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문장이 그렇게 이상한가요? - 내가 쓴 글, 내가 다듬는 법
김정선 지음 / 유유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성껏 쓴 글을 누군가가 붉은 펜으로 문장의 앞뒤를 바꾸고, 조사를 빼거나 바꾸는 등 많은 수정을 가하면 기분이 썩 좋지만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수정 후의 원고가 수정 전의 원고와 비교했을 때, 뜻을 명료하게 전달하고 읽기 편하다면 잠시의 불쾌함 보다는 원고를 수정한 당사자에게 고마워할 듯 하다. 아울러, 고친 부분의 문장을 들여다 보면서 내 문장의 어디가 무슨 이유로 수정되었는지 검토해서, 다음 번 글쓰기에는 좀 더 매끈한 문장을 쓰게 될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문장을 수정하는 일은 쉽지 않다. 소설가 김훈은 은는 과 이가의 선택에도 심혈을 기울이는데, 매끄러운 문장을 만들기 위해 다듬은 문장이 저자가 애초에 전달하고자 했던 뜻을 희석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책에서 함인주라고 하는 사람이 이러한 불쾌감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화자는 책에서 이상한 문장을 지적하고 수정하는 것만을 가르치지 않고, 교열자와 원작자 간에 실제로 존재할 수 있는 긴장감과 불쾌감을 소설적 형식으로 포함하였다. 따라서 이 책은 두가지 부분으로 나뉜다. 하나는 함인주와 화자의 서신 교환으로 교정과 문장에 대한 두 사람의 입장이 교환되며 동시에 또 한 갈래는 실제로 글쓰기 사례에서 빈번하게 잘못 혹은 어색하게 사용되고 있는 부분을 예를 통해 제시한다.


읽다 보면 함인주라는 사람의 집요한 따지기가 짜증스럽기도 하지만, 자신의 문장이 난도질 당하는 느낌을 어렴풋이 이해할 수 있을 것도 같다. 본문과 함께 병행 진행되는 스토리지만 나름 소설적 형식을 갖춰서 나중에 두 사람의 관계에 반전이 드러나기도 한다. 그래도 주요 내용은 문장 연습이라고 할 수 있다.


적의’를 보이는 ‘것들’이란 별 보태는 뜻도 없이 습관적으로 혹은 중독적으로 사용되는 흔한 예로, ‘OO적, OO의, OO하는 것, OO들’을 말한다. 다시 말해 접미사 ‘–적’的과 조사 ‘–의’ 그리고 의존 명사 ‘’, 접미사 ‘–들’이 문장 안에 습관적으로 쓰일 때가 많으니 주의해서 잡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들’을 반복해서 쓴 원고를 ‘재봉틀 원고’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모든’ 이 붙은 명사에는 ‘들’을 붙이지 말라고 충고한다. ‘적의’를 보이는 것들의 예는 대략 이렇다.

 
•선수들은 소속 팀에서의 활약 여부에 따라 올스타에 뽑힐 수 있다.=> 팀에서 보이는
•내가 살아 있다는 것에 대한 증거 => 있다는 
우리가 서로 알고 지낸 것은 어린 시절부터였다.=>우리는 어린 시절부터 서로 알고 지냈다.
•그제야 비로소 나는 내가 느낀 분노의 강도가 얼마나 엄청난 것이었는지 깨달을 수 있었다. => 컸는지
•실패한다는 것은 단지 출구를 찾지 못했다는 것일 뿐이다.=>란 , 못한 것
•노래를 잘 부른다는 것이 무엇인지 딱 꼬집어 말한다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문제다. => 부르는 게, 말하기는


이 문장들은 얼핏 내가 보기에 크게 어색한 게 없어보이지만 이렇게 바꾼 정답지(?)를 보고 나니 무엇이 문제인지 알겠다. 특히 세번째 문장 처럼 ~것을 주어로 하지 말고 우리를 주어로 바꾸면 문장이 놀랍도록 쉬운 문장으로 바뀐다.

 

굳이 있다고 쓰지 않아도 어차피 ‘있는’ 역시 습관적으로 붙이는 표현 중의 하나인데, 잘못쓰는 세 가지 경우를 소개한다. 1)  진행될 수 없는 동사에 ‘있다’를 붙이는 경우(예 ‘출발하고 있다' 는 ‘출발했다’가 맞음). 2)술어에 별 의미 없는 ‘있었다’를 쓰는 경우  3)  반복적으로 쓰이는 대표적인 표현 ‘–관계에 있다’, ‘–에(게) 있어’, ‘–하는 데 있어’, ‘–함에 있어’, ‘–있음(함)에 틀림없다’가 그것으로 다음 예를 보면 우리가(아니 내가) 얼마나 이렇게 안이하게 글을 쓰고 있었는지를 깨달을 수 있다.

 

 

•멸치는 바싹 말라 있는 상태였다. => 마른
•눈으로 덮여 있는 마을 => 덮인
•도시 끝에 자리 잡고 있는 거대한 기념비 => 잡은
•길 끝으로 작은 숲이 이어지고 있었다.=>이어졌다.
회원들로부터 정기 모임 날짜를 당기라는 요청이 있었다.=> 이, 당기라고, 요청했다.(2번째 경우)
•그 제안에 대한 검토가 있을 예정이다.=>‘그 제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런던에서 있었던 사고 때문에 귀국이 늦어졌다.=>‘런던에서 생긴(겪은, 터진, 맞닥뜨린) 사고 때문에 귀국이 늦어졌다.
그에게 있어 가족은 목숨보다 더 중요한 것이었다.=> 그에게
•그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주목해야 할 부분은 무엇보다 비용이다.=> 다룰 때


지적으로 게을러 보이게 만드는 표현으로 1) –에 대한(대해), 2) -–들 중 한 사람, 3)–들 중(가운데) 하나, 4)–들 중 어떤 을 제시한다. 많은 예를 통해 일단 대충 읽으면 지적으로 보이나 꼼꼼이 따져보면 단어 사이의 관계를 명확하게 서술하지 않고 대충 ‘대한’이라는 말로 얼버무린 것을 알겠다. ‘사랑에 대한 배신’,  ‘노력에 대한 대가 ‘ 등 저자는 이러한 표현이 ‘대한’을 활용한 문장이라기보다 ‘대한’이라는 붙박이 단어를 중심으로 나머지 단어를 배치한 것 같은 인상을 준다고 말한다. 이렇게 대한을 자주 쓰는 이유는 표현을 '더 정확히 하려고 고민할 필요가 없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아 정말 맞는 말이다. 사랑에 대한 배신이라는 말은 사랑을 저버리는 일 또는 사랑하는 사람을 배신하는 행위, 사랑에 등 돌리는 짓 등이 있고 두번째는 노력에 걸맞은 대가 또는 노력에 합당한 대가 또는 노력에 상응하는 대가 등 정확한 표현이 얼마든지 있다.

•종말에 대한 동경이 구원에 대한 희망을 능가했다.=> 을 향한, 을 바라는
•과대망상에 대한 증거를 찾았다. =>을 증명해 줄(밝혀 줄) ]

  

이 밖에도 지적으로 게을러 보이는 표현중에는,

1) -같은 경우
    •나 같은 경우, 그 같은 경우, 중국과 같은 경우는 ⇒ 내 경우, 그 경우, 중국의 경우 =>나, 그, 중국)

2) -에 의한, -으로 인한
    •시스템 고장에 의한 동작 오류로 인해 발생한 사고=>에 따른, 때문에
    •실수에 의한 피해를 복구하다.=>로 빚어진
    •지배 계급의 손에 의해 조종되는 존재들 => 손에

 

 등이 있다.


‘–에’와 ‘–으로’는 혼동해 써서는 안 되는 조사라며  ‘용언의 어간에 붙는 건 어미고, 체언에 붙는 건 조사다.’는 설명이 앞서는데 아 진짜, 용언이며 어간 어미 체언 이런 어려운 말들은 쥐약같지만 그래도 그냥 넘어가기엔 새겨들을 말이 많아, 네이버에 찾아봤다. 체언은 주어같은 몸말이고, 용언은 문장에서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동사, 형용사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나머지는 대충 알겠다.. 그러고보니, 에와 으로 뿐만 아니라 에서 으로부터 이런 게 총체적으로 다 헷갈리는데, 설명과 특히 예문이 알기 쉽게 잘 나와있다. 에’는 처소나 방향 등을 나타내고, ‘을(를)’은 목적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격 조사.

 

•자식이 명문대 가는 게 꿈인 부모들=>에
•학원 보낸다고 성적이 오르는 건 아닙니다.=>에

조사 ‘–에’는 무생물에, ‘–에게’는 생물에 붙친다. ‘–에게서’는 ‘–에게’와 ‘–에서’가 합쳐진 조사인데 쓰임에 따라 표현이 어색해질 수 있으니 가려 써야 한다. 이건 진짜 몰랐다.

 

•적국에게 선전 포고를 하다. =>적국에
•우리 정부는 미국에게 바뀐 정책에 대해 설명했다.=>미국에
•업자에게서 뇌물을 받은 공무원이 적발되다.=>에게
•약속을 가볍게 여기는 태도 때문에 우리는 그에게서 떠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를
•그들은 내게서 서서히 멀어져 갔다.(O)

 

번역체에서 자주 쓰이는 ‘으로부터’ 역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문법적으로보면, ‘‘–로’는 체언이 움직여 가는 방향을 나타내는 조사인 반면 ‘–부터’는 출발점을 뜻하는 조사다. 그러니 ‘–로부터’라고 쓰면 방향이 서로 어긋나는 셈이다. 

 

•친구로부터 선물을 받았다.    =>에게
•부모로부터의 이별    => 와의
•세상으로부터 단절되어 있는 사람들    =>과
•서울로부터 온 사람들    =>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