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워 호스
마이클 모퍼고 지음, 김민석 옮김 / 풀빛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전쟁은 정말이지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에게도 잔혹한 기억인 것 같아요.
제1차 세계대전에 휘말린 말의 이야기.
인간들의 전쟁 속에 인간의 시각이 아닌 동물의 시각으로 바라본 참혹함과 진실은?
영국의 한 조그마한 농장에 작은 망아지 한 마리가 들어오죠.
그리고 잠시 뒤, 한 소년이 흥분해서 망아지가 들어온 그 마구간으로 막 뛰어들죠.
이렇게 태어난지 여섯 달이 안 된 망아지 조이와 순박하고 수줍은 열세 살 소년인 앨버트의 운명적인 만남이 이루어지죠.
하지만 그렇게 평화롭고 행복했던 시간이 지나고 어느 새 훌쩍 커 버린 조이.
그런데 그 조이가 한 남자의 손에 이끌려서 농장을 떠나게 되죠.
앨버트도 보지 못하고 말이죠.
그렇게 무더운 여름날.
조이는 전쟁터로 끌려가게 되죠.
사방에 총알과 포탄이 날아다니는 끔찍한 전쟁터에서 조이는 군인들과 함께 돌진하기도 하고, 진창에서 대포를 끌기도 하고, 부상병들을 병원으로 옮기기도 하면서 점차 농장 말에서 군마로 변해가죠.
하지만 조이의 마음 속에는 앨버트와의 그리움이 짙어지죠.
이처럼 평범한 농장 말 조이의 눈에 비친 사람들의 끔찍한 전쟁과 어린 소년과의 기적과도 같은 만남.
그런 절망 속에서도 희망과 용기를 찾아가는 이야기.
그런 이야기들이 바로 워 호스에 담긴 메시지가 아닐까 싶네요.
전쟁의 참상을 그 전쟁을 일으킨 사람들의 눈이 아니라 어쩔 수 없이 인간의 전쟁 속에 끌려가게 된 말의 눈으로 바라본 전쟁의 참상.
폐허가 되어 버린 마을. 폭탄이 터질 때마다 비명을 지르고 죽어가는 병사들. 시체들.
사람뿐만 아니라 말들까지 전쟁터에서 죽어가죠.
마치 살아있는 괴물처럼 모든 살아있는 것들을 죽여버리는 회색 괴물.
이처럼 조이의 눈을 통해서 인간의 참혹한 전쟁들이 아주 생생하게 보여지는 것 같아요.
그 누구보다 객관적인 시각이 아닐까요?
인간이 아닌 조이의 눈이 말이죠.
그러나 단순히 전쟁의 참상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런 전쟁 속에서도 그리움과 희망과 용기를 평화를 바라는 메시지가 담겨있다는 것을 말이죠.
사람과 사람의 우정뿐만이 아니라 소년과 조이의 우정 또한 그에 못지 않은 것 같아요.
과연 전쟁은 왜 일어나는 걸까?
그런 전쟁을 통해서 인간은 무엇을 얻으려고 하는 걸까?
참혹한 전쟁에서도 희망을 찾을 수 있는 걸까?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제공 받아서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