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는 만큼 성공한다 - 김정운교수가 제안하는 주5일시대 일과 놀이의 심리학
김정운 지음 / 21세기북스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사실 옛날 같으면 말도 안되는 이야기라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하지만 이제는 시대가 변해서 단순히 공부가 아니라도 자신만의 재능을 통해서 얼마든지 성공할 수 있는 것 같아요.
열심히 하는 사람이 즐기는 사람을 못 이긴다고 했던가요?
노는 만큼 즐겁게 한다면 그 분야에서 성공할 수 있을 가능성이 더 크지 않겠어요.
김정운 교수는 특강이나 시사프로그램을 할 때 자주 보았는데, 세상을 보는 색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 같아요.
어쩌면 그동안 우리들은 너무나 당연하게 기존의 방법을 그대로 답습하고 부모님들이 말해주는 성공의 비결을 시대가 변했지만 과거의 방법을 그대로 따라가려고만 하지 않았는지 생각해보게 되네요.
요즘은 잘 노는 사람이 일도 잘 한다고 했던가요?
그동안 노는 것이 일을 하지 않는다는 이미지가 아니라 일을 위한 재충전의 기회라든지 놀이를 통해서 더 일을 잘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는 것.
사실 우리나라도 이제 주 5일 근무가 정착이 되어 가는데, 이처럼 주말이 시간이 있으면서도 정작 아직은 그 여가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든지 준비가 잘 안된 사람들도 많은 것 같아요.
이제 21세기는 창의적인 사람을 필요로 하고 이런 창의적인 사고는 단순히 공부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것을 보고 듣고 즐기면서 만들어가는 거 아니겠어요.
선진국처럼 주 5일 근무라는 제도는 만들어졌지만 왜 그렇게 우리나라 사람들은 일을 하지 못해서 난리일까요?
물론 그렇게 열심히 일을 해서 우리의 부모님의 세대는 전쟁 이후의 페허가 된 우리나라를 세계도 깜짝 놀랄만큼 단시간에 엄청난 경제성장을 이루어내고 다른 나라사람들이 그토록 배우고자 하는 한강의 기적을 이루어냈지만 이제는 시대가 단순히 열심히 하는 것이 아니라 잘 하는 것.
일 할 때 일하고 놀 때 잘 노는 시대가 된 것 같아요.
그런데 아직은 일을 하는데 익숙하고 노는 데 익숙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잘 놀 수 있는지에 대해서 고민을 해봐야 할 것 같아요.
저자는 우리나라의 문제에 대해서 "놀면 불안해지는 병"에 걸렸다고 하더라구요.
불안은 스트레스로 이어질 수 밖에 없고 또 노는 것도 잘 논다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도 있고 자신의 창의성이나 계발을 할 수 있는 거겠죠.
아무튼 놀지 못하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
역시 저자가 바라보는 시각은 특별한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