몹시도 수상쩍은 과학 교실 와이즈만 스토리텔링 과학동화 시리즈
서지원 지음, 한수진 그림,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감수 / 와이즈만BOOKs(와이즈만북스)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영어나 수학만큼 과학도 아이들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많은 도움을 주는 과목이죠.
하지만 정작 과학을 암기위주의 과목처럼 배우게 되면 과연 아이들이 무엇을 느끼게 될까요?
즉, 과학만큼은 이론보다는 실기위주로 직접 체험해보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요?
그런 의미에서 과학동화는 단순히 결과만을 말해주는 것이 아니라 실험을 하는 과정을 통해서 과학적인 사고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해주는 것 같아요.
자칫 지루하고 재미없을 수도 있는 과학을 재밌는 이야기와 함께 과학적 사고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을 통해서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호기심을 충족시켜 줄 수 있지 않을까요?
아이들의 호기심은 무궁무진하죠.
이런 호기심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좋은 과학동화를 만나기는 그리 쉽지 않은 것 같아요.
어두운 밤 새로 이사온 알 수 없는 이웃들. 머리 큰 아저씨와 여자아이, 그리고 검은 고양이가 바로 새로운 이웃들이죠.
호기심대장인 아로는 어느 날 대문으로 안을 엿보다 자기도 모르게 알 수 없는 미스터리한 실험실로 들어가게 되죠.
그 곳에서 아로는 때로는 액체가 되는가 하면, 물고기가 되기도 하고 온갖 이상한 경험을 하게 되죠.
이처럼 괴이한 실험실에서 과연 아로는 무사히 빠져나올 수 있을까요?
이야기는 기발한 상상력을 가지고 엉뚱함으로 무장한 재밌는 입담의 이야기꾼 작가가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그들의 상상력을 무한히 키우고 호기심을 느끼게 하고, 즐거움을 만들어내죠.
어린시절의 꿈이 동화작가라고 하더라구요. 아이들을 좋아하고 특히나 말썽꾸러기를 좋아한다고 했는데, 아마도 어린시절 아무도 못말리는 말썽꾸리가 아니었을지..
물질이 고체에서 액체가 되고 기체가 되고.. 동물의 한 살이라든지, 동물의 세계 등.
다양한 마법같은 일들이 벌어지는 엽기적이고 신기한 미스터리 실험실.
아이들에게 이런 이야기들이 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게 하고 또 과학적인 사고를 키울 수 있도록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
특히나 초등학생들에게는 그 시작이 중요하지 않을까요?
과학적인 사고는 배우는 게 아니라 스스로 알아가는 것이 아닐까요?
이처럼 이야기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알아가는 것.
그것이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세상을 이해하는데 그만큼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본 서평은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