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의 마음을 훔치는 스토리텔링 전략
한혜원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2년 4월
평점 :
어른들도 마찬가지이겠지만 아이들은 정말이지 이야기를 너무나 좋아하는 것 같아요.
어른이 된 지금도 어릴 적 할머니가 들려주신 옛날 이야기가 생각이 나요.
물론 아련한 추억이 되어버렸지만 말이죠.
아이들도 자세히 보면 항상 볼 때마다 책을 읽어달라고 조르는 바람에 좀 귀찮기도 해요.
그런데 가만히 보면 아이들은 잘 집중을 하지 못하는 것 같아요.
이 책, 저 책 한시도 가만히 있지를 못하죠.
그런데 가끔 어떤 책들은 집중을 해서 잘 듣더라구요.
그럼 도대체 이처럼 아이들을 마음을 사로잡는 것은 뭘까요?
어린이들의 대통령이라고 하는 뽀로로.
뽀로로에 관해서는 만화뿐만 아니라 노래, 인형 모두 다 좋아하더라구요.
사실 뽀로로가 아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거에는 이미지이기 보다는 다른 어떤 것이 더 작용하는 것 같아요.
뽀로로보다 더 이쁘고 멋있는 캐릭터들이 더 많은데 그토록 뽀로로에 열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뽀로로가 아이들에게 어떤 특별한 즐거음과 재미를 주고 있다는 거죠.
그것을 바로 책에서는 스토리텔링의 힘이라고 말하고 있어요.
바로 이런 이야기의 힘이 아이들의 마음을 훔치는 비법이라는 거죠.
그런데 세상에 있는 수많은 이야기들 중에서 어떤 이야기가 이처럼 아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을 까요?
바로 재미인데, 그런 재미있는 이야기를 만드는 방법은 금기라는 거에요.
사실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하지 말라고 하면 더 하고 싶어하는 심리를 가지고 있지 않나요?
그런 금기에 대한 위반이 바로 아이들을 마음을 사로잡은 매력이 된다는 거에요.
그렇게 이야기에 빠져들게 되면 그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모든 것에 매력을 느끼게 되는 것.
그것이 바로 이 시대의 성공 아이템인 콘텐츠가 아닐까 싶네요.
똑같은 물건이라도 그 물건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사연에 의해서 가치가 달라질 수가 있죠.
그런 가치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바로 스토리텔링이고, 그것이 바로 추억인 것 같아요.
특히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욕망이 있지만 그것이 억압되어 있을 때 그것을 풀어 줄 수 있다면, 그런 일탈이 바로 금지된 즐거움을 만들어주는 거 아닐까요?
사실 아이들에게 전래동화와 같이 권선징악의 주제를 가지고 있는 이야기를 한다고 하면 그것이 아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을까요?
이제는 옛날 이야기도 시대에 따라 변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물론 사람이 살아가는 중요한 가치, 지켜야 하는 가치는 변하면 안되겠지만 그것을 접근하는 이야기는 조금씩 변화를 해야 하지 않겠어요?
예전에는 만화책을 보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잖아요.
만화방에서 만화를 보다가 부모님에게 걸려서 혼난 기억들이 있을텐데, 지금은 오히려 부모님이 아이들에게 만화를 보라고 권하는 시대가 되지 않았나요?
물론 교육적인 만화.. 그렇기 때문에 생각의 전환도 필요하다는 것.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본 서평은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