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같은 날은 없다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61
이옥수 지음 / 비룡소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음.. 살다보면 당연히 그런 날이 오지 않나요?
개 같은 날, 도대체 어떤 날을 말하는 걸까?
사실 가족이라고 하면 당연히 가장 사랑스러운 관계 아니겠어요?
멀리 떨어져 있어도 그리운 사람들.
하지만 이런 가족과는 전혀 다른 가족들의 모습도 우리들이 살고 있는 이 세상에 존재하고 있는 것 같아요.
너무나 당연하게 생각했던 일들이 당연한 것이 아닌 것.
바로 가족간의 폭력, 그 폭력으로 인해서 만신창이가 된 가족들의 모습을 보면서 가족의 의미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네요.
겉으로 보여지는 것과는 다른 가족들의 속사정.
그처럼 마음이 시퍼렇게 멍들어가는 가족들.
어쩌면 이제 가족의 문제는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바로 우리들 사회의 문제가 아닐까요?
가족의 문제로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를 만들어내기도 하죠.
가해자와 피해자의 모습으로 결코 떨어질 수 없는 가족이라는 관계로 얽힌 사람들.
피는 물보다 진하다고 하던데, 어떻게 천륜을 끊을 수 있을까요?
하지만 그 폭력으로 인해서 마음의 상처만 깊어지고 고통이 점점 더 심해지면 어떻게 될까요?
시간이 지나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
단순히 그냥 한 가족의 문제로 치부해야 할까요?
아니면 사회적인 문제로 함께 치유해야 할까요?
가정폭력은 가족의 정신을 죽이는 행위가 아닐까요?
어쩌면 주인공처럼 가족폭력에 시달리고 있다면 매 순간이 개 같은 날이 아닐까 싶기도 해요.
어떻게 하면 쨍하고 해뜰 날이 찾아올 수 있을까요?
한 번 일어난 문제를 근복적으로 해결하지 않는다면 어쩌면 시간이 갈수록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
가족이 서로 행복하고 즐거운 추억을 가지고 살아가도 이 세상을 사는 것이 힘든데, 어떻게 서로가 그렇게 서로에게 상처를 줄 수 있을까요?
하지만 이처럼 우리들이 상처를 받는 것은 물론 사람들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런 상처를 치유받을 수 있는 것도 바로 사람에게서 아니겠어요?
내 사랑 사북, 어쩌자고 우린 열일곱 등.
대표적인 청소년 작가로 10대들이 앓고 있는 문제들.
미혼모나 입시 문제들. 또는 탄광촌과 같은 소외된 우리들의 모습을 그려낸 작가로서 이번에는 폭력이라는 문제를 통해서 청소년들의 아픔을 조금이나라 위로를 해주려고 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어요.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본 서평은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