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마지막 호랑이 왕대 - 김탁환의 역사 생태 동화 살림어린이 숲 창작 동화 (살림 5.6학년 창작 동화) 6
김탁환 지음, 조위라 그림 / 살림어린이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랑이? 동물원에 가면 볼 수 있는 거 아닌가요?
조선의 마지막 호랑이? 그렇다면 우리나라에 호랑이가 없다는 걸까?
역사 속으로 사라진 조선의 마지막 호랑이 왕대를 찾아서..
서울에 호랑이가 있었다면 믿을 수 있겠어요?
불과 100년 전만해도 사람들이 직접 호랑이를 수도인 한양에서 볼 수가 있었다고 해요.
종종 무서운 호랑이 때문에 사람들이 다치거나 죽기도 해서 대대적으로 호랑이 토벌을 위해서 사냥꾼들이 모여들기도 했다고 하죠?
왕대는 이제 태어난지 다섯 달 밖에 안된 아기 호랑이에요.
호기심 많은 왕대는 별똥별을 쫓아가다가 그만 사냥개를 만나서 위험에 처하게 되는데 이 때 엄마 호랑이가 나타나서 구해줘요.
그리곤 안전한 은신처에서 숨어지내게 되는데요.
하지만 기다리고 기다려도 엄마 호랑이는 오지 않아요.
걱정이 된 아기 호랑이 왕대는 사냥개와 마주쳤던 곳으로 다시 가보는데 그만 엄마 호랑이는 사냥꾼들에게 죽고 말아요.
그러나 슬퍼할 겨를도 없이 사람들이 파놓은 함정에 빠져서 동물원으로 끌려가게 되네요.
그렇다면 우리나라에 호랑이가 언제 사라졌을까요?
그것은 바로 일본이 우리나라를 침략하고 강제로 점령했던 시기라고 하네요.
호랑이가 사람들에게 무섭고 위험한 동물이기에 죽여야 된다고 했고, 일부 사람들은 호랑이를 재미삼아 사냥하기도 했죠.
그리곤 동물원에 있는 우리 호랑이를 죽여서 영영 다시는 보지 못하게 만들어 버렸다고 하네요.
이처럼 이 책은 아픈 우리 역사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네요.
또한 사람과 동물이 함께 공존하며 살아가야 하는데, 인간의 욕망을 위해서 또는 인간들의 편협한 생각만으로 호랑이는 물론 지금까지 수많은 동물들이 지구상에서 얼마나 많이 사라졌을까요?
창경궁을 창경원으로 바꾸고 그 곳에 동물원과 식물원을 만들죠.
이 곳 동물원에 잡혀온 호랑이가 바로 조선의 마지막 호랑이 왕대죠.
비록 지금 우리에게 왕대는 곁에 없지만 호랑이 뿐만 아니라 지금도 멸종의 위기에 처해있는 수많은 동물들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하네요.
맹수가 위험하기는 하지만 어떻게 하면 우리들과 함께 잘 지낼 수 있을까?
자연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가꾸고 보존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 같아요.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제공 받아서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