풍 속의 허수아비처럼 단숨에 무너졌다.
화자이자 시인인 [나] 역시 그 사라진 아버지의 딸이 아버지를 찾는 과정에 관여하면서 자신을 위해 일구던 땅을 버리고 쇠퇴해가는 항구에서 스러져가던 자신의 아버지를 떠올린다. 어떻게 해서든 나를 대학까지 가르쳐야 한다는 어머니 신념만 없었다면 금강 변의 척박한 모래 땅을 일구고 때로는 노래나 들으면서 풍족하지 않았지만 그럭저럭 아버지는 세상의 평화로운 한 모퉁이를 잘 돌아 나갔을 아버지. 그는 아버지가 그립다. 아버지의 희생이 안스럽다.
젊었을 때 우리는 배우고 늙었을 때 우리는 이해한다는 잠언은 틀린 말이었다. 젊은이들이 화려한 문화의 중심에서 만원씩 하는 커피를 마시 때 늙은 아버지들은 첨단을 등진 변두리 어두컴컴한 작업장 뒤편에서 인스턴트 커피가 담긴 종이컵을 들고 있는게 우리네 풍경이었다. 문제의 잠언은 젊을때 소비하고 늙을 때는 밀려난다고 바꿔야 마땅했다.
그리고 겨우 작은 술집 마주 앉은 마주 앉은 그녀, 아버지를 잃은 그녀 뿐인 세상에게 말한다.
과실을 따 올때 겨우 아버지 아버지 하는 거라고. 불러 봐. 아버지가 번 돈으로 술마시는 쟤네들 머리속에 지금 들어가는 아버지들이 들어 있겠어?
실종된 아버지는 물질 지향의 삶속에서 아내와 아내를 정신적으로 잃고 자신을 통장 같이 취급하는 가족, 그 황폐함 속에 놓여 있었다. 죽어라 일한 대가로 늘어난 연봉과 늘어난 잉여 재산이 자식들을 소비괴물로 만들었고 아내와의 사랑 역시 서로 빨대를 꽂아 빠는 기능적 관계로 변모시켰다.
나는 여기에서 슬슬 이렇게 끝 갈 데까지로 자신을 내 몬 그 가출한 아버지가 짜증나기 시작했다. 작가는 작가라면 시대를 비판할 줄 알아야 한다지만, 자본주의와 결합한 저급한 물질 만능주의를 탓하기엔 아버지 개인이 모자랄 만큼 비주체적인 삶을 살았다. 물론 가족의 생계를 책임 지는 것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아늑하고 포근한 더 나아가 화려하고 만족스러운 소비의 버팀목이 되어야 한다는 사회적 통념이 50대 아버지들을 소외되고 혹독한 찬 공기 속으로 내몰고 있는 데에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삶이다. 누구에게나 가지 않은 길이 있고, 가지 않았기에 이루지 못한 꿈이 되었고, 가질 수 없었기에 아쉽게 삶의 언저리에서 서성거리고 있는 누군가가 가슴 한 가운데는 있는 것 뿐이다. 생계의 덫에서 벗어나고자 했다면, 자유로운 삶을 꿈꾸었다면, 처음부터 아내의 유혹에 강하게 맞설 용기가 있어야 했고, 아버지의 헌신으로부터 자유로워지려면 땡볕 아래 소금 밭에서 죽어가던 아버지에게 처음부터 맞서야 했고, 무엇보다 자신이 가족 내에서 빨대로서의 기능만을 하지 않고자 했다면 가정의 경제와 소비에 적절히 관여했어야 맞다. 그게 단순한 세상의 이치다. 다들 자식새끼들 키우기 위해 돈벌어 오느라 힘들지만 그 대가에 1/100에라도 상응하는 보상을 추구한다. 실종된 아버지는 그래서 상식 밖으로 가족 내에서 스스로 무능력했다. 어쩌면 처음부터 원치 않던 삶에 대한 자학으로서, 알게 모르게 자신을 그 가족 내에서 스스로 소외시킨 것인지도 모르겠다.
가족을 버린 그가 얻은 자유.
인생은 두 개의 단 맛이 있어. 하나의 단맛은 소비의 단맛이고, 다른 하나는 참된 자유를 얻어서 몸과 영혼으로 느끼는 해방감의 단맛이야. 그는 마침내 그 자신이 강물이 됐다고 느꼈다.
아버지를 찾아 하루 150리가 넘는 길을 걸었던 그리하여 멀고 흰 강의 꿈을 꿨던 오래 전부터 시작된 잠재적인 욕망의 실현이었다. 끝까지 읽은 나는 좀 멍 해졌다. 참 먼 길을 걸어왔지만, 그가 소비와 자본으로부터 해방되어 자유를 만끽할 수 있었던 것은, 자기가 버리고 온 엄밀히 말하면 어쩌다 버리게 된 그 길 그러니까 이미 거쳐왔던 그 여정이 없었다면 도달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의 첫사랑도 마찬가지이다. 막상 가출 후 자유로와졌을 때는 평생 마음에 품고 살던 그 사람이 생각나지 않았다.
누군가와 불멸의 관계를 맺고 싶다면 관계를 맺지 말게. 그 수밖에 없어. 사랑이 훼손되지 않으려면.
이 소설이 오래 도록 가슴을 때린 건 생뚱맞게도 바로 저 문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