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원의 연인들
김대성 지음 / 문화구창작동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사랑이라는 것. 도대체 어떤 마음일까요?
물론 남녀간의 불같은 사랑도 있고, 엄마와 아이의 헌신적인 사랑도 있죠.
하지만 사랑에 빠져있을 때는 행복과 황홀감을 느끼지만 정작 사랑으로 인해서 고통받고 아파하기도 하죠.
그저 단순히 사랑이라는 말 자체가 그저 좋다고 생각할 수는 없지 않겠어요?
사랑이 때로는 누군가에게는 그 자체로 삶의 모든 것이 될 수도 있지만, 때로는 누군가에게 삶을 모두 앗아갈 수 있지 않을까요?
마치 사랑이라는 것도 낙원처럼 누구나 갖고 싶어하고 찾고 싶어하지만 찾을 수 없고 가질 수 없는 신기루는 아닐까 싶네요.
낙원의 연인들은 그야말로 사랑에 대해서 사랑의 뜻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하는 것 같아요.
그동안 우리가 알고 있던 사랑의 의미.
살아가면서 느끼게 되는 사랑이라는 감정이 어쩌면 사랑이 아닐 수 있다는..
인생에 대해서 수많은 의문들이 있지만 정작 그 의문들 중에서 얼마나 우리는 삶의 비밀을 풀 수 있을까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선구자들이나 철학자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고민하고 해답을 찾으려고 하지만 결국에는 스스로가 찾아야 될 문제이기도 한 것 같아요.
사람들의 모습이 모두가 다르듯이 사랑의 모습도 제각각의 모습이기 때문이죠.
물론 사랑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감정이나 생각들이 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치 우리가 아름다운 색을 만들어내는 것처럼 두 사람의 색이 함께 어울려 세상에 존재하지 않았던 미지의 색을 만들어내는 것처럼 사랑이라는 것도 그렇게 신비로운 과정인 것 같아요.
하지만 정작 그 색이 행복일지, 불행일지는...
만드는 사람이 어떻게 빚어낼지에 달린 것인지도 모르겠어요.
사랑... 다시는 사랑하지 말아야지 하면서도 또 다시 사랑에 빠지게 되는 마력...
최초의 사랑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아담과 하와의 사랑.
지금도 과학자들은 지구가, 우주가 생성된 원리를 찾고자 하죠.
우주를 만들어 낸, 그 최초의 시간을 찾기 위한 노력들 말이죠.
사랑도 과연 지금 수많은 사람들의 다양한 사랑이 존재하지만 정말이지 순수한 원형의 사랑의 모습을 찾을 수 있을까요?
우리가 보는 세상은 다양한 색을 가지고 있지만 정작 그 색은 하나의 빛에서 시작한다는 것.
프리즘을 통과하기 전의 그 빛처럼..
[북카페를 통해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본 서평은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