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입학사정관제, 초등부터 알아야 하나요? - 즐깨감 입학사정관제 준비서 ㅣ 와이즈만 영재학습법
이미경.이지은 지음, 누똥바 그림,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 와이즈만BOOKs(와이즈만북스)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입학사정관제?
도대체 뭐죠? 이런게 왜 생겨난 거죠?
사실 그동안 성적만으로 뽑는 것을 탈피해서 성적뿐만이 아니라 다른 특성이나 재능을 보고 인재를 뽑는 거죠.
어쩌면 지금까지의 공부방법에서 모든 것을 탈피해야 할지도 모르겠어요.
단순히 성적을 올리는 것에 치중할 것이 아니라 더 다양한 특성과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그저 획일화된 인재가 아니라 다양성과 개성을 가진 인재를 육성하는 것.
그것이 어쩌면 입학사정관제를 도입한 목적이 아니겠어요?
하지만 아무리 좋은 제도라고 해도 그 제도를 운영하는 사람들이 어떠냐에 따라서 좋은 방향으로 운영될 수 있을지 아니면 나쁘게 운영될지 결정되는 거 아니겠어요?
이처럼 글로벌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선발을 하는 것.
즉, 지금 이 순간 이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는 바로 단순히 점수가 아닌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개인의 재능으로 평가를 받아야 하지 않을까요?
단순히 공부가 모든 것을 판단하는 잣대가 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적성으로도 정당하게 평가를 받아야 하는 건 아닐까요?
그런데 이런 입학사정관제는 사실 대학에서 많이 쓰이고 있죠.
그렇기 때문에 대학, 고등학교가 아닌 초등학교에서 굳이 알아야 될 필요가 있을까 싶기는 해요.
그런데 정작 초등학생 때부터 알아야 한다니..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그동안 배웠던 점수나 성적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정작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경험했던 모든 것들이 바로 그 사람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거죠.
그렇기 때문에 처음부터 무엇이 되고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느끼는가 그런 것들이 하나씩 모여서 스스로를 발전시키고 가능성을 키우는 거겠죠.
이처럼 중요한 것은 바로 어릴 때부터의 진로 설계가 아닌가 싶어요.
사실 입학사정관제에 대해서 그리 특별하게 생각하지 않았지만 정말이지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아는 것이 힘이라는 말이 딱 들어맞을 것 같네요.
그럼 어떻게 입학사정관제를 준비해야할까?
자기 소개서 쓰는 법, 학교 생활 기록부 관리하는 법, 면접과 토론에 대비하는 법 등
학부모와 학생이 궁금해하는 내용들이 모두 담겨 있다는 것.
만약에 입학사정관제를 준비하는데 막막하다고 하면 읽어보면 많은 것을 알 수 있게 될 것 같아요.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제공 받아서 작성한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