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의 이동 - 살림하는 아빠, 돈 버는 엄마, 변화하는 가족
제러미 스미스 지음, 이광일 옮김 / 들녘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음.. 정말이지 예전에 비해서 가족의 의미가 참 많이 변화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아버지는 어떻게 해야 된다는 강박관념. 어머니의 이미지는 어떻해야 된다는..
조금은 가부장적인 전통적인 가족에서 지금은 대가족도 아니고 핵가족화 되어 버린 현대의 가족의 의미는 도대체 뭘까요?
어떻게 보면 단순명료했던 가족에서의 역할들.
아버지는 밖에서 가족을 위해 일하는 것. 어머니는 집에서 가정일을 하는 것.
그런데 이런 모습이 이제는 바뀌고 있는 것 같아요.
물론 맞벌이를 하는 가정이 많이 늘기는 했지만 정작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이 바뀐 곳도 종종 있는 것 같아요.
어머니가 밖에서 일을 하고 아버지가 집에서 가사일을 하는 모습.
참 어색한 이런 가족의 모습이 지금은 하나의 가족의 모습이 되어버린 것 같아요.
생각할 수도 없었던 다양한 가족의 모습들.
물론 이런 가족의 모습들에 대해서 좀 부정적으로 보면 너무 고리타분한 것이 아니냐는 소리도 들을 수 있겠죠?
그냥 쿨하게 그런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인정해주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을까요?
이 시대의 가정의 형태와 육아의 형태.
어떻게 보면 권위적인 아버지의 모습에서 지금처럼 다정한 아버지의 모습이 좋을 수도 있겠죠.
왜 지금 이 시대에 이처럼 회사가 아닌 집에서 일을 하고 아이를 돌보는 아빠들이 많아졌을까요?
아이는 엄마가 키워야 한다는 생각이 당연하게 여겨지던 예전에 비하면 참 낯선 모습이죠?
그런데 정작 어떤 모습의 가족이든 중요한 것은 그것을 행복하게 받아들이는 것 같아요.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어쩔 수 없이 그렇게 되었다면 얼마나 불행하겠어요?
역할이 바뀌었어도 서로가 그 역할을 행복하게 할 수 있다면 어쩌면 그것으로 족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이처럼 아빠의 이동은 어쩌면 이 시대를 바라보는 하나의 시각이 아닐지도 모르겠어요.
과연 과거의 아빠와 현대의 아빠. 둘 중 어떤 아빠가 더 좋은 걸까요?
사실 어디가 좋다고 정확히 말을 할 수는 없을 것 같아요.
그런데 정작 그런 역할 속에서도 서로가 서로의 존재 가치를 잃지 않고 자신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면서 행복하게 살아간다면 글쎄요?
지금 이순간 가정을 꾸리고 살아가는 사람들이나 앞으로 가정을 꾸릴 사람들에게 가족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하는 것 같아요.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본 서평은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