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초콜릿과 이별 중이다 - 먹고 싶은 충동을 끊지 못하는 여자들의 심리학
윤대현.유은정 지음 / 21세기북스 / 2011년 6월
평점 :
품절
사실 현대를 살아가면서 참 많은 아이러니를 보는 것 같아요.
너무나 진실 같은 데 보면 거짓인 일들과 분명히 거짓 같은데 진실인 일들이 일어나는 것이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겠죠.
많은 사람들이 건강을 위해서든지 멋지고 아름다운 몸매를 위해서든지 다이어트를 한 번쯤 생각해봤을 것 같아요.
매년 새해가 되면 새해결심에 꼭 다이어트 하기는 누구나 적는 단골 메뉴가 되기도 하는데, 정작 이것이 문제는 작심삼일로 끝나버리게 된다는 거죠.
무엇보다 다이어트를 하려면 음식을 적게 먹고 많이 운동해야 하지만 맛있는 음식의 유혹 앞에서 이길 장사가 얼마나 될까요?
그리고 정작 나의 의지를 꺾는 유혹들 중에는 꼭 다이어트를 생각하면 다른 사람들이 왜 맛있는 것을 사준다고 하는지 도무지 알 수 없는 일들이 일어난다는 거죠.
누가 꼭 내가 다이어트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 같기도 해요.
특히나 남자들보다 여자들의 경우는 밥보다도 군것질에 더 집착하게 되는 것 같아요.
밥을 적게 먹어서 살이 안 찔거라고 스스로 최면을 걸어보지만 정작 어떻게 보면 밥보다 더 많은 칼로리를 가지고 있는 간식들을 그렇게 태연하게 먹을 수 있는 것은 그만큼 그것이 주는 즐거움이 크다는 이야기겠죠.
그런데 이처럼 몸과 마음이 서로 다른 생각을 하다보면 정작 많은 문제를 유발할 수도 있잖아요.
거식증과 폭식증.
이것은 대표적인 다이어트의 부작용이라고 볼 수 있는데, 정말이지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 그렇게 해야 할까요?
그러면서도 멈추지 못하는 것은 뭘까요?
특히나 수많은 간식들 중에서 초콜릿은 악마의 유혹이라고 불릴만큼 그 달콤함에 한 번 길들여져 버리면 절대 초콜릿을 멀리 할 수 없을 만큼 강한 금단증상을 가져오는 것 같아요.
물론 힘들고 지칠 때 초콜릿을 먹으면 기분도 좋아지고 힘도 나잖아요.
그래서 전쟁을 하는 군인들에게 비상식량으로 초콜릿을 주기도 하는데요.
문제는 이렇게 너무 초콜릿과 사랑에 빠진 사람들은 마치 사랑에 빠지면 콩깍지가 씌인다는 말처럼 그 사랑에 푹 빠져서 헤어나오지 못하게 되어버린다는 거에요.
그런데 이런 초콜릿이라는 중독에서 벗어나려면 사랑에 빠져야 한다는 것은 어쩌면 더한 중독에 빠지게 되는 건 아닌지 모르겠어요.
하지만 누구나 알다시피 사랑하면 예뻐진다는 말처럼 힘들고 지칠 때 누군가에게 기댈 수 있고 그 허기진 마음을 음식이 아닌 사랑으로 채울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