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 - 구효서 장편소설
구효서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와 과거, 두 시점의 화자가 교차로 서술한다. 현재의 화자는 갑자기 사라진 친구 시게하루의 행방을 쫒는 야마가와 겐타로다. 과거의 화자는 시인 윤동주가 일본 유학 시절 하숙을 하던 집에서 허드렛일을 하던 요코다. 겐타로는 함께 만주와 관련된 검색어를 찾아 정리하는 이상한 아르바이트를 함께 하다가 감쪽같이 사라진 시게하루의 행방을 찾는다. 시게하루를 찾는 과정에서 만나는 것이 요코가 쓴 글로,  앞서 말한 두 명의 화자 중 하나다. 요코의 글은 다시 두 개의 시점으로 나뉘어져 있다. 하나는 어린 시절 글을 배우면서 쓴 글이고, 나머지 하나는 인생을 정리하면서 쓴 글이다. 오코의 첫번째 글은 양아버지의 지속적인 성폭력에 노출된 어린 시절과 15세의 위악속에서 윤동주를 관찰한 모습, 그리고 윤동주가 잡혀간 이후 그를 통해 비춘 자신의 모습과 성장 등을 이야기한다. 겐타로는 시게하루를 찾는 단서를 발견하기 위해 그 글을 찾은건데, 거기에는 간도 항일 운동의 폭력적 양면성과 역사의 일면이 숨어 있고, 나라를 잃은 사람이 말을 함께 잃는 것에 대한 의미를 찾는 내용이 있다. 이야기를 전달하는 두 사람은 궁극적으로는 다른 사람의 삶 속에 자신을 비추어 변화하고 성장한다. 


양아버지의 지속적인 성폭력으로 위악만 남은 16세의 어린 요코는 조선 학생인 윤동주가 자신을 인간적으로 대하는 사실을 이용해 오히려 무례하게 군다. 동주는 요코의 무례와 관심에 아랑곳없이 친절하게 대하는데, 그러다가 요코는 동주가 조선말로 시를 쓰는 것을 주목한다.  이후 요코는 윤동주의 연행과 죽음을 통해 영토를 빼앗긴 자에게 모국어의 의미를 반추하며 자신이 멸망한 종족 아이누족임을 인식하게 되고 그 뿌리를 찾는 삶을 산다. 이런 내용은 그가 남긴 뭉치에 서술되어 있는데 그 글뭉치는 자신이 집을 나와 윤동주가 사는 하숙집에서 처음으러 가타카나를 배우면서 쓴 버전과 그가 아이누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찾아 말과 글을 배워 아이누어로 쓴 내용 두 버전으로 되어 있다. 일본어로 된 버전은 막 말을 배운 아이가 쓴 것처럼 문법적인 형식을 갖추지 못했고 아이누어 버전은 그 첫번째 버전의 글을 상세히 글의 형태로 설명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일본 열도에는 다수 민족 말고도 완전히 다른 말과 전통,별개의 민족적 정체성을 가진 소수민족이 공존하는 모양인데, 아이누족은 17세기 이전까지는 일본인들과 무역을 하며 자신들의 정체성을 지키며 살었지만 점점 힘을 잃어 19세기말 20세기 초에는 일본인의 아이누족 말살 정책으로그 뿌리가 근간부터 흔들리게 된듯 싶다. 자신의 출생에 대해 알지 못했던 요코는 훗날 이름을 다시 아이누족 이름으로 바꾸고 아이누족의 언어와 민속학을 공부하여 이미 사어가 되어가고 있는 아이누족의 언어를 지키고자 노력하는, 예전의 상처받고 위악적인 자신의 모습과는 전혀 다른 사람이 된다.

"아이누에 서럽게 빠져 있었다. 원통하고 슬플수록 묘한 에너지가 차올랐다. 세상에서 몇 안 되는 아이누어 전문가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현재의 화자가 그녀를 찾았을 때는 이미 죽은 후이며 결국 그녀가 평생을 찾고자 했던 것은 윤동주가 경찰에 잡혀가서 강압작으로 일본어로 번역해야 했던 그의 시라는 것이 밝혀진다. 요코가 윤동주의 시를 찾는 이유는 그 시들을 버리기 위해서다. 그가 쓴 시는 원본이 조선말로 쓰여졌지만 그를 수사하기 위해 조선말을 읽을 수 없는 경찰이 총뿌리를 겨누며 강압적으로 번역시킨 거다. 요코는 그 시가 한글 원본이 없는 상태에서 강압적으로 일본어로 번역된 채 세상에 나가는 일을 필사적으로 막으려 한 것이다. 

현재의 나는 요코와 윤동주에 대한 이러한 사실을 우연히 발견한다. 처음, 이 소설은 화자인 겐타로와 그의 단짝 친구가 만주라는 검색어를 도서관에서 검색하고 정리하는 수상한 아르바이트를 시작하면서 전개되는데 처음엔 뭔가 수상쩍어 거절했던 겐타로를 홀로 두고 시게하루가 감쪽같이 사라지면서 미궁속으로 빠지고, 그것이 둘이 하던 만주에 대한 검색 알바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검색과정에서 그가 남긴 자취를 통해 시게하루가 무엇을 보았으며 무엇을 추적하고 있었는지를 추적하기 위해 일본 얼도를 횡단하다시피 하여 결국 요코의 자취를 만나게 되고 또한 그를 통해 일본인이라 믿고 있던 자신의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찾아 한국어를 배우고 이 책을 한국어로 쓴다는 내용인데. 이렇게 미스테리 형식으로 진행되다보니 장르 소설은 아닌데 장르 소설 식으로 진행되고 여러 명의 화자가 나로 이야기 되고 그게 헷갈릴까봐 작품내에서 다시 설명하곤 하니 구성적으로 필요 이상으로 산만하고 복잡하다고 느꼈다. 

결국 자신이 하던 일은 , 제국시절 부정과 속임수로 돈을 모아 현재 일본 최고의 대기업을 이끌고 있는 그룹 대표가 그의 과거를 지우려던 일이었으며 그 과정에서 자신의 조부가 연루되어 있음을 알아낸 시게하루가 그들과 타협하여 자신의 현재를 바꾸려는 의도로 무언가를 했음을 후에 알게 된다. 역사 소설같은 부분도 있고 미스터리 같기도 하다. 잘 알려지지 간도에서의 공산주의자들의 항일운동과 혈투 등을 담고 있다. 작가가 전달하고자 했던 게 무엇인지는 알겠지만 너무 많은 걸 의도적으로 담아내려 한거 아닌가 싶기도 하다. 처음부터 미스터리하게 진행되어 어떻게 풀릴지 궁금했는데 또 그게 술술 풀리지 않고 자꾸 얘기가 엉키기만 하다가 그 미스터리가 풀리는 과정에서 역사적 진실 앞에, 성큼 다가가게 하는 서사였다.  

"말과 말의 영토가 잊히고 소멸된 시간만큼이나 오랜 소급과 회귀의 여정이 필요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